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퇴임 후로 본 미국 대통령의 역사

퇴임 후로 본 미국 대통령의 역사

(조지 워싱턴부터 아들 부시까지)

레너드 버나도, 제니퍼 와이스 (지은이), 이종인 (옮긴이)
시대의창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퇴임 후로 본 미국 대통령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퇴임 후로 본 미국 대통령의 역사 (조지 워싱턴부터 아들 부시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메리카사 > 미국/캐나다사
· ISBN : 9788959402519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2-11-20

책 소개

조지 워싱턴부터 아들 부시까지, 퇴임 후로 본 미국 대통령의 역사. 이 책은 미국의 '전임 대통령'이라는 특이한 직업이 형성되어온 과정을 통해, 한국의 독자들에게 '우리는 퇴임 대통령에게 무엇을 요구할 것인가' 하는 질문을 던진다.

목차

■ 옮긴이의 말 6
■ 미국 역대 대통령 연대표 12

서막/ 그늘로의 은퇴 또는 제2의 삶 15
권력과 영향력: 카터와 클린턴의 경우 22 | 전임 대통령이라는 직업 26 | 대통령 도서관이라는 신종 사업 32 | 대부 또는 킹메이커 34 | 영광이여 다시 한 번 38 | 낮은 자리에서 국민을 섬기다 40 | 부활의 화신, 닉슨 41 | 조지 W. 부시의 장래 44

1장 쪽박에서 대박까지─전직 대통령의 지갑 사정 51
버지니아 출신 대통령들의 대차대조표 55 | 안정적인 말년: 애덤스 가문의 경우 67 | 주머니의 90달러: 잭슨의 경우 69 | 안락한 은퇴 생활 72 | 아슬아슬한 말년: 그랜트와 헤이스의 경우 76 | 이름과 돈을 맞바꾸다 80 | 사양지심은 손해지심? 84 | 시스템에 발을 맞춰라 87 | 연금: 자존심과 품위 유지 89 | 과도한 특혜를 삭감하라 99 | 새로운 돌파구: 텔레비전과 출판 102 | 포드 대통령 주식회사 107 | 대통령 경력은 상품이 아니다 109 | 대박을 치다: 레이건, 클린턴, 부시의 경우 111

2장 역사를 다시 쓰는 법─대통령 기념 도서관 119
대통령 기념 도서관: 공공재인가 사유물인가 124 | 커져 가는 도서관 규모와 관리비 130 | 부자들이 사랑하는 도서관 135 | 9/11: 안보와 투명성을 저울질하다 138 | 초기의 도서관들: 루스벨트, 트루먼, 아이젠하워 139 | 허버트 후버 기념 도서관: 반공의 깃발을 휘날리다 143 | 제2의 파문: 린든 B. 존슨 146 | 도서관게이트: 닉슨의 또 다른 악몽? 150 | 1980년대의 대통령 기념 도서관: 포드와 카터 159 | 스탠퍼드, 후버의 계승자를 거부하다: 레이건 기념 도서관 162 | 조지 W. H. 부시의 전쟁·자동차·말 박물관 170 | 윌리엄 J. 클린턴의 미래로 향하는 다리 173 | 텍사스는 부시를 좋아해: 조지 W. 부시 179

3장 공화국의 탄생에서 그림자 외교까지─분쟁의 막후에서 191
공화국의 초창기 196 | 멕시코 전쟁에서 남북전쟁까지 200 | 제국주의와 고립주의 206 | 제1차 세계대전과 루스벨트 210 | 제2차 세계대전과 후버 215 | 허버트 후버와 전후 세계 219 | 냉전 220 | 베트남 전쟁과 아이젠하워 225 | 닉슨의 몰락과 부활 230 | 카터의 그림자 외교 233 | 닉슨, 레이건을 지지하다 237 | 닉슨, 러시아를 생각하다 242 | 지미 카터의 화려한 재등장 245 | 클린턴과 부시가 본 카터 251 | 중동, 카터를 죽이고 살리다 261

