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 폭풍의 전개

이 폭풍의 전개

(뜨거워지는 세계 속의 자연과 사회)

안드레아스 말름 (지은이), 김효진 (옮긴이)
갈무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이 폭풍의 전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 폭풍의 전개 (뜨거워지는 세계 속의 자연과 사회)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서양철학 일반
· ISBN : 9788961953887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5-06-19

책 소개

안드레아스 말름의 『이 폭풍의 전개』는 자연과 사회는 서로 구분될 수 없다는 관념에 맹공을 가하면서, 자연과 사회의 변증법과 역사유물론에 기반을 둔 생태맑스주의를 기후위기의 시대에 대처하기 위한 이론으로 제시한다.
안드레아스 말름(Andreas Malm, 1977~)은 누구인가?
『이 폭풍의 전개』의 저자 안드레아스 말름은 스웨덴 묄른달 출신의 맑스주의 생태학자이자 기후행동가로, 현재 스웨덴 룬드 대학교에서 인간생태학을 가르치고 있다. 말름은 오늘날 찾아보기 드문 공공 지식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견지하고 있다. 지금까지 화석 자본주의와 기후위기의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해온 말름은 여러 권의 책을 쓴 세계적인 저술가일 뿐만 아니라, 현재의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화석 자본주의 체제를 근본적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기후운동을 실천하는 활동에도 깊이 관여했다. 예를 들어서 그는 다양한 기후운동 모임에서 강연을 하거나 독일의 기후운동 <엔데 겔랜데>(Ende Gelande)의 탄광 점거 행동 등에 직접 참여했다.
『이 폭풍의 전개』의 영어판은 2018년에 출판되었다. 이 책에서 말름은 기후 파국을 초래할 화석 자본주의에 맞서 싸우는 기나긴 전쟁에서 좌파가 견지해야 할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이 책을 출간하기 직전인 2016년에 말름은 도이처 기념상을 수상한 『화석 자본 : 증기력의 발흥과 지구온난화의 기원』(두번째 테제, 2013)을 출판했다. 2020년에는 팬데믹, 기후변화, 그리고 자본주의의 연계성을 규명한 『코로나, 기후, 오래된 비상사태 : 21세기 생태사회주의론』(마농지, 2021)을 출간했다. 2021년에는 생태 붕괴에 적극 대처하는 기후운동의 전략을 다룬 『송유관을 폭파하는 방법 : 불타는 세계에서 투쟁 학습하기』라는 책과, 기후위기의 시대에 극우파가 부상하는 정치적 현실을 경고한 『흰 피부, 검은 연료 : 화석 파시즘의 위험에 관하여』라는 책을 출간했다. 2024년에는 또 다른 행동가 학자인 윔 카턴과 함께 임계온도 한계의 초월을 추동하는 세력들을 통렬하게 비판한 『초과 : 어쩌다 세계는 기후 붕괴에 굴복하였는가』라는 책을 출간하였으며, 또한 기후 재난에 대한 지구공학적 해결책의 문제점과 관련하여 카턴과 함께 저술한 『기나긴 열기 : 너무 늦은 시점에서의 기후정치』라는 책이 2025년 10월에 출간될 예정이다.

폭풍과 뜨거워지는 세계

이 책 제목의 ‘폭풍’이라는 낱말은 발터 벤야민의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에 수록된 ‘역사철학 테제 9번’에서 언급된 ‘폭풍’에서 가져온 것으로 짐작된다. 벤야민의 테제 9번 속 ‘폭풍’은 ‘중단 없는 파국’으로서의 진보를 상징한다. 한편, 말름의 ‘폭풍’은 인간 문명의 종말로 귀결될 ‘기후변화’를 상징하는 동시에 지구가 ‘중단도 없이’ 뜨거워지는 ‘온난화 조건’ 아래에서 점점 맹렬해지는 실제적인 ‘폭풍’을 나타내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뜨거워지는 세계 속의 자연과 사회”라는 이 책의 부제는 동시대의 다양한 철학적 사유를 기후위기와 관련지어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말름의 근본적인 입장을 드러낸다. 이 책에서 말름이 가차 없이 비판하는 동시대의 철학적 사유들은 ‘자연’과 ‘사회’를 융합하는 라투르식의 용해주의로 포섭될 수 있는 구성주의, 혼종주의, 그리고 신유물론이다. 말름에 따르면, 이런 용해주의적 사유들은 모두 기후위기에 대처할 어떤 윤리적·정치적 대응책도 제시할 수 없다. 그런 입장들은 지적으로 막다른 골목에 처하게 되면서 기후변화라는 폭풍 속에서 표류하고 있을 뿐이다. 말름은, 기후변화가 초래할 파국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는 사유는 ‘자연(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을 변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근에 발표된 기후과학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류가 화석연료에 기반을 둔 ‘평소의 생활방식’을 고수하면서 살아간다면 지구는 인간뿐만 아니라 수많은 생명체가 ‘거주 불가능한’ 곳이 되리라는 것은 확실하다. 이런 현실에 대응하는 말름의 태도는, “기후변화가 초래할 파국에 맞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라는 종말론적인 체념주의도 아니고, “기후변화는 현존하지 않는다”라는 기후변화 부인론도 아니다. 따라서 현행 기후변화의 실재성과 기후과학의 결과를 수용하는 ‘기후 실재론자’로서 말름은, 기후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화석연료 기반 시설을 겨냥한 대중적·전투적·급진적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역설한다. 말름은 화석 자본주의를 기후 파국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확증하면서 그 파국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 체제를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자연의 반격

