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에겐 위기 극복의 유전자가 있습니다

우리에겐 위기 극복의 유전자가 있습니다

배순훈 (지은이)
여백(여백미디어)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에겐 위기 극복의 유전자가 있습니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에겐 위기 극복의 유전자가 있습니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88958660606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08-12-10

책 소개

MIT 공학박사이자 카이스트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인 배순훈 박사의 전화위복 경제론을 소개한다. 이 책은 세계 경제의 위기 속에서 우리는 누구이며, 우리의 문제는 무엇이고, 우리가 다시 성장의 기치를 올리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야기한다. 저자는 경제 해법의 실마리를 제시하는 직언을 한국 사회를 향해 던진다.

목차

머리말_한(恨)의 문화를 흥(興)의 문화로…

프롤로그_잘못된 그림은 지워야 새로 그릴 수 있다
◇ 창의적 선택으로 새 패러다임을 찾아야 길이 보인다
◇ ‘한강의 기적’을 과거로 묻어둘 것인가?
◇ 우리 발목을 잡아온 세 가지 한
◇ 맺힌 한을 풀어야 우리 모두의 기를 모을 수 있다


1부 지난날 우리들의 이야기

한강의 기적은 생산현장에서 일어났다
◇ ‘과학도 서민 생활을 생각해야 합니다’
◇ 부지런한 근로자가 한강의 기적을 일으켰다

누가 이들에게서 신명을 빼앗았는가?
◇ 기업가들의 역할

섬유산업에서 중공업 분야까지
◇ 김우중 회장의 추진력과 비전
◇ 중공업 분야에서 빛을 발한 김우중식 기술개발
◇ 기존 관행에 얽매이지 않는 젊은 기업 대우
◇ 국가 리스크를 책임 관리한 주인과 대리인들

벼랑 끝에서도 신명이 났는데
◇ 임금하청부터 시작한 대우전자의 초창기
◇ 경영개혁으로 불량률 제로에 도전하다
◇ 대한전선 합병 후 새로운 대우전자로 출범

대통령이 주도한 경제 발전이 남긴 숙제
◇ 첫 번째 남긴 숙제, 인권을 존중하는 민주주의
◇ 두 번째 남긴 숙제, 자유경쟁을 보장하는 시장경제
◇ 세 번째 숙제, 우리 고유의 창의성 회복

1980년의 중화학공업 분야 구조조정
◇ 국보위가 나서서 구조조정 칼날 휘둘러
◇ 박사보다 경쟁력 뛰어난 산업현장 근로자들
◇ 중화학공업으로의 전환기에 봉착한 문제들
◇ 이제는 한풀이를 그쳐야 할 때

6·29 선언으로 현장 근로자는 무엇을 얻었는가?
◇ 망국적 노동쟁의, 언제까지 계속되어야 하나?
◇ 노동임금 이전에 일자리 자체를 보호해야 할 때


2부 우리는 누구인가

문민정부 김영삼 대통령의 걱정
◇ 대우전자의 약진과 해외 생산현장에서의 새 고민
◇ 세계화 정책과 과거사 바로잡기는 시작되었으나
◇ 밴쿠버 APEC 회의에서 대통령과 나눈 대화
◇ 문민정부의 실패에서 우리가 얻어야 할 교훈

IMF 이후 우리 경제성장이 둔화된 이유
◇ 혹독한 구조조정과 국가 경제의 침체
◇ 국유화로 리스크 관리를 못하게 된 은행에서 일어난 일
◇ 산업 경쟁력은 외면한 채 이루어진 금융 조작
◇ 민영화의 발목을 잡는 집단 이기주의
◇ 국민은 없고 개인만 남은 시대의 과제

정보통신 선진국을 향한 노력
◇ 고속통신망 사업에 민간기업 투자 유도
◇ 우리 소비 여건이 정보통신 강국을 만들었다

햇볕정책과 남북의 평화 공존
◇ 남포에 남북 합작 공장 건설을 제안했건만
◇ 김책공대 부총장과의 황당한 대화
◇ 햇볕정책으로 우리는 무엇을 얻었나?

