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8721673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9-10-15
책 소개
목차
작가의 글
1장. 도시의 냄새를 맡다
1 악취에 시달리던 파리
2 냄새로 말하는 도시
3 자연의 향기를 찾아서
4 냄새로 그린 도시
5 악취와 도시의 갈등
6 도시의 잔향
2장. 도시의 소리를 듣다
1 보이지 않는 소리
2 도시를 지배했던 종소리
3 소음이 된 소리
4 자연의 소리를 찾아서
5 소리로 기억하는 도시
6 노래하는 도시
3장. 도시의 피부를 만지다
1 촉감으로 기억하는 도시
2 도시의 피부
3 도시의 온도와 습도
4 새로운 촉감을 찾아서
5 도시의 움직임
6 만지고 싶은 도시
4장. 도시의 맛을 느끼다
1 소금으로 만든 도시
2 설탕으로 발전한 도시
3 맛있는 도시
4 도시와 지역 음식
5 전통의 맛을 찾아서
6 도시의 맛
참고 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처럼 냄새는 도시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부르주아 계층은 공장의 악취를 피하기 위해 동쪽이 아닌 서쪽을 선택해 그들만의 쾌적한 주거지를 만들었다. 아름다운 경치, 편리한 교통 등 좋은 주거 환경의 조건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이 모든 것은 악취가 없는 지역이라는 기본 조건을 갖춰야 가능할 것이다. 13구역은 악취를 피해 도망갈 수 없던 저소득층의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헤어지고 난 후의 여운이 남는 사람에 대해 우리는 가장 좋은 느낌을 갖는다. 조향사가 향수를 만들 때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은 화려한 향과 헤어진 후 은은하게 여운이 남을 베이스 노트가 아닐까? 인간관계처럼 가장 깊은 인상을 주는 공간은 향기가 여운으로 남는 베이스 노트 같은 공간일 것이다.
도시의 자동차 소음은 도로의 넓이와 표면 마찰력의 함수로 단순히 치환되지 않는다. 그 안에 사람들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바쁠수록 차량은 빠르게 움직이고, 사람들은 시끄러운 환경 속에서 생활한다. 도로의 소음 크기는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삶의 속도와 비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