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백제
· ISBN : 9788960622579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4-10-31
책 소개
목차
머리글 - 공주 역사 ‘2천 년’
제1부 백제 공주, 공주 백제
제1장 백제 임류각은 어디에?
머리말
1. 임류각을 둘러싼 논의의 출발
2. ‘임류각지’와 지당의 발굴
3. 발굴 이후 임류각에 대한 논의
4. ‘류(流)’자명 기와
5. 백제 임류각의 위치, 영은사
맺는말
제2장 무령왕 출생 전승과 가카라시마
머리말
1. 가카라시마 무령왕 출생 관련 기록에 대한 주목
2. 가카라시마 무령왕 탄생 기록에 대한 여러 논의
3. 각라도(各羅島)와 가당도(加唐島)의 문제
4. 무령왕 출생지로서의 가카라시마
맺는말
제3장 가루베 지온(輕部慈恩) 유물의 행방
머리말
1. 가루베의 공주 백제고분 조사
2. 송산리 6호분은 도굴된 무덤이었나
3. 가루베 지온의 수집 유물
4. 가루베 유물의 행방
맺는말
제2부 공주 공산성의 역사와 유적
제1장 고려시대 공주 치소로서의 공산성
머리말
1. 통일신라 웅천주 치소성으로서의 공산성
2. 고려시대 공주 관아와 공산성
3. 조선시대 관아구역의 신라ㆍ고려 자료 검토
4. 고려시대 공주 관아의 공간 이동
맺는말
제2장 공산성 만하루에 대하여
1. 공산성의 연못과 만하루(挽河樓)
2. 박윤원의 ‘만하루기(挽河樓記)’
3. 조선통신사 콘텐츠로서의 만하루
4. 만하루(挽河樓)와 ‘만아루(挽阿樓)’
제3장 비석으로 보는 공주 역사
1. 공산성 주변 비석의 분포와 이동
2. 공산성 일대에서 가장 오래된 비석은?
3. 제민천교비와 일인 묘비
4. 공산성 주변 비석의 문화재 지정
제3부 콘텐츠로서의 공주 역사
제1장 효향(孝鄕)으로서의 공주와 신라 향덕
1. 통일신라 향덕의 효행
2. 신라 경덕왕은 왜 향덕을 표창하였나
3. 향덕인가 상덕인가
4. 또 한 사람의 향덕, 신효거사
5. 소학동에 서 있는 향덕의 비석
6. 향덕의 효가리는 어디인가
제2장 공주 지역콘텐츠로서의 조선통신사
머리말
1. 조선통신사와 공주
2. 공주지역의 조선통신사 자료
3. 지역콘텐츠로서의 자료 활용
4. 지역콘텐츠로서의 조선통신사의 의미
맺는말
(부) 1763년 계미통신사행과 류진항(柳鎭恒)
제3장 공주 『공산지』의 편찬과 자료적 성격
머리말
1. 『공산지』 이전의 공주읍지
2. 『공산지』의 편찬과 간행
3. 『공산지』의 구성과 내용
4. 『공산지』의 주요 수록 자료
5. 『공산지』 이후, 『중간 공산지』와 『조선환여승람』
맺는말
제4장 감영시대의 천주교 순교지, 황새바위
1. 감영시대 공주의 천주교와 황새바위
2. 공주의 천주교 순교지
3. 순교 성지로서의 황새바위
4. 문화유산으로서의 황새바위
제4부 금강의 문화사
제1장 고려 통일전쟁기 태조 왕건과 금강
머리말
1. 충남지역에서의 고려 통일전쟁 추이
2. 이도와 공주
3. 유금필과 부여 임천
4. 부여 석성에서의 태조 왕건
맺는말
제2장 공주 금강의 옛 나루, 장깃대나루
1. 호남대로의 목이었던 장깃대나루
2. 장깃대나루에 얽힌 역사
3. 장깃대나루 관련 유적
제3장 백마강 명승으로서의 부여 부산(浮山)
머리말
1. ‘백제 삼산’, 그리고 ‘떠내려온 산’
2. 부산(浮山)의 역사성과 문화유산
3. 백마강 명승으로서의 부산(浮山)
맺는말
맺는글 - 공주의 미래
공주 역사문화 연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