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광고/홍보/PR
· ISBN : 9788958610786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08-06-16
책 소개
목차
1장 One-argument-and-one-ground PR이란?
1. One-argument-and-one-ground PR의 정의
2. 왜 One-argument-and-one-ground PR이 필요한가?
2장 ground란 무엇이며,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1. ground의 정의와 유형
2. ground의 유형별 특성
3장 One-argument-and-one-ground PR에 의한 PR기획
1. ground 개발에 기반한 이슈 및 스테이크홀더 선정
2. 통합적 스테이크홀더 맵과 통합적 스테이크홀더-SWOT 표 작성
3. S²MAR²T²형 PR목표 설정
4. 스테이크홀더 분석
5. 메시지와 프로그램의 제시
6. 평가
7. 예산
8. 일정
4장 결론, 그리고 PR영역의 확대와 One-argument-and-one-ground PR
1. One-argument-and-one-ground PR의 가치와 의미
저자소개
책속에서
PR실무자의 역량과 전문성은 PR실무자(혹은 PR대행사)의 말과 글, 즉 argument로 평가받는다. 공허한 argument, 비합리적인 argument, 현실을 반영하고 미래를 예측하지 못하는 argument를 내세울 경우, 확대되는 PR영역으로부터 발생하는 과실을 다른 분야의 전문가에게 고스란히 빼앗기게 된다. ground에 기반을 두지 않은 argument는 더 이상 의미가 없다.‘단 한 줄의 주장 혹은 제안도 허투루 하지 않는 PR’인 One-argument-and-one-ground PR이 그래서 더욱 필요하다.-본문 136p 중에서
예를 들어 롯데월드의 PR을 맡고 있는 대행사의 AE(혹은 롯데월드의 PR부서 담당자)가 기업 이미지 쇄신 및 내방객 증가를 위해 판도라TV, 엠군 등의 UCC사이트를 이용해 ‘CF공모전’을 제안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이벤트를 위해서 판도라TV에 배너광고 및 이벤트 페이지 이용료를 지불해야 함은 물론이고, 경품을 마련하는 비용도 추가로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CF공모전의 참여자 수를 제고하기 위해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사이트에도 배너광고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미니홈피, 블로그 등도 이번 행사를 위해 개설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정도의 기획만 하더라도 적지 않은 돈이 소요되는데, 과연 이런 돈을 들일 만한 가치가 있는 이벤트인지에 관한 탄탄한 ground를 AE가 제시하지 못한다면, 고객사(이 경우에는 롯데월드)가 그 제안을 받아들일 리 만무하다. One-argument-and-one-ground PR을 지향하는 AE라면, 먼저 ground의 확보에 주력할 것이다.-본문 25~26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