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명나라 역대 황제 평전

명나라 역대 황제 평전

(소통하는 지도자는 흥하고 불통하는 지도자는 망한다)

강정만 (지은이)
주류성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15,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명나라 역대 황제 평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명나라 역대 황제 평전 (소통하는 지도자는 흥하고 불통하는 지도자는 망한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세사(원~ 아편전쟁)
· ISBN : 9788962463156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7-06-26

책 소개

역사 자료에 근거하여 황제 16명의 통치 시대에 어떤 역사적 사건들이 일어났는지 살펴본다. 명나라 황제들의 공적과 과오를 평가함으로써 오늘날 지도자가 어떠한 덕목과 리더십을 갖추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개국황제 명태조(明太祖) 주원장(朱元璋)
1. 떠돌이 승려 중팔(重八): 험난한 세월을 견뎌내다
2. 곽자흥(郭子興)의 홍건적(紅巾賊)에 가담하다
3. 세력 확장을 도모하다
4. 군웅할거를 종식시키고 명나라를 건국하다
5. 명태조(明太祖)와 마황후(馬皇后)
6. 살인 본능의 폭발: 공신 대학살 사건

제2장 건문제(建文帝) 혜종(惠宗) 주윤문(朱允?)
1. 사대부의 고상한 인품을 지닌 황제
2. 번왕(藩王)들과의 정치 투쟁
3. 혜종(惠宗)의 죽음: 천고의 수수께끼

제3장 영락제(永樂帝) 성조(成祖) 주체(朱?)
1. 문무를 겸비한 야심가: 연왕(燕王) 주체(朱?)
2. 정난지역(靖難之役): 조카를 죽이고 황위를 찬탈하다
3. 영락제(永樂帝)의 치적
4. 잔인한 영락제: 삼천궁녀 살해 사건

제4장 홍희제(洪熙帝) 인종(仁宗) 주고치(朱高熾)
1. 인자하고 후덕한 성품을 지닌 태자
2. 감국(監國): 부친을 대신하여 나라를 다스리다
3. 황위 계승과 사망 원인

제5장 선덕제(宣德帝) 선종(宣宗) 주첨기(朱瞻基)
1. 문무를 겸비한 태자
2. 숙부 주고후(朱高煦)의 반란을 평정하다
3. 선종(宣宗)의 치적
4. 호황후(胡皇后) 폐위 사건

제6장 정통제(正統帝) 영종(英宗) 주기진(朱祁鎭)
1. 영종(英宗)의 출생 의혹
2. 소년 황제
3. 환관 왕진(王振)의 전횡
4. 토목지변(土木之變): 황제가 몽골족의 포로로 잡히다
5. 영종의 환궁과 유폐
6. 탈문지변(奪門之變): 태상황 주기진의 황위 복귀 정변

제7장 경제(景帝) 대종(代宗) 주기옥(朱祁鈺)
1. 뜻밖에 황제로 등극하다
2. 북경 보위전: 와랄(瓦剌)의 군주, 야선(也先)의 침략을 격퇴하다
3. 태자 주견심(朱見深) 폐위와 친아들 주견제(朱見濟)의 태자 책봉
4. 왕황후(汪皇后)의 현명한 처신과 대종(代宗)의 비참한 말로

제8장 성화제(成化帝) 헌종(憲宗) 주견심(朱見深)
1. 도량이 넓은 말더듬이 황제
2. 만귀비(萬貴妃)의 전횡
3. 환관 왕직(王直)과 양방(梁芳)의 득세
4. 3대 악정: 서창(西廠), 황장(皇莊), 전봉관(傳奉官)

제9장 홍치제(弘治帝) 효종(孝宗) 주우탱(朱佑?)
1. 유령 인간처럼 지낸 어린 시절
2. 명나라 최고의 성군: 홍치중흥(弘治中興)의 태평성대를 열다
3. 일부일처제를 고수한 황제

제10장 정덕제(正德帝) 무종(武宗) 주후조(朱厚照)
1. 주후조(朱厚照)의 출생 의혹
2. 황음무도한 생활을 마음껏 즐기다
3. 환관 유근(劉瑾)의 국정 농단
4. 전쟁을 즐긴 황제

제11장 가정제(嘉靖帝) 세종(世宗) 주후총(朱厚?)
1. 번왕 주후총이 황위를 계승하게 된 배경
2. 대례의(大禮儀) 논쟁
3. 도교의 미신에 빠진 황제
4. 임인궁변(壬寅宮變): 궁녀들의 황제 시해 음모
5. 총신 엄숭(嚴崇)의 득세
6. 남왜북로(南倭北虜): 왜구와 몽골의 침략

제12장 융경제(隆慶帝) 목종(穆宗) 주재후(朱載?)
1. 이룡불상견(二龍不相見)의 괴설
2. 권신 서계(徐階)와 고공(高拱)의 경쟁 관계
3. 몽골과 왜구에 대한 회유 정책
4. 여색에 빠져 죽다

제13장 만력제(萬曆帝) 신종(神宗) 주익균(朱翊鈞)
1. 성장 배경과 황위 계승
2. 어린 황제를 대신한 장거정의 개혁 정치
3. 친정(親政)에 나선 신종(神宗)의 일탈과 폐정
4. 만력삼대정(萬曆三大征)과 살이호(薩爾滸) 전투

제14장 태창제(泰昌帝) 광종(光宗) 주상락(朱常洛)
1. 국본(國本)의 논쟁: 태자 책봉에 대한 임금과 신하간의 갈등
2. 정격안(?擊案): 태자 피습 사건
3. 홍환안(紅丸案): 광종의 급작스런 의문의 죽음

제15장 천계제(天啓帝) 희종(熹宗) 주유교(朱由校)
1. 성장 배경과 황위 계승 과정
2. 희대의 간신: 환관 위충현(魏忠賢)의 국정 농단
3. 희종(熹宗)의 두 여인: 유모 객씨(客氏)와 황후 장언(張?)

