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60235809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0-12-21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 04
■ 정신대(종군위안부) 문제 제기 회고 · 11
1. 애국 항일 활동을 한 아버지의 교훈
2. 정신대 문제 단편소설 ‘원주민촌의 축제’ 발표(1990년)
3. 소설 ‘원주민촌의 축제’의 정신대 문제 제기 영향과 한글문학상 신인상 수상(1991년)
4. ‘정신대 위령의 날’ 및 ‘국제 사람몸 존중의 날’ 제정 제의(1991년)
5. 초등학생 12살 소녀 정신대를 생각하며(1992년)
6. (시론) 정신대 희생자 넋을 생각하며(1992년)
7.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표창 수상의 감회(2004년)
8. ‘두산백과사전’에 정신대 문제 단편소설 ‘원주민촌의 축제’ 등재(2007년)
9. ‘한국현대문학 100주년 기념탑’(2008년) 딸린 비에 정신대 문제 소설 ‘원주민촌의 축제’ 조각
10. 정신대 문제 해결의 실질적 성과를 위해 남은 과제(2010년)
■ 대한민국 상하이 임시정부 자리 보존운동 회고 · 81
1. 아무 표적 없이 중국인이 살고 있는 대한민국 상하이 임시정부 자리를 보고(1990년)
2. 임시정부 자리 보존을 위한 국민에게 드리는 마음의 글 배포(1990년)
3. 국민과 언론의 큰 격려와 협조(1990년)
4. 중국 상하이 시장에게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리 보전 협조 편지(1990년)
5.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리 정식 확인 및 관리를 기뻐하며
6. 대한민국 상하이 임시정부 자리 보존 운동 시초의 시 ‘상하이 임시정부 자리’를 소중히 여기며
■ 복합문학의 유래와 개념 · 129
1. ‘복합문학’(複合文學, Complex Literature)의 유래
2. ‘복합문학’의 개념 형성 과정
(1) 복합문학 ‘생명의 먼동을 더듬어’를 연재한 월간지에서(1971년)
(2) 복합문학 ‘생명의 먼동을 더듬어’ 단행본 ‘머리말’에서(1980년)
(3) ‘복합문학’의 설명과 관련되는 여러 표현들(1980년~2010년)
3. ‘복합문학’ 창안자가 바라는 ‘복합문학’의 정의
4. 첫 복합문학 ‘생명의 먼동을 더듬어’ 해설
5. 문학과 복합문학의 미래를 위하여
■ (단편소설) 원주민촌의 축제 · 158
■ Origin and Concept of Complex Literature · 190
■ Interpretation of the Short Novel ‘A Feast in the Village of Natives’ · 200
■ 허만길 시인의 삶의 자취(요약) · 209
■ Profile of Mangil Hur ·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