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의 이해 > 과학사/기술사
· ISBN : 9788959090112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06-02-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공학기술은 무엇이고 엔지니어는 어떤 일을 하는가?
1-1. 엔지니어는 누구이며 무슨 일을 하는가?
1-2. 기술이란 무엇인가? 기술과 과학은 어떻게 다른가?
1-3. 기술의 역사
1-4. 공학기술의 특성
1-5. 발견, 발명과 혁신
1-6. 정리
토론 주제
2. 기술과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들
2-1. 기술의 가치 중립성 : 기술은 양날의 칼인가?
2-2. 기술결정론
2-3. 마르크스의기술관
2-4. 기술의 사회적 구성론
2-5. 기술 시스템과 모멘텀
2-6. 공학기술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종합적 관점
2-7. 정리
토론 주제
3. 성공한 발명, 혁신, 엔지니어
3-1. 성공적인 발명과 혁신 I : 제임스 와트
3-2. 성공적인 발명과 혁신 II : 굴리엘모 마르코니
3-3. 성공적인 발명과 혁신 III : 조지 이스트먼
3-4. 성공적인 기술혁신 I : 삼성 반도체
3-5. 성공적인 기술혁신 II : CDMA의 개발
3-6. 엔지니어의 성공적인 리더십 : 프레드릭 터먼
3-7. 정리 : 어떤 경우에 기술혁신은 성공하는가?
토론 주제
4. 현대 기술에 대한 반성
4-1. 기술적 실패 혹은 실패한 기술
4-2. 기술적 재앙
4-3. 기술적 위험 :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4-4. 기술에 대한 저항 : 러다이트 운동에 대한 재고찰
4-5. 정리
토론 주제
5. 현대 기술 프로젝트의 성격 변화
5-1. 정보통신혁명과 새로운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5-2. 테크노크라시에서 시민 참여의 기술로
5-3. 지속 가능한 발전과 지속 가능한 기술
5-4. 대안 에너지의 현재와 미래
5-5. 일상적 공학활동과 엔지니어의 윤리적 과제
5-6. 정리
토론 주제
6. 결론
참고문헌 해제
책속에서
우리는 기술의 역사를 통해 어떤 기술이 처음에 예상했던 것과는 다른 사회문화적 영향을 낳는 경우를 종종 볼 수있다. 기술의 궤적은, 앞에서 지적했듯이, 기술이 새롭게 열어주고 힘을 부여하는 사회 세력들과 동시에 그 기술 때문에 힘을 잃게 되는 사회 세력들 사이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가지치기식의 불규칙한 경로를 따른다. 기술의 궤적에 더 중요한 것은 기술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 세력들 사이의 힘의 관계이지, 기술의 초기 디자인에 각인된 발전 방향성이 아닌 것이다. - 본문 12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