‘민주 투사’들이 운영한 우리 사회
◇ 시장경제에 익숙지 못한 운동권 출신 인사들
◇ 위원회 공화국의 공허한 입씨름
◇ “엘리트 얘기는 국민정서에 맞지 않습니다”

동북아 경제 중심으로 가는 길
◇ 지역균형 때문에 ‘노’, 평준화 때문에 ‘노’
◇ 과거의 한은 풀고, 개인의 창의성은 높이고
◇ 지식 서비스 분야에 기회가 있다


3부 창의적 인재가 경쟁력이다

세계 경제 환경은 또 다른 우리의 기적을 용납할까?
◇ 환경 위기, 자원 부족 시대에 선진국으로 가는 길
◇ 기술을 살 것인가, 아니면 개발할 것인가?
◇ 지식정보사회에 필요한 대한민국의 성장 엔진
◇ 소형 유럽 선진국보다 우리나라는 큰 나라이다
◇ ‘우리가 잘하는 일’로 인류 사회에 기여할 때

새 세대 기업가들의 기업관
◇ 문민정부 이후 우리가 잃어버린 가치들
◇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데 기업의 기회가 있다
◇ 대기업이 떠맡아야 할 사회적 책임 두 가지
◇ 규제 완화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

지식 경쟁의 핵심은 창의력이다
◇ 자유시장 경쟁을 이끌어 나갈 인재 필요
◇ 창의적 역량 강화를 위해 해야 할 일들
◇ 창조 경영과 창조적 인재
◇ 세계 일류 대학이 되려면 창의성부터 가르쳐라

재성장하려면 운영 시스템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 시장 경쟁의 발목을 잡는 균형 발전
◇ 대한민국의 ‘집단가치’를 새로 세우자
◇ 창의적 개인들이 우리의 성장 엔진
◇ 포텐셜, 모멘텀, 프릭션 세 요소의 재설계가 필요


에필로그
◇ 국제 경쟁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 시대는 창의적 지도자를 요구한다
◇ 기본으로 돌아가자, 거기에 새로운 그림이 보인다

저자소개

배순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MIT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Borg-Warner사 선임기사로 현장 근무를 하다 1972년 귀국해 KAIST 기계공학과 부교수로 재직했다. 대우중공업 기술본부장으로 다시 산업현장 근무를 시작했고 리비아 해외 건설 현장을 마지막으로 귀국한지 10년 만에 미국으로 돌아가 Stanford대학에서 강의를 하며 실리콘 밸리에서 ID Focus사를 창업했다. 다음 해 MIT 초청으로 미국 산업 경쟁력에 대한 강의를 하면서 보스톤 495 첨단산업단지에서 벤처기업 Mixalloy사를 운영했다. 대우-GM 합작회사인 대우자동차부품 초대 사장직을 맡아 다시 귀국해 대우그룹에서 20년 간 재직하고 대우전자 회장을 끝으로 퇴임했으며 ‘탱크주의’ 신화를 이끌었다. 김대중 정부 초대 정보통신부 장관으로 입각해 IT 강국의 기반을 다졌고 우체국 혁신을 추진했다. 이후 KAIST 경영대학에 복직해 MBA과정 정규 강의와 기업 전문과정을 개설하고 Monitor Group, Linux One, Mirae Online 등에서 경영자문을 수행했다. 노무현 정부에서는 동북아중심추진위원장으로 한국투자공사 설립을 주도했다. 2009년 국립현대미술관장으로 취임해 서울관 건축을 주도하고 세계적 미술관으로 이름을 올렸다. 공직 은퇴 후 지식 봉사로 S&T중공업 회장을 맡았고 현재는 글로벌경영협회 회장과 JM Robotics 이사회 의장을 맡아 사회 기여에 힘을 쏟고 있다. 대한민국 과학기술상, 한국경영자대상, 프랑스 레종도뇌르 훈장, 브라질 히오브랑코 훈장, 협성사회공헌상 수상 등 다방면에서 공로를 인정받았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