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61412346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9-04-27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육친의 세부적 이해
1. 육친이란
2. 육친의 이름 붙이기
3. 육친의 해석
4. 천간육친 조견표
5. 지지육친 조견표
6. 천간지지육친 조견표
7. 육친별 특성과 성격
2장 근묘화실
1. 《연해자평》의 의미 분석
2. 근묘화실 각 주의 의미
3장 12운성
1. 12운성이란
2. 12운성 조견표
3. 12운성 해설
4. 12운성 보는 법
4장 12신살
1. 12신살이란
2. 12신살 조견표
3. 12신살 해설
4. 12신살 보는 법
5장 명궁
1. 명궁이란
2. 명궁의 월 판단
3. 지지 산출법
4. 명궁의 천간
5. 명궁 해설법
6장 용신
1. 용신이 필요한 이유
2. 용신을 잡아라
7장 격국
1. 격국이란
2. 격국론의 이해
3. 팔정격
4. 외격
5. 종화격
8장 신살론
1. 길신
2. 흉살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육친이란 달리 육친골육(六親骨肉)이라 표현하는데 부모, 형제, 배우자, 자녀를 말한다. 사주를 간명하면 이 여덟 글자에 육친의 존재가 모두 들어 있다. 사주를 풀어갈 때 육친과 자신의 일간 대입은 매우 중요하고 밀접한 관계다. 육친의 대입이 원활해야 올바른 간명이 이루어진다. 육친을 비교 분석하여 친밀한 것은 길명(吉命)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좋지 않다. 육친에 따른 재관인식(財官印食)의 사길신(四吉神)이 육친에 해당한다.
근묘화실은 사주팔자를 적으면서 바로 해석이 가능하게 만드는 관법(觀法)에 해당한다. 격용(格用)에서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 부분이기는 하다. 그러나 일부 학자나 연구가들은 가장 중요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요한 것은 사주를 적어 내려가며 그 흐름을 파악하기가 가장 용이한 기법이라는 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