4장 킹에서 킹메이커로─선거에 개입하다 267
파우스트와의 흥정: 조지 워싱턴 270 | 패밀리 비즈니스: 존 애덤스 272 | 고된 중립의 길: 제퍼슨, 매디슨, 먼로 275 | 잭슨 시대의 변화 277 | 남북전쟁 선거 282 | 전후의 대통령 정치 287 | 이념인가 당인가 291 | 동지에서 적으로: 시어도어 루스벨트와 태프트 296 | 조용한 훈수: 윌슨과 쿨리지 300 | 허버트 후버의 이념 투쟁 302 | 트루먼이 기억에 남는 방법 311 | 1960년: 전직 대통령들의 독설 316 | 아이젠하워의 중립 319 | 1968년: 병상에서 호소한 아이젠하워 322 | 목장에 틀어박힌 린든 존슨 324 | 닉슨의 귀환 326 | 쓰러졌다가 일어선 카터 331 | 분열된 공화당 334 | 미지근했던 아버지 부시 340 | 아버지와 아들 342 | 힐러리 클린턴과 2008년 경선 347

5장 영광이여 다시 한 번─정치 복귀 351
한 사과를 세 번 깨물다 354 | 배에서 뛰어내리기: 제3당 359 | 민주당을 떠나 360 | 휘그당에서 무지당으로 364 | 불 무스 당 366 | 통치권을 겨냥한 최후의 일발 371 | 의회로 돌아가다 373 | ‘어쩌다 각하’의 배신 379 | 단명으로 끝난 상원 복귀 382 | 후버, 의회에 진출할 뻔하다 384 | 태프트, 대법원장이 되다 385 | 지방 정치에 헌신하다 389

6장 더 위대한 이상─인류에 봉사하라 391
잊힌 개혁가들 397 | 허버트 후버 위원회 408 | 인류애를 위하여: 카터와 클린턴 410 | 카터 연구소의 탄생과 활동 412 | 21세기형 전직 대통령: 빌 클린턴 418 | 에이즈와 싸우다 419 | 클린턴 글로벌 이니셔티브 425 | 기후변화 대응 운동 427 | 어린이 비만 퇴치 429

결론/ 전임 대통령의 미래 433
전임 대통령이라는 자리 436 | 유산의 문제 438

■ 미국의 정당 체제 189
■ 감사의 말 440
■ 후주 443
■ 인명 찾아보기 538 | 용어 찾아보기 548

저자소개

레너드 버나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레너드 버나도 Leonard Benardo & 제니퍼 와이스 Jennifer Weiss 열린사회재단Open Society Foundations 부총장 겸 열린사회협력단Open Society Fellowship 총장인 레너드 버나도와 작가인 제니퍼 와이스는 부부다. 두 사람은 《뉴욕리뷰오브북스》,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 등에 글을 써왔고, 같이 쓴 책으로 《이름으로 알아보는 브루클린Brooklyn by Name: How the Neighborhoods, Streets, Parks, Bridges and More Got Their Names》이 있다.
펼치기
제니퍼 와이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열린사회재단Open Society Foundations 부총장 겸 열린사회협력단Open Society Fellowship 총장인 레너드 버나도와 작가인 제니퍼 와이스는 부부다. 두 사람은 《뉴욕리뷰오브북스》,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인터내셔널헤럴드트리뷴》 등에 글을 써왔고, 같이 쓴 책으로 《이름으로 알아보는 브루클린Brooklyn by Name: How the Neighborhoods, Streets, Parks, Bridges and More Got Their Names》이 있다.
펼치기
이종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 브리태니커 편집국장과 성균관대학교 전문번역가 양성과정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지금까지 250여권의 책을 번역했으며 주로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교양서와 문학 서적을 많이 번역했다. 저서로 《번역은 글쓰기다》《살면서 마주한 고전》이 있고 번역한 책으로는 《호모 루덴스》《중세의 가을》《지상에서 영원으로》《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노인과 바다》《무기여 잘 있거라》《헨리 제임스 단편선》《조지 오웰 수필선》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