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16세기 한중무역 연구

16세기 한중무역 연구

(혼돈의 동아시아, 예의의 나라 조선의 대명무역)

구도영 (지은이)
태학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카드할인 3%
675원
21,825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500원 -10% 870원 14,880원 >

책 이미지

16세기 한중무역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16세기 한중무역 연구 (혼돈의 동아시아, 예의의 나라 조선의 대명무역)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59661916
· 쪽수 : 434쪽
· 출판일 : 2018-10-30

책 소개

태학총서 50권. '조선.명 사이의 안정기'로 인지되어 왔던 16세기를 낯설게 바라보도록 인도한다. 조선 전기 한중관계를 연구해왔던 저자는 16세기 혼돈으로 요동쳤던 동아시아 교역세계에서, 명과 돈독한 외교관계를 유지하며 무역을 전개했던 예의의 나라 조선의 모습과 그 이유를 들려준다.

목차

서론
1. 16세기 조선과 동아시아의 대명무역 정황
2. 선행 연구 성과와 비판적 검토
3. 본 연구의 ‘씨줄과 날줄’

제1장 조선 전기 대명무역의 유형과 운영제도
1. 조선 전기 대명무역의 개념과 유형
1) 사행무역使行貿易(합법영역)
2) 비사행무역非使行貿易(불법영역, 민간무역)
3) 밀무역密貿易의 개념과 타 지역 사례 비교
2. 사행무역의 운영과 활동무대
1) 사행무역의 인적 구성과 절차
2) 무역의 공간 - 북경무역과 요동무역

제2장 조선의 대명무역 여건과 ‘예의지국禮義之國’의 함수
1. 동아시아의 대명무역 규정에서 조선이 누린 조건들
2. 명明이 조선을 예우한 이유
1) 조선의 조공 의례朝貢儀禮 준수
2) 조선의 문화수준
3. 조.명 관계에서 형성된 ‘예의지국禮義之國’ 위상
4. 조.명 외교의 ‘예의지국’ 효과

제3장 문금門禁 발생과 사무역의 정책 방향
1. 명의 ‘문금門禁 조치’, 그리고 조선의 해제 노력
1) 1522년 조선 사행단에 대한 문금 조치 단행
2) 문금의 배경과 그 이후 - 명 상인商人의 농간
2. 문금에 대한 조선의 입장과 ‘예의지국’의 굴레

제4장 무역의 폭증, 16세기 중후반 대안모색의 노정
1. 은銀 생산 유통과 대명무역의 증가
1) 조선의 은광개발과 은 제련 기술
2) 1539년 무렵 일본 은의 대량 유입과 대명무역의 증가
2. 사무역 통제의 제도적 강화와 그 한계
1) ..대전후속록大典後續錄.. 금제법안 완성과 시행 성과
2) 사무역 근절 노력의 한계와 그 이유
3. 사무역의 범람과 사회적 수용(명종대明宗代, 선조대宣祖代)
4. 사행무역의 대안적 모색, 요동무역
5. 소결

제5장 사행무역使行貿易의 수출과 수입
1. 사행무역의 수출품 구성과 그 추이
1) 포布: 공무역의 주요 수출품
2) 은銀: 사무역의 주요 수출품으로 정착
3) 부채, 입모, 문구류: 사행경비, 예물, 사무역에 폭넓게 활용
4) 인삼人蔘: 16세기 후반 사무역 수출품으로 대두
5) 수출품 총목록과 검토
6) 소결
2. 사행무역의 수입품과 전개양상
1) 수우각水牛角: 공무역의 주요 수입품, 수입 경로의 이중화
2) 약재 : 공.사무역 수입 증가와 유통경로의 변질
3) 서책 : 구매처 다양, 수입 원활
4) 사라능단紗羅綾緞: 사무역의 주요 수입품, 사치와 품격의 갈림길
5) 사행무역 수입품 총목록과 검토
6) 소결
3. 사행무역의 교역 규모
1) 사무역의 교역 규모
2) 공무역의 교역 규모
3) 소결

제6장 비사행무역非使行貿易(불법무역)의 확대와 그 의의
1. 불법무역의 출현 배경
1) 15세기 말 요동지역의 형세 변화
2) 호송군護送軍의 요동사행무역, 불법무역을 견인하다
2. 육로陸路 불법무역 : 월경무역越境貿易의 성장과 확산
1) 월경무역의 형태와 16세기 초반 수출입품목
2) 월경무역의 새 국면: 남쪽 은 유입이 북쪽 국경을 동요시키다
3) 월경무역에 대한 조.명 양국의 대응과 무역규모와의 관계
3. 해로海路 불법무역 : 해상무역海上貿易의 전개양상
4. 불법무역의 특징과 의의

제7장 동아시아 내 조선 대명무역의 특징과 위상
1. 조선 대명무역정책, 대명외교 내 위상과 비중
1) 15세기, 관무역官貿易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은 조선
2) 16세기 예의지국, 사행무역 통제 정책의 굴레
3) 조선에서 은銀, 내수용? vs 수출용!
2. 폭력의 16세기. 안정된 조.명 관계, 성장하는 무역규모
1) 안정된 조.명 관계 속 무역규모의 확대
2) 조선 사행무역의 무관세無關稅
3. 육로와 해상 전방위로 전개된 조선의 대명무역
1) 육로무역
2) 해상무역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구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16세기 한중무역 연구』(태학사, 2019), 「15세기 중국에서 유행한 조선의 마미군 패션, 그 문화적 변용에 대하여」(『사림』 80, 2022), 「근세 동아시아 세계 약용식물 인삼(人蔘)의 가공과 유통」(『의사학』 29-3, 2021), “Items of Tributary Gifts (Pangmul 方物) Sent to the Ming Dynasty by Chosŏn and their Changing Trends”(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6-2, 2021)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0727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