19세기 초 화석연료에 기반을 둔 화석 경제와 화석 자본주의가 정립된 이후에 우리는 줄곧 화석연료 산업의 급속한 발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급격한 증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급격한 상승, 지구 온도의 가속적 상승, 빙하의 급격한 붕괴와 해수면의 가속적 상승을 직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기후를 나타낸 산업화 이전 시기, 이른바 충적세(홀로세) 시기와 달리, 현재 우리는 끊임없이 뜨거워지고 있는 지구에서 삶을 영위하게 되는 독특한 역사적 국면, 기후변화를 수반하는 ‘온난화 조건’으로 특징지어지는 이른바 ‘인류세’ 국면에 처해 있다.
예컨대, 2024년은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대략 1.6도 상승함으로써 ‘기후 재앙을 막는 마지노선’이라 불리는 ‘1.5도 선’이 처음으로 뚫린 해로 밝혀졌다(이런 점에서 ‘온난화 조건’은 ‘가열화 조건’으로 심화되었다). 그리하여 우리가 기후과학의 신뢰성을 의문시하고 기후변화의 실재를 부인하면서 ‘평소의 생활방식’을 고수한다면, ‘온난화 조건’에 의해 초래된 기후변화라는 최후의 폭풍이 인류 문명의 종말뿐만 아니라 생물 대멸종도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점은 자명하다. 인간에 의한 자연 지배, 자연 정복이 완결됨으로써 자연은 소멸되었다는 ‘자연의 종말’ 테제가 만연하는 바로 이 시대에 자연은 맹렬히 귀환하여 인간의 문명 세계에 침입하면서 파괴적으로 반격하고 있다.
지구의 기후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던 시기와 달리 확연한 기후변화가 나타나게 되는 산업화 이후 시기를 본질적으로 특징짓는 것은 탄소 기반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화석 자본의 등장이다. 산업화 이전 시기 탄소의 자연적 물질대사 과정은 인간의 사회적 물질대사 과정과 맞물려 균형 상태를 이룸으로써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대략 280ppm으로 유지되었다. 반면에, 산업화 이후 시기에는 화석연료를 연소시키는 화석 자본의 사회적 물질대사 과정을 거쳐 대기에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급증함에 따라 이에 연동된 자연적 물질대사 과정의 상태가 새로운 평형을 향해 이행하게 되었고, 그 결과 지구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두드러진 기후변화를 나타내는 ‘온난화 조건’이 확립되었다. 예컨대, 2024년 말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대략 420ppm에 이르렀고,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보다 대략 1.6도 상승하였다. 다시 말해서,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현행 기후위기의 촉발 원인은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 즉 이윤 획득을 위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화석 자본주의 체계이다. 화석 자본주의 체계가 사회적 물질대사의 조절판을 돌리면, 자연적 물질대사는 그 변화에 조응하여 기후변화를 심화시키고 있을 뿐이다.

