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물학
· ISBN : 9788959090075
· 쪽수 : 278쪽
· 출판일 : 2005-11-03
책 소개
목차
머리말_ 바이러스의 창으로 세계를 본다
1.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바이러스는 생물인가 무생물인가?
보이지 않는 것을 본다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겼을까?
바이러스가 쳐들어간다?
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동물
바이러스 유전자가 말해준다
바이러스 연구는 어떻게 할까?
2. 인간 Vs 바이러스
세계를 위협한 사스 - 바이러스가 사는 길
식민지 개척과 새로운 질병의 전파
감기와 독감
장바이러스와 수막염
여름철 눈병과 바이러스
새로운 바이러스의 발생
새로운 질병과 예방
구제역과 돼지콜레라
식물의 바이러스병
암과 바이러스의 역사
바이러스는 어떻게 암을 일으키는가?
아닌 땐 굴뚝에 연기 날까? - 인유두종 바이러스
3. 바이러스와 인간의 미래
바이러스의 기원을 찾아서
생물칼, 바이러스도 화장을 한다
생물무기, 제3의 전쟁
바이러스는 친구인가 적인가?
바이러스와 백신
바이러스를 이용해 바이러스를 잡는다
광견병 예방주사와 종두법 - 파스퇴르와 제너
세균 바이러스의 이용
바이러스와 인류의 공생
더 읽을거리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바이러스와 숙주의 만남은 아무렇게나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우연히 만나는 것이 아니라 목적한 바를 이루기 위해 필연적으로 찾아나서는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바이러스는 아무 숙주에게나 쳐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침입할 숙주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를 특이성이라고 한다. 따라서 바이러스와 숙주 세포는 침입을 전제로 하는 필연적 만남이다.
바이러스는 숙주와 아주 긴밀한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바이러스는 숙주 없이 혼자서 살아갈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아무 숙주에나 들어가 살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하고많은 숙주 중에서도 소위 궁합이 맞는 경우에만 들어가 살 수 있다. 그리고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른 방법으로 숙주 몸 안으로 들어간다. 세균 바이러스와 동물 바이러스 그리고 식물 바이러스는 제각기 독특한 방법을 개발하여 숙주를 찾아 나선다. - 본문 4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