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59338825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15-04-30
책 소개
목차
제1부 동학의 민족운동
동학농민운동의 연구 현황과 과제
1. 머리말
2. 20세기의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연구의 정리
3. 21세기의 동학농민운동 연구의 정리
4. 제2차 동학농민운동 연구의 과제와 전망
海月 崔時亨의 道統 傳授와 初期 布敎活動(1862~1875)
1. 머리말
2. 海月의 東學 入道와 修鍊
3. 道統 傳授
4. 布敎活動
5. 맺음말
동학과 동학농민운동의 관계
1. 머리말
2. 포접제의 실시
3. 동학농민운동의 전개와 포접제
4. 맺음말
황토현전투의 전개와 역사적 의의
1. 머리말
2. 황토현전투의 배경
3. 황토현전투의 전개
4. 맺음말-황토현전투의 역사적 의의
제2부 천도교의 민족운동
日帝下 水原地域 天道敎의 成長과 民族運動
1. 머리말
2. 동학의 전래와 성장
3. 수원지역 천도교의 성장과 활동
4. 수원지역의 3·1운동과 천도교
5. 1920년대 수원지역 천도교의 민족운동
6. 맺음말
正庵 李鍾勳의 國內民族運動
1. 머리말
2. 동학 입도와 동학농민운동 참여
3. 1910년대의 민족운동
4. 3·1운동기의 민족운동
5. 맺음말
일제하 孟山君農民社의 활동과 민족운동
1. 머리말
2. 천도교의 전래와 성장
3. 맹산군농민사의 설치와 활동
4. 맺음말
日帝下 朝鮮農民共生組合의 組織과 活動
1. 머리말
2. 朝鮮農民共生組合의 組織
3. 朝鮮農民共生組合의 活動
4. 맺음말
1930年代 天道敎의 理想農村建設論과 共作契
1. 머리말
2. 천도교의 공작계운동의 이론적 배경
3. 공작계의 설치와 활동
4. 맺음말
제3부 동학농민운동과 교과서
해방 이후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동학농민운동 서술의 변천
1. 머리말
2. 교육과정의 변천과 국사교육
3.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국사교과서의 서술 변천
4. 맺음말-동학농민운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한국사’ 교과서 서술의 비판적 검토
1. 머리말
2. 2013년 검정 한국사 교과서의 검정과 내용체계
3.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서술 검토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