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0921429
· 쪽수 : 776쪽
· 출판일 : 2010-05-10
책 소개
목차
서론 - 청교도주의의 정의
- 청교도들의 작품을 읽음을 통해 어떻게 유익을 얻을 것인가
- 어디서 시작할 것인가
- 이 책에서 사용된 자료와 범주
감사의 말 - 영국 청교도의 간략한 역사
나다나엘 레이뉴 Nathanael Ranew, 약 1602~1677
나다나엘 하디 Nathanael Hardy, 1619~1670
나다니엘 빈센트 Nathaniel Vincent, 1638~1697
니콜라스 바이필드 Nicholas Byfield, 1579~1622
대니얼 다이크 Daniel Dyke, 소천. 1614
데이비드 클라크슨 David Clarkson, 1622~1686
랠프 로빈슨 Ralph Robinson, 1614~1655
랠프 베닝 Ralph Venning, 약 1622~1674
로버트 볼턴 Robert Bolton, 1572~1631
로버트 아스티 Robert Asty, 1642~1681
로버트 트레일 Robert Traill, 1642~1716
로버트 해리스 Robert Harris, 1581~1658
로버트 힐 Robert Hill, 소천. 1623
루이스 베일리 Lewis Bayly, 약 1575~1631
루이스 스턱클리 Lewis Stuckley, 1621~1687
리처드 그린햄 Richard Greenham, 약 1542~1594
리처드 길핀 Richard Gilpin, 1625~1700
리처드 로저스 Richard Rogers, 1551~1618
리처드 매더 Richard Mather, 1596-1669
리처드 백스터 Richard Baxter, 1615~1691
리처드 베이커 Sir Richard Baker, 약 1568~1645
리처드 스틸 Richard Steele, 1629~1692
리처드 십스 Richard Sibbes, 1577~1635
리처드 얼라인 Richard Alleine, 1611~1681
마이클 위글스워스 Michael Wigglesworth, 1631~1705
매튜 미드 Matthew Mead, 1629~1699
매튜 풀 Matthew Poole, 1624~1679
매튜 헨리 Matthew Henry, 1662~1714
벤저민 키이치 Benjamin Keach, 1640~1704
빈센트 알솝 Vincent Alsop, 1630~1703
새뮤얼 매더 Samuel Mather, 1626~1671
새뮤얼 볼턴 Samuel Bolton, 1606~1654
새뮤얼 시월 Samuel Sewall, 1652~1730
솔로몬 스토더드 Solomon Stoddard, 1643~1729
스티븐 차녹 Stephen Charnock, 1628~1680
아서 덴트 Arthur Dent, 1553~1607
아서 힐더삼 Arthur Hildersham, 1563~1632
아이작 암브로스 Isaac Ambrose, 1604~1664
앤 브래드스트리트 Anne Bradstreet, 1612~1672
앤서니 버지스 Anthony Burgess, 소천. 1664
에드워드 데링 Edward Dering, 약 1540~1576
에드워드 레이놀즈 Edward Reynolds, 1599~1676
에드워드 로런스 Edward Lawrence, 1627~1695
에드워드 마베리 Edward Marbury, 소천. 1655
에드워드 존슨 Edward Johnson, 1598~1672
에드워드 테일러 Edward Taylor, 약 1642~1729
에드워드 폴힐 Edward Polhill, 약 1622~약 1694
에드워드 피셔 Edward Fisher, 소천. 1655
에드워드 피어스 Edward Pearse, 약 1633~1673
에제키엘 홉킨스 Ezekiel Hopkins, 1634~1690
엘리사 콜스 Elisha Coles, 약 1608~1688
오바디야 그루 Obadiah Grew, 1607~1689
오바디야 세지윅 Obadiah Sedgwick, 약 1600~1658
올리버 헤이우드 Oliver Heywood, 1630~1702
