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61875349
· 쪽수 : 322쪽
· 출판일 : 2020-04-10
목차
책머리에·4
역사화해로 안내
- 화해, 법, 그리고 역사 내레이션 _이병택
Ⅰ. 머리말: 화해의 등장
Ⅱ. 화해의 사례와 흐름
Ⅲ. 법에 비친 화해의 정신
Ⅳ. 역사 내레이션과 화해의 전략
Ⅴ. 맺음말 ㅡ
제1부 근대정치와 화해의 문제
1. 마키아벨리 『피렌체사』에 나타난 공동체의 갈등과 화해의 문제 _ 신철희
Ⅰ. 머리말
Ⅱ. 마키아벨리 『피렌체사』에 등장하는 공동체의 갈등 유형
Ⅲ. 공동체의 화해와 사회통합
Ⅳ. 맺음말: 피렌체의 경험이 국가 간의 관계에도 적용 가능한가?
2. 16세기 위그노전쟁과 정치적 정의로서의 화해 _ 이동수 47
Ⅰ. 머리말 47
Ⅱ. ‘정당한 전쟁’ 51
Ⅲ. 위그노전쟁과 낭트칙령 56
Ⅳ. 정치적 정의로서의 화해 63
Ⅴ. 맺음말 67
제2부 일본의 근대와 갈등의 유산
1. 일본에서의 전후보상재판과 화해 _ 김관원
Ⅰ. 머리말
Ⅱ. 전후보상재판의 현황과 의의
Ⅲ. 소송과 관련된 화해사례 분석
Ⅳ. 맺음말
2. 재판정에 선 역사들 _ 유불란
Ⅰ. 머리말 : 동아시아사(史) 시대의 국사문제?
Ⅱ. 통설과 비(非) 통설의 사이에서
Ⅲ. 교과서 재판이라는 형태의 역사 논쟁
Ⅳ. 협의의 탈아론과 광의의 탈아론의 사이에서
Ⅴ. 맺음말
제3부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조선의 정체성
1. 역사화해 관점에서 본 조선 후기 변무사건 _ 이하경 247
Ⅰ. 머리말 247
Ⅱ. 조선 후기 변무사건의 의의 250
Ⅲ. 영조 47년 고세양 사건 255
Ⅳ. 맺음말 272
2. 호란(胡亂) 이후 조선의 역사화해 _ 방상근 197
Ⅰ. 머리말 197
Ⅱ. 역사화해의 개념과 방식 199
Ⅲ. 후금(청)의 등장과 정치질서의 공존 204
Ⅳ. 대중화 청조의 지배와 문화의 동질성 문제 223
Ⅴ. 서양 이적(夷狄)의 등장과 동도(同道)의 모색 232
Ⅵ. 맺음말 : 화해의 조건 239
제4부 문명, 포용과 차별
1. 청 옹정제의 만한(滿漢) 역사 갈등 해소 모델 _ 이동욱
Ⅰ. 머리말
Ⅱ. 증정 사건과 『대의각미록』의 간행
Ⅲ. 반청의 논리 구조: 증정의 화이관과 복수론, 역사인식
Ⅳ. 옹정제의 역사 갈등 해소 논리
Ⅴ. 『대의각미록』의 역사적 유전(流轉)
Ⅵ. 맺음말
2. 일제강점기 중국인 차별의 근대담론 _ 김종근
Ⅰ. 머리말
Ⅱ. 중국인 타자공간 담론의 형성 배경
Ⅲ. 중국인 타자공간 담론의 주요 사례
Ⅳ. 중국인 타자공간 담론의 확대 재생산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