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트렌드 지식 사전 4

트렌드 지식 사전 4

(최신 키워드로 보는 시사 상식)

김환표 (엮은이)
인물과사상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0원
16,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3,82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트렌드 지식 사전 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트렌드 지식 사전 4 (최신 키워드로 보는 시사 상식)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트렌드/미래전망 > 트렌드/미래전망 일반
· ISBN : 9788959063482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5-06-30

책 소개

대중문화 현상과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에 관한 다양한 콘텐츠를 생산해온 편저자는 이러한 체계적인 정보.지식 관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문화.디지털.경제.사회.세계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키워드 200개를 선별해 소개해왔다.

목차

머리말 . 05

1 Life Section
가족 살해 . 13 | 교사 무기력증 . 15 | 난민 유령선 . 17 | 노노 부양 . 19 | 노블레스 노마드족 . 21 | 다자녀의 역설 . 22 | 독친 . 24 | 딸 효과 . 27 | 명절 자살 . 29 | 미스터리 쇼퍼 . 31 | 반한국인 . 33 | 배운녀자 . 35 | 부원병 . 37 | 사전 장례의향서 . 39 | 상속 빈곤층 . 40 | 소버린 시티즌 . 42 | 신중년 . 44 | 안나 카레니나 법칙 . 46 | 앵그리 맘 . 48 | NG족 . 50 | 5포 세대 . 52 | 조직 에너지 총량의 법칙 . 54 | 트라이 투어 슈머 . 56 | 플리퍼족 . 58 | 흑인 역이동 . 59

2 Society Section
고향 납세 . 63 | DNA법 . 65 | 맞춤형 뇌물 . 67 | 메이와쿠 콤플렉스 . 69 | 세 모녀법 . 72 | 스몰 빅 . 75 | 스위스 패러독스 . 77 | 아니무스 콤플렉스 . 78 | 어용대 . 80 | ABCD론 . 82 | 울혈 사회 . 84 | 62퍼센트 법칙 . 86 | 의산복합체 . 88 | 의전 사회 . 90 | 이별 범죄 . 92 | 이케아 연필 거지 . 94 | 임신 순번제 . 96 | 채용 세습 . 98 | 추첨 민주주의 . 100 | 친구의 역설 . 102 | 코피노 소송 . 104 | 폴리애나 효과 . 106 | 프리카리아트 . 108 | 협상 3.0 . 110 | 화병 . 111

3 Economy Section
고아 계약자 . 115 | 공유경제 . 117 | 공유경제 논쟁 . 119 | 구글세 . 122 | 근린 궁핍화 정책 . 125 | 노동소득 분배율 . 127 | 더블 아이리시 . 129 | 랜드맨 . 131 | 모바일 쇼핑 . 133 | 버내큘러 디자인 . 135 | BAT . 136 | 빅소사이어티 캐피털 . 138 | 셀럽 경제 . 139 | 소득 주도 성장론 . 141 | 어크 하이어 . 144 | 역할 대행업 . 145 | 인터넷 무역장벽 . 147 | 자이브 . 149 | 중산층 경제론 . 150 | 지니 금리 . 151 | 초단기 노동 . 153 | 팁 크립 . 155 | 포용적 성장 . 157 | 하이퍼로컬 . 159 | 효율 임금 이론 . 160

4 Marketing Section
검색 광고 . 165 | 고용된 모금가 . 168 | 골드 퀸 . 170 | 공익광고 홀대 . 172 | 공항 패션 . 174 | 과잉만족 . 176 | 관광 두레 . 178 | 그로서란트 . 180 | 극장 광고 . 181 | 날씨 경영 . 184 | 리테일테인먼트 . 186 | 배너 광고 . 188 | 브랜드 웹툰 . 190 | VIK . 192 | 비교 광고 . 195 | 빈곤 포르노 . 197 | 스토리두잉 . 200 | 싱글스데이 . 202 | 앱 쿠폰 . 204 | 여미족 . 206 | 왼쪽 자릿수 효과 . 208 | 유튜브 광고 . 210 | 종합마케팅 솔루션 회사 . 122 | 트루뷰 . 214 | 파파라치 마케팅 . 216

5 Technology Section
갈라파고스의 비극 . 221 | 감성 ICT . 223 | 광유전학 . 225 | 군산디지털 복합체 . 227 | 근원적 독점 . 229 | 기가 인터넷 . 231 | 내추럴 UI . 233 | 뉴로모픽 칩 . 235 | 데이터 난로 . 236 | 데이터 마이닝 . 238 | 동영상 6초 전쟁 . 240 | 딥 러닝 . 242 | 머신 러닝 . 244 | 모바일 온리 . 247 | 블러링 . 250 | BCI . 252 앱 권한 . 254 | 앱 중립성 . 256 | MCN . 258 | 5G 이동통신 . 260 | 우버 . 264 | 우버피케이션 . 266 | 이미테이션 게임 . 267 | 텔레그램 . 269 | 트위터 뮤트 . 271

6 Digital Section
검색어 자동 완성 성차별 . 275 | 공유 저작물 . 276 | 구글 세대 . 278 | 구글포비아 . 280 | 구글 효과 . 282 | 댓글 놀이 . 284 | 데이터 민족주의 . 286 | 디지털 에이징 . 288 | 디지털 좀비 . 290 | 디지털 지능지수 . 292 | 디지털 촌지 . 294 | 디지털 파놉티콘 . 296 | 디지털 필화 . 298 | 모바일 키즈 . 301 | V로거 . 303 | 블로고스피어 . 306 | 사이버 망명 . 308 | 섹스마트 폰 . 310 | 소셜 검색 . 312 | SNS 우울증 . 314 | SNS 이별 . 316 | SNS 허세 . 318 | 연결과잉 . 320 | 유튜브 음란물 . 322 | 초연결 사회 . 324

