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현대철학 일반
· ISBN : 9788961952422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0-07-24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6
총서 편집자 서문 12
서론 : 유물론의 갱신을 위하여 17
1부 기계들
1장 포스트휴먼 매체생태론을 향하여 36
2장 기계란 무엇인가? 67
3장 에일리언 현상학 91
4장 기계 회집체와 엔트로피 121
2부 세계들
5장 세계의 구조 172
6장 공간과 시간의 토폴로지 215
7장 중력 282
8장 대지, 지도, 그리고 실천 354
부록 ― 『존재의 지도』 저자와의 문답 433
감사의 글 448
참고문헌 450
인명 찾아보기 457
용어 찾아보기 459
책속에서
나는 지리학이 사회과학의 여왕이라고 강력히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지리학이 세계와 사회적 관계를 최소로 탈물질화하면서 사회적 생태를 담론성으로 전환하기를 기피하는 사회 이론의 갈래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사실인 이유는, 지리학은 사회적 관계가 항상 어떤 특정한 공간이나 장소에 묻어 들어가 있는 방식을 파악하고, 소통이 공간을 가로질러 가는 데 시간이 걸리고 전달 매체가 필요함을 인정하며, 물질적 세계의 지리적 양태가 사회적 관계가 취하는 형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사회철학과 정치철학은 더 지리학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
― 서론 : 유물론의 갱신을 위하여
자연 또는 존재는 단지 공장들, 즉 미시기계들과 거시기계들로 구성되어 있을 따름인데, 종종 서로 둘러싸는 이들 기계는 다른 기계들에서 물질의 흐름을 끌어들여서 자신의 조작 과정을 거쳐 그 생산물로서 새로운 형태의 흐름을 산출한다. 요약하면, 존재는 기계들의 집합체 또는 회집체다.
― 1장 포스트휴먼 매체생태론을 향하여
‘에일리언 현상학’이라는 용어는 비인간 존재자들이 주변 세계를 경험하는 방식을 검토하는 현상학의 일종을 가리키기 위해 이안 보고스트에 의해 도입되었다. 내가 이해하는 바로는, 에일리언 현상학은 전통적 현상학을 포함하면서도 그것을 넘어선다. 전통적 현상학은 세계에 대한 우리의 체험을 탐구하지만, 에일리언 현상학은 모기, 나무, 바위, 컴퓨터 게임, 기관 등과 같은 여타 존재자가 주변 세계를 맞닥뜨리는 방식을 탐구하고자 한다.
― 3장 에일리언 현상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