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88961871556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09-12-08
책 소개
목차
● 총론 /한석정
Ⅰ. 연구 배경
Ⅱ. 연구 개요
Ⅲ. 정책 제안
● 근대 만주의 예비적 탐사 - 영남 지역의 만주 귀환자, 국내 만주 자료 그리고 문화 연구 /한석정
Ⅰ. 머리말
Ⅱ. 국내의 만주 자료
Ⅲ. 영남 지역의 만주 귀환자 추적
Ⅳ. 한국 문화에 미친 만주의 영향
Ⅴ. 맺음말
● 근대 만주 관련 해외 자료의 수집과 정리 /정안기
Ⅰ. 머리말
Ⅱ. 해외 지역 근대 만주 관련 자료
Ⅲ. 근대 만주 관련 주요 사료군의 해제
Ⅳ. 최근 만주 관련 해외 연구서
Ⅴ. 연구 결론과 학술 정책 제언
● 만주국 정치사 연구의 기본·심화자료 및 국내자료 /임성모
Ⅰ. 머리말
Ⅱ. 만주국 정치사 연구의 기본자료-전기·회상기 자료
Ⅲ. 만주국 정치사 연구의 심화자료-전쟁책임과 731부대
Ⅳ. 만주국 정치사 연구와 국내자료-도시연구와 신문자료
Ⅴ. 맺음말
● 간도 담론의 연구사적 검토 /김기훈
Ⅰ. 머리말
Ⅱ. 간도 담론의 형성과 전개
Ⅲ. 맺음말
● 일본의 ‘만주국’ 연구의 현황과 과제 - 공동연구를 중심으로 /다나카 류이치
Ⅰ. 머리말
Ⅱ. 1980년대 이전의 연구 현황
Ⅲ. 1990년대 이후의 연구 현황
Ⅳ. 맺음말
● 연구자료와 참고문헌
Ⅰ. 만주 귀환자 3인에 대한 면접 요약
Ⅱ. 부산·경남, 대구·경북, 서울 지역의 만주 관련 자료
Ⅲ. 근대 만주 관련 해외 자료
Ⅳ. 만주국 정치사 연구의 기본·심화자료 및 국내자료
Ⅴ. 간도 영유권 관련 자료
Ⅵ. 일본의 ‘만주국’ 연구 관련 자료
책속에서
폴레조사단의 조사 시점은 1946년 5월이며, 국민정부의 지배지역에 한정하고 있다는 점이 한계이자 특징이라 하겠다. 그러나 일본이 만주국에 건설한 중화학공업은 당시 국민정부 지배지역에 집중적으로 입지했던 점을 고려하면, 당시 만주 경제의 실태와 관련한 중요한 보고서라 할 수 있겠다. 또한 같은 시기의 하얼빈과 목단강 등 공산당 지배지역의 대도시에 대한 조사 여행 기록도 포함하고 있다.-정안기, 「근대 만주 관련 해외 자료의 수집과 정리」中
만주국 정치사 연구의 기본자료는 무엇보다 외무성, 척무성 등 일본 정부, 관동군, 만주국 정부가 발간한 공문서들이다. 『만주국 정부공보』 등 이들 공문서야말로 정치사의 기본골격을 이루는 정책의 입안, 논의, 실행, 결과 등을 개관할 수 있는 1차 자료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밖에도 이들 통치구구에 몸담았던 관료, 군인, 기술자, 지식인 등과 농업이민, 노동이주 등의 형태로 만주국에 거주했던 농민, 노동자들의 전기 및 회상기 같은 자료가 있는데, 이들 자료는 최근 정치사 연구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가운데 새삼 그 중요성을 평가받고 있다. (임성모, 「만주국 정치사 연구의 기본·심화자료 및 국내자료」中)
은정태는 대한제국기 ‘간도 문제’에 대한 선행 연구가 대부분 영유권의 향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당시의 지식인들과 언론의 간도 ‘담론’ 혹은 ‘의식’을 분석하게 되었다고 연구 동기를 밝힌다. 이 논문에서 그는 대한 제국의 간도 정책을 ‘식민화(식민지로서 영토화하려 했다는 의미)’ 과정이라고 규정한다. 즉, 사회진화론적 문명 담론을 수용한 대한제국이 ‘비어 있는 땅(空地)’인 간도를 자국 영토로 만들고 현지 주민과 토지를 지배하려 한 결과로 보는 것이다. (김기훈, 「간도 담론의 연구사적 검토」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