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세 동아시아의 해양과 교류

중세 동아시아의 해양과 교류

김일권, 윤용혁, 전영준, 권용철, 김경주, 윤은숙, 박영철, 강만익, 임상훈, 홍기표 (지은이)
경인문화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900원
27,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세 동아시아의 해양과 교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세 동아시아의 해양과 교류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49948355
· 쪽수 : 438쪽
· 출판일 : 2019-08-30

책 소개

탐라문화학술총서 23권. 탐라를 포함하는 고려시대의 신화자연학, 역사, 전쟁사, 고고학, 문화사, 교류사, 목축문화 등의 주제로 탐라한반도중국몽골 등과의 대외 교섭과 교류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던 2018년 학술대회의 연구 성과와, 학술지『탐라문화』에 실린 중세시기의 연구 성과를 모아 엮었다.

목차

책을 펴내며

고려시대 천지서상지에 나타난 한중 고대 천지상서의 교응적 자연학ㅣ김일권
Ⅰ. 서 론
Ⅱ. 천지서상지의 판본과 전승 문제
Ⅲ. 천지서상지의 구성과 신화자연학 텍스트
Ⅳ. 고려시대 천지서상지의 교응적 자연학
Ⅴ. 결 론

제주 삼별초와 몽골・동아시아 세계ㅣ윤용혁
Ⅰ. 머리말
Ⅱ. 13세기, 몽골의 고려 침입 전야
Ⅲ. 제주의 지리적 강점에 주목한 삼별초 세력
Ⅳ. 삼별초의 제주, 그 이후
Ⅴ. 항파두성, 새로운 의미 부여의 필요성
Ⅵ. 맺는말

고려시대 동아시아의 해양과 국제교류 양상ㅣ전영준
Ⅰ. 머리말
Ⅱ.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과 문화교류
Ⅲ. 쿠로시오 해류를 활용한 고려의 국제교류
Ⅳ. 맺음말–삼별초의 이동경로와 관련하여

13~14세기 元-耽羅 관계 연구 동향 분석ㅣ권용철
Ⅰ. 머리말
Ⅱ. 초기의 동향-연구 분야의 개척
Ⅲ. 1980~1990년대의 동향-상세해진 연구의 활성화
Ⅳ. 2000년대~현재의 동향-연구 주제의 다변화와 시각의 확대
Ⅴ. 맺음말

고고자료로 본 고려시대 제주의 몽골문화ㅣ김경주
Ⅰ. 머리말
Ⅱ. 법화사 중창과 원순제의 피난궁지
Ⅲ. 원나라 이주민과 분묘 축조
Ⅳ. 제주의 물산과 원나라 건축문화
Ⅴ. 맺음말

元代 중・후기 皇權과 權臣 - 톡 테무르와 토곤 테무르 시기를 중심으로 -ㅣ윤은숙
Ⅰ. 머리말
Ⅱ. 元代전반기 황권과 宰相
Ⅲ. 元代중 후기의 제위계승 분쟁과 황권 失墜
Ⅳ. 토곤 테무르 카안의 황권 회복 노력
Ⅴ. 맺음말

여국에서 속국으로 - 원・명교체기 제주도의 해양사적 위상 -ㅣ박영철
Ⅰ. 문제
Ⅱ. 牧胡의 난
Ⅲ. 몽골제국과 탐라
Ⅳ. 與國탐라와 고려
Ⅴ. 與國에서 屬國으로
Ⅵ. 결어

고려말 탐라목장의 운영과 영향ㅣ강만익
Ⅰ. 머리말
Ⅱ. 탐라목장의 설치와 운영
Ⅲ. 탐라목장의 목축문화와 영향
Ⅳ. 맺음말

14世紀 麗明關係와 濟州島의 歸屬 過程ㅣ임상훈
Ⅰ. 들어가며
Ⅱ. 공민왕과 홍무제의 제주도 문제 교섭
Ⅲ. 냉각하는 여명관계와 제주도 토벌
Ⅳ. 우왕대 여명관계의 회복과 제주도 귀속 확정
Ⅴ. 나오며

