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유럽
· ISBN : 9788959864461
· 쪽수 : 361쪽
· 출판일 : 2006-02-20
책 소개
목차
서문
1. 경제정책 변천과 정치
서론
'독일식 모델'의 부침
독일 경제 침체의 역사적 근원
'독일병'을 해결하기 위한 세 가지 접근방식
조기총선과 개혁
결어
2. 사회통합 / 경제노동부 베르나르트 벨트룹 박사
통일 초기 동독 경제현실에 대한 평가
신연방주 경제통합의 성과
신연방주 경제통합의 문제점
신연방주 향후 전망
3. 서독의 동방정책 / 서독 브란트 전 총리 외교보좌관 에곤 바 박사
제1차 면담 : 2005년 8월 17일
독일 통일문제와 선거
'동방정책'의 역전승
전쟁과 평화, 그리고 선거
독일의 전쟁 참회
제2차 면담 : 2006년 1월 26일
메르켈 정부의 대외정책 평가 및 미국의 대외정책 비판
이란 핵문제
독-프 관계에서 핵무기 문제
독일 통일과 고르바초프
4. 경제 현장 / 지멘스 사 부회장 위르겐 오베르크 박사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와 기업
동서독 통일과 독일 경제의 미래
독일 개혁정책과 선거 전망
5. 대기자가 본 독일 현실 /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지 칼럼니스트 칼 펠트마이어
사회적 시장경제의 기원
독일의 통일정책
독일 정치의 이념문제
6. 9.18 조기총선 / 사민당 모 하원의원
9.18 총선 평가
조기총선 실시의 내막
정치경색 해법 : 경제개혁과 기민당-사민당 연정
독일의 정치 이념, 행태 분석
7. 현재사회 진단 / <적이 사라진 민주주의>의 저자 울리히 벡 교수
현대사회 변화의 본질
이념과 정치
국가 지도자와 지도력
독일통일과 선거 유감
8. 마지막 동독 총리가 본 독일 / 로타 드 메지에르 전 동독 총리
환경문제
독일의 정치 정세
동서독 통일과정
독일통일 15년 평가
9. 좌파 정당의 현재와 미래 / '좌파연합' 그레고르 기지 하원 원내대표
좌파 정당의 이념문제
독일의 기민당-사민당 연정과 '좌파연합'의 미래
독일통일 평가 : 통일이 아닌 합병?
10. 위기의 본질 / <독일, 슈퍼스타의 몰락>의 저자 가보르 슈타인가르트 '슈피겔' 지 베를린 지국장
독일의 위기와 그 원인
위기와 정치 지도력
위기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11. 기민당-사민당 연정협상 해부 / 사민당 요하네스 플룩 하원의원
기민당-사민당 간 연정협상의 진행과 결과
기민.기사당 연합과 사민당 간의 연정분석을 위한 틀 : 현실정치의 이념과 실용
독일 정치지도자의 교체
'감동을 주는 정치' 필요해
12. 독일 정치의 현주소 / 기민당 에카르트 폰 클래덴 하원의원
기민당-사민당 연정협상의 평가
정당의 이념과 실용주의
기민당-사민당 연정협약의 문제점과 전망
메르켈의 강점과 약점, 그리고 목표
정치인으로서의 꿈
13. 동서독의 가교 / 구동독 국방장관 라이너 에펠만 전 하원의원
독일 정치와 동서독 내적 통합
분단의 아픔과 동서독 관계
동서독 통일과 군의 통합
동서독 지도자에 대한 평가
14. 통독 외교의 드라마 / 헬무트 콜 전 독일총리 외교보좌관 호르스트 텔칙 박사
한국 북방외교의 숨은 공로자
통일을 향한 외교정책 : 주변국 관계
독일통일의 길
독일의 사례가 주는 교훈
15. 독일 사회의 이해 / 한스 하버만 전 쾰른대학 경제학과 교수
독일의 구조적 문제
구조적 문제의 해결 방안
독일 상류층의 '사회 정의'
독일인의 일상과 정치
16. 독일병 처방 / lfo 경제연구소 소장 한스-베르너 진 박사
경제 현황
동독 지역 재건이 독일 경제에 미친 영향
신정부와 개혁
17. 독일 철학자가 본 세계 / <의사소통 이론>의 위르겐 하버마스 전 프랑크푸르트 대학 교수
인사
한반도 정세
미국의 네오콘과 종교와 문화투쟁
이념의 문제
생명과학과 윤리와 의사소통
철학의 위치
저자소개
책속에서
저자 그런데 교수님께서 이미 20년 전에 내놓으신 이론이 유럽에서도 여전히 타당성을 가지며 인기를 끌고 있습니까?
하버마스 안 그렇다고 봅니다.
저자 왜 안 그렇습니까? 교수님의 말씀을 들으면 우리 한국의 철학자와 사회학자들이 꽤나 실망하겠습니다.
하버마스 플라톤은 이제 유럽에서 그리 할 말이 많지 않습니다. 서구에서는 갈수록 아시아, 특히 중국 문화의 영향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지금 미국의 유수 대학에서 많은 동양인 학생과 학자들이 커다란 업적을 남기고 있습니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직후 유대인들이 이루었던 업적에 비견됩니다. 우리가 한국을 방문했을 때, 우리가 가장 깊은 인상을 받은 것은 부모들이 얼마나 자식들의 교육에 전념하는가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아주 훌륭한 전통입니다. 독일도 한때는 그랬으나, 지금은 많이 약해졌습니다. 우리가 한국에서 배울 점이 많습니다. - 본문 360~361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