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59339327
· 쪽수 : 299쪽
· 출판일 : 2015-10-31
책 소개
목차
지리산의 노고단과 성모천왕
Ⅰ. 서론
Ⅱ. 통일신라시대 남원과 지리산
Ⅲ. 지리산 산신, 노고와 성모
Ⅳ. 지리산권에서 老姑·聖母 신앙의 역사와 유적
Ⅴ. 지리산 노고단과 성모천왕의 원형적 모습
Ⅵ. 결론
지리산 산신제의 역사와 지리산남악제
Ⅰ. 머리말
Ⅱ. 지리산 산신제의 역사적 전개
Ⅲ. 지리산남악제의 변천과 전통성
Ⅳ. 맺음말
智異山의 山神, 聖母에서 老姑까지
Ⅰ. 서론
Ⅱ. 지리산 성모천왕의 출현
Ⅲ. 지리산 성모천왕의 관련 설화
Ⅳ. 지리산 산신의 신격 변화
Ⅴ. 지리산 산신과 백의관음보살의 관련성
Ⅵ. 맺음말
지리산의 신성화 양상과 신성 표상
Ⅰ. 서론
Ⅱ. 지리산신에 대한 신앙과 의식
Ⅲ. 지리산의 신성표상과 성격
Ⅳ. 결론
신과 인간의 이상적인 만남 : 지리산신제
Ⅰ. 시작하는 말
Ⅱ. 역사적인 지리산신제 : 국가적인 제의
Ⅲ. 신과 인간의 이상적 만남인 축제로서의 지리산신제
Ⅳ. 맺는 말
지리산 성모에 대한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인식과 태도-지리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유람록을 통해서 본 지리산 성모신앙의 변화 양상
Ⅲ. 지리산 성모 유래설에 대한 인식
Ⅳ. 지리산 성모숭배에 대한 태도
Ⅴ. 맺음말
지리산 호경마을, 공동체 신앙의 의미와 기능에 관한 고찰
Ⅰ. 들어가기
Ⅱ. 공동체 신앙의 전승과 의미
Ⅲ. 공동체 신앙의 변화와 공동체 구성원의 의식
Ⅳ. 나오기
지리산권역의 취락에 미친 도선 풍수의 양상
Ⅰ. 머리말
Ⅱ. 지리산권역 고을의 도선 풍수
Ⅲ. 지리산권역 마을의 도선 풍수
Ⅳ. 맺음말 : 도선 풍수의 새 지평과 의미
마을 풍수의 문화생태-지리산권역의 마을을 사례로
Ⅰ. 머리말
Ⅱ. 지리산권역의 마을 풍수
Ⅲ. 마을풍수의 문화생태적 해석
Ⅳ. 맺음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