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61876568
· 쪽수 : 337쪽
· 출판일 : 2021-10-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4
제1부 복수의 본성과 화해의 기제들
1. 전통시대 동아시아 유교에서의 복수와 정의 _ 이원택
I. 머리말 · 13
II. 유교에서의 사회구성 원리: 친친과 존존 · 14
III. 유교에서의 복수: 유교적 정의 · 23
IV. 조선시대의 복수 사건과 복수론의 전개 · 28
V. 맺음말: 정의, 의리, 그리고 화해 · 39
2. 역사화해 관점에서 본 조선 숙종 대 노산군 복권 조치 _ 계승범
I. 머리말 · 45
II. 노산군 관련 논의의 장기 추이 패턴 · 49
III. 1690년대 복권 조치의 시대적 환경 · 66
IV. 맺음말 · 76
3. 데이비드 흄이 본 영국의 헌정 논쟁 이행적 정의를 중심으로 _ 이병택
I. 머리말 · 81
II. 헌정 논쟁의 전사(前史) · 84
III. 영국의 헌정 논쟁: 반복과 차이 · 92
IV. 이행적 정의 · 104
V. 맺음말 · 110
제2부 국제질서와 화해적 공존
1. 조선 세조 대 여진정책과 역사화해 ‘중화공동체론’의 관점에서 _ 방상근
I. 머리말 · 117
II. 역사화해의 개념 · 119
III. 조선의 국가전략과 중화공동체론 · 122
IV. 세조시대의 화해 노력 · 130
V. 세조 13년의 건주위 정벌 · 144
VI. 맺음말: 중화공동체의 실재와 한계 · 149
2. 역사화해를 위한 조건 독일-폴란드 역사화해를 중심으로 _ 이동수
I. 머리말 · 155
II. 독일과 폴란드의 갈등의 역사 · 158
III. 독일과 폴란드의 화해의 과정 · 167
IV. 화해의 조건과 교훈 · 175
V. 맺음말 · 184
3. 중화질서와 근대 국제질서의 만남 화해적 수용의 한계 _ 김현주
I. 머리말 · 189
II. 『만국공법』을 통한 근대 세계질서의 수용 · 197
III. 천조상국의 화이지변 · 203
IV. 중화질서에서 벗어난 국제법의 적용과 실천 · 213
V. 중화질서와 근대 세계질서의 충돌 · 217
제3부 한국과 일본, 선린과 적대 사이에서
1. 도의적 책임론의 등장과 의미 사할린 한인 문제를 중심으로 _ 최희식
I. 사할린 한인 문제와 도의적 책임론 · 229
II. ‘65년 체제’의 역사문제 구조 · 231
III. 1980년대 도의적 책임론의 본격화 · 241
IV. 도의적 책임론의 의미 · 253
2. 전후처리를 통해서 본 화해의 가능성과 한계 일본과 독일의 비교를 중심으로 _ 곽진오
I. 머리말 · 265
II. 초기 점령개혁과 정책 · 267
III. 점령정책의 정착과 체제 억제 · 275
IV. 일본 점령개혁 · 282
V. 일·독 제도개혁 · 287
VI. 맺음말 · 293
3. 한일 화해의 허들 일본 정부의 이중적인 역사인식을 중심으로 _ 김관원
I. 머리말: 일본 정부의 화해 움직임과 한계 · 297
II. 일본의 총리 발언과 정부 담화를 통한 사죄 · 306
III. 거세지고 있는 일본 정부의 우경화 현상과 요인 · 314
IV. 맺음말 · 327
찾아보기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