월터 마셜 Walter Marshall, 1628~1680
윌리엄 거널 William Gurnall, 1616~1679
윌리엄 구지 William Gouge, 1575~1653
윌리엄 그린힐 William Greenhill, 1598~1671
윌리엄 기어링 William Gearing, 약 1625~약 1690
윌리엄 라이퍼드 William Lyford, 1597~1653
윌리엄 베이츠 William Bates, 1625~1699
윌리엄 브리지 William Bridge, 1600~1670
윌리엄 스퍼스토 William Spurstowe, 약 1605~1666
윌리엄 에임스 William Ames, 1576~1633
윌리엄 젠킨 William Jenkyn, 1613~1685
윌리엄 퍼킨스 William Perkins, 1558~1602
윌리엄 펨블 William Pemble, 1591~1623
윌리엄 휘터커 William Whitaker, 1548~1595
인크리스 매더 Increase Mather, 1639~1723
제러마이어 버로스 Jeremiah Burroughs, 약 1600~1646
제임스 제인웨이 James Janeway, 1636~1674
조나단 에드워즈 Jonathan Edwards, 1703~1758
조지 다우네임 George Downame, 약 1563~1634
조지 스윈녹 George Swinnock, 1627~1673
조지 트로세 George Trosse, 1631~1713
조지 해먼드 George Hamond, 약 1620~1705
조지프 시먼즈 Joseph Symonds, 소천. 1652
조지프 얼라인 Joseph Alleine, 1634~1668
조지프 캐릴 Joseph Caryl, 1602~1673
조지프 홀 Joseph Hall, 1574~1656
존 노턴 John Norton, 1606~1663
존 다우네임 John Downame, 소천. 1652
존 대버넌트 John Davenant, 1572~1641
존 라이트풋 John Lightfoot, 1602~1675
존 번연 John Bunyan, 1628~1688
존 보이스 John Boys, 1571~1625
존 샤우어 John Shower, 1657~1715
존 엘리엇 John Eliot, 1604~1690
존 오웬 John Owen, 1616~1683
존 윈스럽 John Winthrop, 1588~1649
존 코튼 John Cotton, 1584~1652
존 트랩 John Trapp, 1601~1669
존 프레스턴 John Preston, 1587~1628
존 플라벨 John Flavel, 1628~1691
존 하우 John Howe, 1630~1705
코튼 매더 Cotton Mather, 1663~1728
크리스토퍼 네스 Christopher Ness, 1621~1705
크리스토퍼 러브 Christopher Love, 1618~1651
토머스 구지 Thomas Gouge, 1605~1681
토머스 굿윈 Thomas Goodwin, 1600~1679
토머스 둘리틀 Thomas Doolittle, 1630~1707
토머스 리질리 Thomas Ridgley, 1667~1734
토머스 맨턴 Thomas Manton, 1620~1677
토머스 브룩스 Thomas Brooks, 1608~1680
토머스 빈센트 Thomas Vincent, 1634~1678
토머스 셰퍼드 Thomas Shepard, 1605~1649
토머스 애덤스 Thomas Adams, 1583~1652
토머스 왓슨 Thomas Watson, 약 1620~1686
토머스 제이콤 Thomas Jacomb, 1623~1687
토머스 카트라이트 Thomas Cartwright, 1535~1603
토머스 케이스 Thomas Case, 1598~1682
토머스 코빗 Thomas Cobbet, 1608~1686
토머스 테일러 Thomas Taylor, 1576~1632
토머스 포드 Thomas Ford, 1598~1674
토머스 후커 Thomas Hooker, 1586~1647
토비아스 크리스프 Tobias Crisp, 1600~1643