7 Culture Section
가베돈 . 329 | 간헐적 단식 . 331 | 강남 냉장고 . 333 | 게이 프라이드 . 335 | 녹색 아편 . 337 | 랜선 맘 . 339 | 모루밍족 . 342 | 모바일 맘 . 344 | 모바일 영화 . 346 | 보그 병신체 . 348 | 불금 . 350 | 브로맨스 . 353 | 선비질 . 355 | 소비 행복론 . 357 | 스드메 . 359 | 어그로 . 362 | 엄마 포르노 . 364 | 연기돌 . 366 | 요리의 역설 . 368 | 웹소설 . 370 | 이쑤시개 음악 . 372 | 2차 커피족 . 374 | 커피 공화국 . 375 | 프래밀리 . 377 | 하프 셰어족 . 378

8 Media Section
광고 편집권 . 381 | 뉴스 큐레이팅 . 384 | 드론 저널리즘 . 386 | 디지털 소매치기 . 388 | 디지털 퍼스트 . 390 | 디지털 퍼스트 갈등 . 393 | 로봇 저널리즘 . 395 | 리스티클 . 398 | 모바일 뉴스 . 401 | VOD 가격 논쟁 . 404 | 센서 저널리즘 . 406 | 스케치 뉴스 . 409 | 『슬로우뉴스』 . 411 | SMR . 413 | 유령 광고 . 416 | 유튜버 . 417 | 저작인격권 . 420 | 정파 저널리즘 . 422 | 카드 뉴스 . 424 | 키즈 크리에이터 . 426 | 『텔레그래프』스캔들 . 428 | 파워 크리에이터 . 431 | 페이지 스리 걸 . 433 | PIP . 435 | 하이에나 저널리즘 . 437 | 하이퍼로컬 저널리즘 . 440

주 442
찾아보기 467

저자소개

김환표 (엮은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신문방송학을 공부했다. 커뮤니케이션 행위와 대중문화, IT문화에 관심이 많은 저술가다. 저서로 한국 드라마의 역사를 다룬 『드라마, 한국을 말하다』(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끼친 IT 인물 15명을 다룬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IT 거인들』, 최고경영자의 삶과 철학과 비전을 살펴본 『부와 혁신의 설계자들』 등이 있다. 편저로 『트렌드 지식사전』(전6권), 공저로 『사람은 꽃보다 아름다운가』, 『미래를 파는 디지털 상인들』 등이 있다. 포털사이트 『다음』의 ‘다음백과’에 ‘글로벌 기업 스토리’라는 제목으로 구글, 페이스북, 유튜브 등 50여 개의 기업에 대한 글을 연재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배우자 사망 후 전 재산을 자녀들에게 증여한 뒤 궁핍하게 사는 부모들을 말한다. 재산을 물려주고도 버림받는 노인들이 급증하면서 상속받은 자녀를 상대로 한 부모의 부양료 청구도 증가하고 있다. 2007~2013년 사이 선고된 부양료 청구사건 판결문 226건 가운데 부모·자식 간 소송은 144건(원고 151명)이었는데, 10건 중 3건은 상속 빈곤층 부모가 제기한 것이었다. 대법원 통계에 따르면 2002년 68건이었던 부양료 소송은 2013년 250건으로 늘었다. 한국가정법률상담소 곽배희 소장은 “자식들에게 다 퍼주고 대책 없이 늙어버린 부모 세대가 ‘같이 못 살겠으면 돈이라도 대라’며 권리를 주장하고 있다”며 “슬픈 현실이지만 어쩔 수 없는 흐름”이라고 했다. 「상속 빈곤층」


2014년 12월 9일 정기국회에서 통과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정안’, ‘긴급복지지원법 개정안’,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을 지칭한다. 2014년 2월 발생한 서울 송파 세 모녀 자살 사건을 계기로 ‘세 모녀’와 같이 극심한 생활고를 겪으면서도 제도적인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을 찾아내고 지원하는 제도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제정되었다. 서울 송파구에 사는 세 모녀가 큰딸의 만성 질환과 어머니의 실직으로 인한 생활고에 시달리다가 “정말 죄송합니다”라는 메모와 함께 갖고 있던 전 재산인 현금 70만 원을 집세와 공과금으로 놔두고 번개탄을 피워 자살한 사건을 일러 송파 세 모녀 자살 사건이라 한다. 「세 모녀법」


가계소득 증대를 통해 소비와 투자를 촉진시켜 경제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경제성장 이론이다. 임금 주도 성장론이라고도 한다. 임금을 낮추고 기업의 이윤을 높임으로써 투자와 수출을 촉진해 경제성장을 하자는 수출·대기업 중심의 성장론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임금을 중심으로 가계소득을 늘리면 소비증가와 투자확대가 이어져 경제성장의 선순환 고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게 소득 주도 성장론의 핵심 내용이다. 국제노동기구가 2010년경부터 제안한 성장 이론으로, 소득 불평등에 주목한 성장 담론이라 할 수 있겠다. 2012년 국제노동기구가 펴낸 「임금 주도 성장: 개념과 이론, 정책」보고서는 “(기업) 이익이 주도하는 성장 체제가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결과를 낳았다. 신자유주의의 이익 주도 성장을 대체할 수 있는 성장론”이라고 했다. 「소득 주도 성장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