여말선초 韓蕆의 濟州 入島 재조명ㅣ홍기표
Ⅰ. 머리말
Ⅱ. 한천의 생애
Ⅲ. 한천의 인맥과 사상
Ⅳ. 최익현의 恕齋韓公遺墟碑
Ⅴ. 맺음말


찾아보기

저자소개

윤용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중세사와 충남지역사 전공, 공주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0년부터 2017년까지 공주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는 공주대 명예교수,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이다. 저서로서는 『공주, 역사문화론집』(2005), 『충청 역사문화 연구』(2009), 『가루베지온의 백제 연구』(2010), 『공주, ‘강과 물’의 도시』(2014), 『충남, 내포의 역사와 바다』(2014), 『한국 해양사 연구』(2015), 『공주, 역사와 문화콘텐츠』(2016), 『백제를 걷는다』(2017), 『한국과 오키나와 -초기 교류사 연구』(2020), 『역사 속 공주의 사람들』(2020,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박영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에서 역사교육과 동양사를 배우고 일본 교토(京都) 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 법제사와 사회사를 전공했으며, 현재 군산대 사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논저로 「나라카에서 지옥으로: 불교의 번역과 중국문명」, 「해태고: 중국에 있어서 신판의 향방」, 「송사의 출현을 통해 본 송대 중국의 법과 사회」, “Balance and Balancing Weight: A Study of the Conception of Justice in the History of China and its Relationship to the Modernization of Chinese Legal System”, 『명공서판청명집 호혼문 역주』(소명출판, 2008), 『왜 유비는 삼국을 통일하지 못했을까』(자음과모음, 2010), 「동아시아 관료제의 근대성 논의」, 『군산과 동아시아: 황해남로 흥망사』(민속원, 2017), 『중세 동아시아의 해양과 교류』(공저, 탐라문화연구원, 2019), 『한자의 재구성: 주령시대의 기억과 그 후』(도서출판 길, 2021)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논어』(미야자키 이치사다, 이산, 2001), 『근대 중국의 친일합작』(티모시 브룩, 한울아카데미, 2008), 『중국 농민 르포』(천구이디 외, 2014, 도서출판 길), 『사무라이의 역사』(다카하시 마사아키, 한울아카데미, 2020), 『상용자해』(시라카와 시즈카, 도서출판 길,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홍기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제주 출생. 고려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5년 서울 명덕고 교사, 성균관대 강사로 있었다.
펼치기
김일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자연대학 생물학과 졸업하고 동 인문대학 종교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1999)를 받았으며, 고구려연구재단·동북아역사재단을 거쳐,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고, 한국도교문화학회장, 서울민속학회장을 역임하였다. 연구분야는 고구려 별자리 연구를 시작으로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을 융합한 역사천문학 분야를 개척하였고, 한국문화사·민속학, 종교·사상사, 역사천문·기상학, 전통식물·음식·생태학, 물산지리·살림·생활사 등에 관한 30여 편의 저역서와 1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면서, 천문·지문·인문의 삼문(三文) 통합적 관심 위에, 전통시대 “하늘과 자연과 삶의 자연학 연구실”을 학문의 줄기로 삼아, 우리 역사에서 전개된 ‘자연학’(naturology)의 갈래와 면모를 재구성하려는 목표로 매진 중이다.
펼치기
권용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박사후연구원, 단국대학교 북방문화연구소 연구원 등을 거쳐 현재는 경기대학교 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원대 중후기 정치사 연구』, 『고려사 속의 원 제국』이 있고, 60여 편의 학술논문을 집필했다. 번역 기획 공동체 ‘창窓’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몽골족의 역사』, 『킵차크 칸국』, 『칭기스의 교환』, 『몽골제국』, 『랍반 사우마의 서방견문록』, 『중국의 역사』, 『천하와 천조의 중국사』, 『실크로드 세계사』, 『중국과 이슬람 세계의 지도 그리기』, 『남북조시대』, 『내몽골 분쟁』, 『이슬람에서 바라보는 유럽』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김경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문화유산연구원 부원장.
펼치기
윤은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학교 교수
펼치기
임상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순천향대학교 중국학과 조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