티머시 로저스 Timothy Rogers, 1658~1728
폴 베인스 Paul Baynes, 약 1573~1617
필립 헨리 Philip Henry, 1631~1696
헨리 스미스 Henry Smith, 1560~1591
헨리 스쿠더 Henry Scudder, 약 1585~1652
헨리 아이레이 Henry Airay, 1560~1616
헨리 아인스워드 Henry Ainsworth, 1569~1622
부록 1. 청교도 저작 선집
부록 2. 스코틀랜드 신학자들
서론: 영국 청교도들과 스코틀랜드의 장로교인들
데이비드 딕슨 David Dickson, 약 1583~1662
새뮤얼 러더퍼드 Samuel Rutherford, 1600~1661
앤드루 그레이 Andrew Gray, 1633~1656
에베니저 어스킨과 랠프 어스킨 Ebenezer Erskine, 1680 ~1754 & Ralph Erskine, 1685~1752
윌리엄 거스리 William Guthrie, 1620~1665
제임스 더럼 James Durham, 1622~1658
조지 길레스피 George Gillespie, 1613~1648
토머스 보스턴 Thomas Boston, 1676~1732
토머스 할리버턴 Thomas Halyburton, 1674~1712
헨리 스쿠걸 Henry Scougal, 1650~1678
휴 비닝 Hugh Binning, 1627~1653
부록 3. 네덜란드 제2 종교개혁 신학자들
네덜란드 제2 종교개혁에 대한 소개
빌럼 떼일링크 Willem Teellinck, 1579~1629
빌헬뮈스 아브라껄 Wilhelmus` a Brakel, 1635~1711
아브라함 헬렌브루크 Abraham Hellenbroek, 1658~1731
알렉산더 꼼리 Alexander Comrie, 1706~1774
야코뷔스 쿨만 Jacobus Koelman, 1631~1695
요하네스 판 데어 켐프 Johannes van der Kemp, 1664~1718
요하네스 호른베이크 Johannes Hoornbeek, 1617~1666
쟝 따팽 Jean Taffin, 1529~1602
테오도루스 야코뷔스 프렐링하이슨 Theodorus Jacobus Frelinghuysen, 1691~1747
테오도루스 판 데어 흐루 Theodorus van der Groe, 1705~1784
헤르만 비치우스 Herman Witsius, 1636~1708
히스베르투스 뵈티우스 Gisbertus Voetius, 1589~1676
부록 4. 청교도에 대한 2차 문헌들
부록 5. “위대한 전통”
: 청교도주의와 오늘날 우리의 필요에 대한 마지막 말
주요 용어와 사건들의 뜻풀이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문]
청교도들은 빛 가운데 불타오르는 빛의 사람들이었다. 검은 성 바돌로뮤의 날의 조치 때문에 쫓겨나 대로와 울타리와 헛간과 들에서조차 설교할 권리를 박탈당했을 때, 청교도들은 여전히 말씀의 권위를 가진 사람들로서 특별한 방식으로 글을 쓰고 설교했다. 지금은 그들 모두가 이 세상에 없지만, 여전히 자신들의 글을 통해 말하고 있다. 이 시간에도 특별한 기름 부으심이 그들을 따라다니고 있다. 내가 언급한 30년 전의 그 시간 이후 계속해서 가정과 바깥 그리고 조국과 해외 어느 곳에서든 참되고 살아 있는 기독교가 부흥하면 할수록 영국 교회와 교통하며 살아갔고 세상을 떠났던 유익한 옛 청교도들의 글과 그 인장과 같은 저자들의 역할이 더욱 요청되었다……. 청교도의 작품들은 여전히 가식 없이 말씀의 영을 향해 선두에서 그들을 칭송한다. 우리는 청교도들과는 반대되는 현대의 경향과 그 작품들이 화려하고 번지르르한 기교 혹은 책략과는 무관하게 스스로 약해져서 소멸될 것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이런 경향들은 성경의 규준에 가장 근접하기 위해 그 이해력을 말씀에 열어 놓고 분별하기 위해 애쓴 청교도들을 결국 두 손 들고 높이며, 그렇게 상반되게 흔적 없이 사라지고 말 것이다. 그리고 반대로 청교도와 그 작품들은 살아남아 번성하게 될 것이라고 단언한다.
