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61570169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08-11-27
책 소개
목차
여는 글―세계화 시대에도 ‘민족’이 살아남은 까닭
1부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 정체성
1. 민족주의에 관한 이론들 2. 대중문화와 민족 정체성 3. 일상생활과 민족 정체성 4. 정체성의 개념화 5. 민족 정체성의 재분배
2부 민족의 지리와 경관
6. 공간적으로 제한된 민족 7. 이데올로기적 공간, 시골 8. 민족의 상징적 명소들 9. 대중문화 공간과 집회 장소 10. 익숙하고 일상적인 경관 11. 거주 경관 12. 가사 공간 13. 민족 정체성과 각 문화 요소의 관계
3부 민족 정체성의 퍼포먼스
14. 민족 기념식과 만들어진 전통 15. 스포츠와 축제 16. 무대 위의 민족 17. 일상적 퍼포먼스 18. 민족 정체성의 경계
4부 물질문화와 민족 정체성
19. 사회관계와 사물 세계 20. 상품과 민족 정체성 21. 물질문화와 기호학 22. 사물의 적절한 자리 23. 사물의 일대기 24. 자동차와 문화 25. 민족 정체성의 물화
5부 민족의 재현
26. 브레이브하트 27. 영화에 비친 스코틀랜드 28. 브레이브하트가 일으킨 논쟁 29. 스코틀랜드의 관광 유산과 영화 산업 30. 윌러엄 월러스의 영웅 만들기 31. 윌리엄 월러스에 관한 또다른 재현들 32. 월러스를 재현하는 퍼포먼스와 의례 33. 스코틀랜드 밖에서의 브레이브하트 34. 문화의 민족적 표상이 지닌 힘
6부 새로운 세기의 민족 정체성
35. 밀레니엄 돔의 자화상 36. 앤드스케이프 37. 앤드스케이프의 해석
- 옮긴이의 글―민족 정체성은 언제나 진행 중이다?박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