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59338979
· 쪽수 : 339쪽
· 출판일 : 2015-06-25
책 소개
목차
지리산유람록을 통해 본 인문학의 길 찾기 _최석기
Ⅰ. 머리말
Ⅱ. 선인들의 지리산에 대한 인식
Ⅲ. 지리산유람록에 보이는 인문정신
Ⅳ. 맺음말
한시에 나타난 지리산 인식의 사상적 외연과 내포 _윤호진
Ⅰ. 머리말
Ⅱ. 지리산에 대한 인식과 그 사상적 외연
Ⅲ. 사상적 내포의 범주와 그 성격
Ⅳ. 지리산 인식의 특징과 그 한계
Ⅴ. 맺음말
지리산 유산시에 나타난 명승의 문학적 형상화 _강정화
Ⅰ. 머리말
Ⅱ. 지리산 명승에 대한 인식과 전승
Ⅲ. 지리산 명승의 문학적 형상화
Ⅳ. 맺음말
지리산권 누정 관련 기문에 나타난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인식 _황의열
Ⅰ. 머리말
Ⅱ. 누정기의 범주
Ⅲ. 누정 관련 기문 창작 전통
Ⅳ. 누정 명칭에 담긴 자연과 인간의 交?
Ⅴ. 지리산권 누정 관련 기문에서의 자연의 위상
Ⅵ. 맺음말
‘귀양 간 지리산’ 설화의 전승 배경과 변이 양상 _박기용
Ⅰ. 머리말
Ⅱ. 자료 검토 및 특성
Ⅲ. 설화 출현의 배경과 전개
Ⅳ. 설화의 전승 양상과 의미
Ⅴ. 맺음말
‘전시’된 식민지와 중층적 시선, 지리산 - 1930년대 여행안내기와 지리산 기행문 再考 _박찬모
Ⅰ. 머리말
Ⅱ. 여행안내기와 ‘전시’된 식민지
Ⅲ. 민족과 제국, 그 중층적 시선
Ⅳ. 맺음말
기억 서사와 문화적 소통 - 현대소설과 지리산 _송기섭
Ⅰ. 머리말
Ⅱ. 지리산 이야기와 장소감
Ⅲ. 구전 삽화의 은유적 구조
Ⅳ. 기억 장소의 정체성
Ⅴ. 맺음말
현대소설에 나타난 ‘지리산’의 문학적 형상화와 그 의미 - <지리산>·<태백산맥>·<피아골>을 중심으로 _조구호
Ⅰ. 머리말
Ⅱ. 다층적 의미의 공간인 지리산-<지리산>
Ⅲ. 투쟁과 역사의 공간인 지리산-<태백산맥>
Ⅳ. 운명과 속죄의 공간인 지리산-<피아골>
Ⅴ. 맺음말
한국 현대시와 지리산 - ‘지리산’의 공간적 의미를 중심으로 _조동구
Ⅰ. 머리말
Ⅱ. 현대시에 나타난 ‘지리산’의 공간적 의미
Ⅲ. 맺음말
오태석 희곡 '산수유'에서 지리산의 의미 _최상민
Ⅰ. 문제의 제기
Ⅱ. 기억의 재현과 공간
Ⅲ. 공간의 닫힘과 열림
Ⅳ. 해석, 존재의 공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