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프레젠테이션/회의 > 프레젠테이션
· ISBN : 9788958610878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08-12-26
책 소개
목차
Ⅰ. 광고 프레젠테이션이란
광고 프레젠테이션 정의
프레젠테이션의 유형
1. 광고회사 소개 프레젠테이션
2. 기존 광고주 프레젠테이션
3. 경쟁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 단계
Ⅱ. 준비 단계에서 모든 것이 결정된다 - PT기획부터 연습까지
기획팀의 역할
1. 새로운 광고주를 물색하라
2. 첫 만남에 모든 것을 걸어라
3. 오리엔테이션을 최대한 활용하라
4. 경쟁에서 이길 준비를 하라
5. 크리에이티브 브리프를 작성하라
제작팀의 역할
1. 소비자가 공감하는 빅 아이디어의 조건
독창성|호감도|유머|영리함|신뢰감|단순화|임팩트|과장
매체팀의 역할
1. 매체의 종류
TV광고|라디오광고|신문광고|잡지광고|케이블TV광고|SP매체|모바일광고|DMB광고|인터넷광고
2. 매체기획 노하우
자료 준비하기|미디어 브리프 만들기
임원들의 역할
1. 효율적인 팀워크 관리
2. 원활한 회의 운영
최종 마무리연습
1. 실전 같은 연습
2. 체크리스트 확인
3. 프로다운 자세
4. 극적인 효과 연출
Ⅲ. 발표에도 전략이 필요하다 - 실전에 강한 PT기술
결정권자를 고려한 상황분석
1. 광고주, 그들은 누구인가
청중분석|체크리스트|맞춤형 경쟁 프레젠테이션
결정에 유리한 시간전략
1. 요일별 장단점
2. 시간대별 장단점
3. 일반적인 발표순서
청중을 설득하는 발표전략
1. 좋은 발표자, 나쁜 발표자
2. 적절한 제스처는 분위기를 살린다
3. 크고 분명하게 말한다
4. 옷도 발표의 일부다
Ⅳ. 아직 끝나지 않았다 - PT 뒷이야기
또 다른 시작
1. 기회는 남아 있다
광고주 관리
1. 기존 광고주를 지키는 법
2. 새로운 관계를 위한 첫걸음
광고현장 사례들
경쟁PT 전에 알아둘 사항
경쟁PT 일정표 작성하기
조사 프로그램 진행 시 유의사항
브랜드전략의 기본 체크리스트
크리에이티브 브리프의 실례
경쟁PT를 위한 기획서 작성 실례
광고 제작팀 작업의 실례
미디어 브리프의 실례
매체기획의 실례
저자소개
책속에서
크리에이티브 브리프(Creative Brief)가 광고회사에서 이루어지는 광고제작과 관련하여 모든 일의 기초가 된다는 것은 두말할 것 없는 사실이다. 이것은 모든 광고전략의 기폭제이며 동시에 모든 제작 업무의 가이드 역할을 한다.
결국 크리에이티브 브리프는 광고회사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의 출발점이 된다. 따라서 제작 브리프 없이는 그 어떤 일도 진행되지 않는다(물론 모든 광고회사가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것이 살아 숨 쉬어야 모든 광고 업무가 완벽하고 적절하게 표출될 수 있다.
크리에이티브 브리프는 반드시 영감을 제공해야 하며, 뛰어난 작품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광고주 서비스 과정에서 크리에이티브 브리프(브랜드 및 경쟁사에 대한 충분한 이해)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 70쪽, '크리에이티브 브리프 작성 기술' 중에서
광고주의 결정과 행동을 얻기 위하여서는 광고주들을 정확히 분석해야 한다. 물론 경쟁 프레젠테이션에서 발표자는 100%의 주도권을 가지고 있긴 하다. 광고주는 듣고 싶지 않은 말을 하는 발표자의 발표를 일방적으로 들어야 한다는 말이다. 설사 광고주가 발표내용에 대하여 추가설명이나 이의를 제기를 한다고 해도 발표자는 슬기롭게 100%의 주도권을 사용함으로써 그 상황을 모면할 수 있다.
하지만 경쟁 프레젠테이션은 발표를 하는 것만이 목적이 아니라 결정과 행동을 얻기 위하여 실시한다. 그러므로 철저하게 광고주에 대해 많은 것을 파악한 상태에서 경쟁 프레젠테이션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광고주는 어떤 사람들인가? 그들은 여기에 왜 와 있는가? 그들이 여기에서 당신의 설명을 듣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이러한 것들을 알아내는 과정이 바로 ‘광고주 분석’, 즉 ‘청중분석’이다. - 212~213쪽, '광고주, 그들은 누구인가' 중에서
신규 광고주에게 무엇을, 어떻게, 다른 대행사와 차별적으로 해줄 수 있는 가에 대한 증명을 보여 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회사의 케이스스터디(Case Study)를 이용하는 방법이 좋다. 이는 광고회사의 실적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때에는 절대로 거짓말을 하지 않아야 하며 명확하게 진실만을 말해야 한다. 케이스스터디의 이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성공 캠페인 사례로 설명할 수 있다. 이때에는 성공 캠페인에 광고주의 역할이 주요하였다는 점을 알려 준다. 즉, 광고주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 시킨다. 그래야 광고주가 신규 광고주가 되었을 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사례 연구를 통해 광고주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와 관련된 사례를 국내외 자료를 이용하거나 조사를 하여 기존 광고회사와의 문제점이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해서 우리의 강점을 부각시키는 데 이용한다.
그리고 광고주의 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할 때엔 우리의 기존 광고주들 중 이와 유사한 경우가 있었는지를 찾아봐서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 대응했는지도 보여 준다. 그때에는 결과에 대해 잘못한 것이 무엇이고 잘한 것이 무엇인지를 가감 없이 진실만을 이야기해야 한다. 우리의 서비스, 우리가 만든 광고, 그리고 우리가 사용한 광고주의 예산에 대한 모든 책임이 우리 회사에 있음을 설명한다.
세 번째는 우리의 기존 광고주들에 대한 자부심을 표현한다. 우리가 그들을 위해서 하는 일뿐만 아니라 그들과 그들이 하는 사업에 대해 우리가 얼마나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 준다. 모든 광고주들은 자신들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존중받기를 원한다.
네 번째는 현재 우리 회사가 어느 정도에 와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의 장래성에 대해서 이야기해 준다. - 28~29쪽, '인상에 남는 회사 소개법'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