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88958621720
· 쪽수 : 445쪽
· 출판일 : 2007-02-20
책 소개
목차
지은이의 말
서설
18세기의 미친 바보들
1부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자의식과 세계 인식
1. 18세기의 문화 개방과 조선 지식인의 세계화 대응
2.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벽'과 '치' 추구 경향
3.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자의식 변모와 그 방향성
4. 18,19세기 문인 지식인층의 통변 인식과 그 경로
2부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지적 경향
1. 18세기 산수유기의 새로운 경향
2. 18,19세기 문인 지식인층의 원예 취미
3. 18세기 지식인의 완물 취미와 지적 경향
4. 18세기 원예 문화와 유박의 <화암수록>
5. 이덕리가 지은 <동다기>의 차 문화사적 자료 가치
3부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자의식과 내면 행간
1. <동사여담>에 실린 이언진의 필담 자료와 그 의미
2. 18세기 시단과 일상성의 시세계
3. 18세기 우정론의 맥락에서 본 이용휴의 생지명고
미주
찾아보기(인명)
찾아보기(작품명 및 주제어)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8세기 들어 갑자기 '벽(癖)' 예찬론이 쏟아져 나온다. 일종의 매니아 예찬론이다. 무언가에 미친다는 뜻의 '벽'이란 말은 이 시기 지식인의 한 경향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박제가(朴齊家)는 "벽이 없는 인간은 쓸모없는 인간"이라고 공공연히 말했다. 또 '치(癡)', 즉 바보 멍청이를 자처하고 나서는 경향도 생겨났다. 관습적 기준에서 볼 때 비정상적으로 미친 '벽'이 사회적 통념으로는 '치'로 인식되었다. 설치(雪癡), 치재(癡齋), 매치(梅癡), 간서치(看書癡), 석치(石癡) 등 치자가 들어간 이름이나 호가 부쩍 많아지는 것은 그 반영이다.
이들은 미쳤다거나 바보 같다는 말을 오히려 명예롭게 여겼다. 미치지도 못하고 그럭저럭 욕 안 먹고 사는 것은 죽느니만 못하다고 생각했다. 이 지점에서 근대의 에너지가 뿜어져 나온다. 지식의 패턴이 달라지고, 정보의 인식이 바뀌었다. 삶의 목표 또한 궤도 수정이 불가피했다.
편집광적인 정리벽과 종류를 가리지 않는 수집벽, 사소한 사물에까지 미친 애호벽이 동지적 결속 아래 열광적 지지를 받았다. 성현의 도를 실현하는 군자적 삶의 이상은 시정(市井)의 목소리에 점차 파묻혔다. 서울과 지방의 문화 격차는 하루가 다르게 현격하게 벌어졌다. 정조가 문체반정(文體反正)이란 사정의 칼날을 빼들지 않을 수 없었으리만큼 그 파급력은 대단했다. 지방의 지식인들에게 서울 문화계의 이런 풍조는 그저 해괴한 망국의 조짐으로밖에 비쳐지지 않았다. - 본문 13~14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