자연과 사회의 경계가 없다고 말하는 이론들

과학적 사실에 기반을 둔 이런 논변은 자연(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의 분리에 근거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자연과 사회가 어떤 의미에서도 별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지 않는다는 이론이 유행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포스트모니즘적 구성주의, 라투르의 혼종주의, 포스트휴머니즘적 신유물론이 다수의 사람에게 두드러진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들 이론에 따르면, 자연은 사회적으로 ‘구성되’기에 사회와 구분될 수 없거나, 또는 자연과 사회는 경계가 완전히 사라진 혼종을 이루기에 구분될 수 없거나, 또는 자연은 그저 어떤 독립적인 현존도 갖추고 있지 않다.
이 책에서 말름은, 구성주의, 혼종주의, 신유물론 같은 부류의 이론들이 자연과 사회를 실체적으로 또 속성적으로 융합함으로써 기후변화의 책임 소재를 불분명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의 실재를 부인하는 입장을 뒷받침할 수도 있다는 논변을 설득력 있게 전개한다. 특히, 라투르의 혼종주의에 기반을 둔 신유물론은 인간 행위성과 비인간 행위성을 대칭적으로 분배함으로써 기후변화의 근본적 원인을 화석 자본주의 체제가 아니라 화석연료 자체에 두게 된다. 이와 같은 오류는 인과관계적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목적성을 갖춘 의도적인 행위와 혼동하는 데서 기인한다는 논변을 말름은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요컨대, 이들 이론은 기후위기와 관련하여 우리로 하여금 무력하게 만들거나 절망적인 패배주의에 사로잡히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자연과 사회의 상호작용에서 기인한 온난화 조건에 대처하는 데 적절한 이론은 자연과 사회의 물질적 실체는 동일하더라도 자연적 속성과 사회적 속성은 구분될 수 있다는 테제를 이론의 근간으로 삼아야 한다. 다시 말해서, 현재 진행 중인 기후변화의 근본 원인은 화석 자본주의 체계의 사회적 물질대사라는 것과 그런 사회적 개입에 조응하여 작동하는 자연적 물질대사에 의해 기후변화라는 폭풍이 전개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한다.

말름의 사회주의적 기후 실재론

말름은 기후위기에 대처하는 우리의 대응책을 견인할 수 있는 이론으로서 ‘사회주의적 기후 실재론’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 요약된 사회주의적 기후 실재론의 세 가지 신조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관계들은 화석 경제와 그것에 기반을 둔 기술들의 발전에서 실재적인 인과적 수위성을 가진다. (2) 재귀적 강화 고리들에 의해 이 관계들은 화석 경제의 완고한 구조에서 공고화되었다. (3) 그 전체는 결국 지구 시스템 전체에 불을 붙이고, 그리하여 (일부) 인간들은 두려워해야 할 실재적 이유가 있다.
우리가 기후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은 화석 자본주의 체계를 종식시키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하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안정화함으로써 자연적 물질대사의 귀결로서 나타나는 기후를 안정화하는 것이라고 말름은 주장한다. 이 책에서 말름은, 사회주의적 기후 실재론을 견지하면서 사회적 물질대사와 자연적 물질대사의 균열을 메꿀 수 있는 생태맑스주의를 이런 방안을 고무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이론으로 제시한다.

책의 구성

이 책은 서론과 여덟 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론에서 제시된 말름의 견해에 따르면, 온난화 조건에 대한 이론의 주요 과업은 행동과 저항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다. 나머지 여덟 개의 장에서는 근본적으로 비판적인 견지에서 그 착상이 검토된다. 요컨대, 자연과 사회를 융합하는 동시대 이론들은 생태위기의 주범인 화석 경제와 화석 자본주의를 해체시키는 데 실패했다고 말름은 주장한다. 서론 다음에 이어지는 세 개의 장에서는 각각 ‘구성주의’, ‘혼종주의’, ‘신유물론’에 대한 날카로운 ‘반대’ 논변이 전개된다. 4장에서는 기후변화 부인론에 맞서 기후변화의 실재성을 수용하는 기후 실재론에 대한 옹호 논변이 전개된다. 나머지 네 개의 장에서 말름은 구성주의, 혼종주의, 신유물론에 대한 비판을 반복하면서 우리가 기후변화의 귀결을 다룰 방법, 기후위기를 초래하는 자본주의적 착취 체계에 저항할 유의미한 방식들에 관해 이야기한다. 이를테면, 5장, 6장, 그리고 7장에서는 각각 온난화 조건에 대처할 수 있는 대안 이론을 구성하는 데 유용한 역사유물론, 물질대사 균열 이론, 생태자율주의를 옹호하는 논변이 전개된다. 8장은 이론은 기후운동의 “기획에서 매우 한정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이지만, “적어도 이론은 그런 기획의 걸림돌은 되지 말아야 한다”라는 결론으로 마무리된다.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 부인론이 확산하고 권위주의적인 극우파 정권이 부상하는 작금의 문화적·정치적 현실을 감안하면, 우리는 “조직된 집단적인 전투적 저항” 운동이 필요한 국면에 처해 있다. 말름의 표현대로, “라투르보다 레닌이 더 필요하다. 이것이 온난화 조건이 요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사고방식과 가치관을 형성하는 사상의 변화는 개인의 행동양식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철학적 통찰 또한 상기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우리가 자연, 사회, 그리고 기후변화에 관하여 생각하는 방식은 분명 우리가 기후정의를 위해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이 책은 우리가, 슬라보예 지젝이 권고하듯이, 잠시 행동을 멈추고 화석 자본주의 체제의 본질과 작동 원리를 곰곰이 고찰하면서 기후변화라는 폭풍을 극복하고 세계를 변화시킬 바람직한 사상이 무엇인지 냉철하게 고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서론 : 온난화 조건에 대한 이론 6