- 조지휫필드,『 전집』, 4:306~307
왜 영국 청교도들과 스코틀랜드 그리고 네덜란드의 개혁주의자들이 우리에게 남긴 작품들에 대한 안내서를 내놓아야 하는가?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우리는 20세기의 대부분의 기간에 청교도들에 대한 관심이 얼마나 적었는가에 대해 회상해 봄으로써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조지 휫필드가 예측한대로 “훌륭한 옛 청교도 문헌들”에 대한 요청은 19세기까지 세대를 이어 강한 경향으로 지속되었다. 청교도들에 대한 이런 관심은 그들의 작품들의 표준적인 편집판을 내놓은 알렉산더 그로사트와 여러 인물들의 노력에서 정점에 달했다.
그러나 19세기의 마지막 즈음에 전혀 다른 사상적 흐름이 대서양의 양편에 있는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퍼져 나가기 시작했다. 청교도들의 칼빈주의는 기독교 사상에 있어 낡은 체계로 여겨졌으며, 청교도주의의 심장이자 핵인 성경에 최고의 권위를 두는 시각은 전혀 다른 관점으로 바뀌었다. 이런 상이한 관점들은 사실상 전적인 불신앙이고 배교인 자신들의 정체를 위장한 채, 기독교가 보다 학문적이고 과학적이어야 한다고 외쳤다.
“훌륭한 옛 청교도의 작품들”에 대한 요청은 잦아들어 갔고, 북미와 영국의 출판사에서 청교도 작품들에 대한 출판은 멈추었다. 청교도 작품들이 쓰레기통에 버려지거나 폐기물 수집을 위해 팔리는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청교도 작품들은 그 영향력이 쇠퇴하여 읽히지 않아 도서관 서재에 꽂혀져 방치되었고, 중고 서점과 진열대에서 헐값으로도 팔리지 않게 되었다.
그러던 때에 하나님의 손길로, 런던에서 로이드 존스 박사의 사역이 청교도 작품들에 대한 필요를 재생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그는 수시로 자신의 설교에서 청교도 작품들을 언급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그 내용의 출처를 궁금해하도록 했다. 로이드 존스는 그들을 에반젤리컬 도서관(Evangelical Library, 역자 주: 런던에 있는 도서관의 이름임.)으로 인도했다. 그리고 청교도 작품의 재인쇄본이 발간될 때까지 1950년부터 청교도 콘퍼런스를 열어 이를 수년 간 주재했다. 따라서 많은 사람이 청교도 작품들을 더욱 많이 접할 수 있는 나날을 열망하게 되었다.
1950년대 후반에 진리의 깃발사가 선두에 서서 청교도 작품의 새로운 재인쇄본을 내놓으며 상황은 극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했다. 이미 성경의 진리들과 개혁주의 신앙 고백서의 가르침을 깊이 들여다보기 시작했던 새로운 세대의 그리스도인들은 이제 더욱 깊은 안내와 이해를 추구하던 글로 남겨진 청교도들의 유산을 맛보기 시작했다. 이에 “훌륭한 옛 청교도의 작품들”의 새로운 판본에 대한 요구는 늘어가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청교도 문헌의 발간은 확대되기 시작해서 이들의 책을 사랑하는 사람은 거의 누구나 이미 재출판본을 사들일 수 있게 되었다. 그렇다면 어떤 책을 사야 하는가? 각 청교도의 작품에 대한 요약과 저자에 대한 간략한 소개는 어디서 찾을 수 있는가?
이 안내서는 1956년 이래로 재인쇄되고 출판되었던 청교도 저자들의 생애에 대한 간략한 기술과 그 작품들을 소개함으로써 이런 질문들에 대답을 제공한다. 우리는 이 책이 청교도 작품의 구매자들을 돕고, 다른 독자들의 청교도들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며 이미 청교도 문헌에 상당한 지식을 갖고 있지만 더 깊은 연구를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안내를 해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서문 중에서... (pp. 2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