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88958579205
· 쪽수 : 158쪽
· 출판일 : 2007-01-1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제1장 창작 영화음악으로의 이행
1. 기존 음반을 이용하던 영화음악
2. 창작 영화음악의 시대로
제2장 영화음악가들의 생성
1. 클래식 작고가들의 유입
2. 전문적 영화음악가들의 등장
3. 대중음악 작곡가들의 활동
4. 기타 영화음악가들 : 악극, 국악, 뮤지컬과 관련된 음악인들
제3장 영화음악의 경향
1. 관현악 중심의 영화음악
2. '영화주제가'의 전성기
(1) 영화와 음악의 상생 전략
(2) 드라마 연속극으로부터 온 주제가
(3 )가곡의 영화주제가화
3. 다양한 음악 스타일과의 화학작용
4. 컴필레이션 스코어, 컴필레이션 사운드트랙 음반
제4장 1970년대에 등장한 새로운 세대들
1. 청년영화, 호스티스, 멜로드라마, '영상시대'
2. '영상시대'동인, '본격적인' 사운드트랙 음반과 접속하다
(1) 포크 룩으로 새로운 영화음악을 주조한 강근식 그리고 동방의 빛
(2) 새 바람을 몰고 온 재즈 룩 어법의 영화음악, 정성조(와 메신저스)
제5장 열악한 작업 환경, 새로운 실험의 장
나오며
전정근 인터뷰
강근식 인터뷰
정성조 인터뷰
더 들으면 좋은 음반
저자소개
책속에서
1960년대와 1970년대는 영화 제작편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시기였다. 또한 명 감독들이 탄생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영화음악 역시 많은 수요를 필요로 했다. 그러나 이런 필요와는 대조적으로 영화음악인들이 일해야 했던 환경은 지나치게 열악했다. 속성 제작을 위한 편범들이 등장했고 실험은 유예되었다. 풍성한 다작의 시대였지만 이것이 고품질을 보장해주지는 못했다.
재정적, 기술적 환경은 당시 영화음악의 스타일을 결정지었다. 그렇지만 클래식 계열, 대중음악 계열, 국악이나 뮤지컬 계열 등 많은 분야 출신의 음악인들이 영화음악과 관계를 맺었다. 또한 다양한 경향의 음악과도 화학작용을 일으켰다. 물론 이는 정치사회문화의 변동, 즉 기술적 진보와 영화 및 음악의 변화, 수용자의 변화 등을 겪으며 형성된 것들이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새로운 길의 모색이 있었고 그런 과정에서 걸작들이 탄생했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