1장 자연의 구축에 관하여 : 구성주의를 반대하며 39
2장 결합 발전에 관하여 : 혼종주의를 반대하며 77
3장 물질이 행하는 것에 관하여 : 신유물론을 반대하며 137
4장 일각수와 개코원숭이에 관하여 : 기후 실재론을 지지하며 209
5장 소유의 위험에 관하여 : 폭풍을 추적하기에 대한 소묘 273
6장 대립쌍의 효용에 관하여 : 양극화를 찬양하며 307
7장 통제하기 어려운 자연에 관하여 : 생태자율주의의 한 가지 실험 341
8장 결론 : 한 걸음 후퇴, 두 걸음 전진 377

감사의 글 402
옮긴이 후기 404
참고문헌 411
인명 찾아보기 433
용어 찾아보기 437

저자소개

안드레아스 말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웨덴의 정치생태학자이자 기후행동가로 현재 스웨덴 룬드 대학교에서 인간생태학을 가르치고 있다. 2014년에 룬드 대학교에서 화석연료 자본주의 경제의 기원을 맑스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 그 논문을 저본으로 하여 『화석 자본』(2016 ; 2023)을 첫 번째 단독 저서로 출판하였고 그해 ‘도이처 기념상’을 수상했다. 기후변화라는 “주제에 관한 가장 독창적인 사상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았으며, 자본주의와 생태위기의 연관성을 파헤치는 저작들을 꾸준히 발표해 왔다. 최근에는 기후위기 국면에서 극우파가 실행하는 역할과 지구공학의 정치경제학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또한 야생의 정치에 관한 책을 저술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이 폭풍의 전개』(2018 ; 2025), 『코로나, 기후, 오래된 비상사태』(2020 ; 2021), How to Blow Up a Pipeline (2021), White Skin, Black Fuel (2021 공저), Fighting in a World on Fire (2023), Overshoot (2024 공저), The Destruction of Palestine Is the Destruction of the Earth (2025) 등이 있다.
펼치기
김효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하였으며 인류세 기후변화와 세계관의 변천사에 관심이 많다. 옮긴 책으로 『네트워크의 군주』, 『생명의 그물 속 자본주의』, 『객체들의 민주주의』,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가속하라』, 『사물의 통치』, 『반시대적 객체』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온난화 조건에 대한 이론은 절망 이외에 무엇을 고무하는가? 달리 서술하면, 섭씨 1.5도와 2도의 방어선이 모두 파괴된 것으로 판명되면 우리는 폭풍이 통제 불가능하게 맹위를 떨치고 있기에 바이올린을 켜기 시작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결론지어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 우리는, 무엇보다도, 새로운 화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것, 또는 오래된 화력발전소를 계속해서 가동하는 것, 또는 석유를 채굴하는 것, 또는 공항을 확대하는 것, 또는 고속도로 건설을 계획하는 것이 현재 불합리한 폭력이라고 결론지어야 한다.
― 서론


지구온난화는 신자유주의적인 정치 패러다임과 단절해야 하는 또 하나의 긴급한 이유인 동시에 반실재론의 관 뚜껑에 박을 또 하나의 못이기도 하다.
― 1장 자연의 구축에 관하여


가장 강경한 자연 비판자들도 자연이라는 범주를 생략할 수 없으며, 그리고 그 이유는 아무도 그럴 수 없기 때문임이 틀림없다.
― 1장 자연의 구축에 관하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