제16장 숭정제(崇禎帝) 사종(思宗) 주유검(朱由檢)
1. 성장 배경과 황위 계승 과정
2. 엄당(奄黨)의 몰락과 동림당(東林黨)의 부활
3. 끊이질 않는 자연 재해와 농민 반란
4. 청태종(淸太宗)의 중원 침략
5. 숭정제(崇禎帝)의 자살: 대명제국 최후의 날

머리말

제1장 개국황제 명태조(明太祖) 주원장(朱元璋)
1. 떠돌이 승려 중팔(重八): 험난한 세월을 견뎌내다
2. 곽자흥(郭子興)의 홍건적(紅巾賊)에 가담하다
3. 세력 확장을 도모하다
4. 군웅할거를 종식시키고 명나라를 건국하다
5. 명태조(明太祖)와 마황후(馬皇后)
6. 살인 본능의 폭발: 공신 대학살 사건

제2장 건문제(建文帝) 혜종(惠宗) 주윤문(朱允炆)
1. 사대부의 고상한 인품을 지닌 황제
2. 번왕(藩王)들과의 정치 투쟁
3. 혜종(惠宗)의 죽음: 천고의 수수께끼

제3장 영락제(永樂帝) 성조(成祖) 주체(朱棣)
1. 문무를 겸비한 야심가: 연왕(燕王) 주체(朱棣)
2. 정난지역(靖難之役): 조카를 죽이고 황위를 찬탈하다
3. 영락제(永樂帝)의 치적
4. 잔인한 영락제: 삼천궁녀 살해 사건

제4장 홍희제(洪熙帝) 인종(仁宗) 주고치(朱高熾)
1. 인자하고 후덕한 성품을 지닌 태자
2. 감국(監國): 부친을 대신하여 나라를 다스리다
3. 황위 계승과 사망 원인

제5장 선덕제(宣德帝) 선종(宣宗) 주첨기(朱瞻基)
1. 문무를 겸비한 태자
2. 숙부 주고후(朱高煦)의 반란을 평정하다
3. 선종(宣宗)의 치적
4. 호황후(胡皇后) 폐위 사건

제6장 정통제(正統帝) 영종(英宗) 주기진(朱祁鎭)
1. 영종(英宗)의 출생 의혹
2. 소년 황제
3. 환관 왕진(王振)의 전횡
4. 토목지변(土木之變): 황제가 몽골족의 포로로 잡히다
5. 영종의 환궁과 유폐
6. 탈문지변(奪門之變): 태상황 주기진의 황위 복귀 정변

제7장 경제(景帝) 대종(代宗) 주기옥(朱祁鈺)
1. 뜻밖에 황제로 등극하다
2. 북경 보위전: 와랄(瓦剌)의 군주, 야선(也先)의 침략을 격퇴하다
3. 태자 주견심(朱見深) 폐위와 친아들 주견제(朱見濟)의 태자 책봉
4. 왕황후(汪皇后)의 현명한 처신과 대종(代宗)의 비참한 말로

제8장 성화제(成化帝) 헌종(憲宗) 주견심(朱見深)
1. 도량이 넓은 말더듬이 황제
2. 만귀비(萬貴妃)의 전횡
3. 환관 왕직(王直)과 양방(梁芳)의 득세
4. 3대 악정: 서창(西廠), 황장(皇莊), 전봉관(傳奉官)

제9장 홍치제(弘治帝) 효종(孝宗) 주우탱(朱佑樘)
1. 유령 인간처럼 지낸 어린 시절
2. 명나라 최고의 성군: 홍치중흥(弘治中興)의 태평성대를 열다
3. 일부일처제를 고수한 황제

제10장 정덕제(正德帝) 무종(武宗) 주후조(朱厚照)
1. 주후조(朱厚照)의 출생 의혹
2. 황음무도한 생활을 마음껏 즐기다
3. 환관 유근(劉瑾)의 국정 농단
4. 전쟁을 즐긴 황제

제11장 가정제(嘉靖帝) 세종(世宗) 주후총(朱厚熜)
1. 번왕 주후총이 황위를 계승하게 된 배경
2. 대례의(大禮儀) 논쟁
3. 도교의 미신에 빠진 황제
4. 임인궁변(壬寅宮變): 궁녀들의 황제 시해 음모
5. 총신 엄숭(嚴崇)의 득세
6. 남왜북로(南倭北虜): 왜구와 몽골의 침략

제12장 융경제(隆慶帝) 목종(穆宗) 주재후(朱載垕)
1. 이룡불상견(二龍不相見)의 괴설
2. 권신 서계(徐階)와 고공(高拱)의 경쟁 관계
3. 몽골과 왜구에 대한 회유 정책
4. 여색에 빠져 죽다

제13장 만력제(萬曆帝) 신종(神宗) 주익균(朱翊鈞)
1. 성장 배경과 황위 계승
2. 어린 황제를 대신한 장거정의 개혁 정치
3. 친정(親政)에 나선 신종(神宗)의 일탈과 폐정
4. 만력삼대정(萬曆三大征)과 살이호(薩爾滸) 전투

제14장 태창제(泰昌帝) 광종(光宗) 주상락(朱常洛)
1. 국본(國本)의 논쟁: 태자 책봉에 대한 임금과 신하간의 갈등
2. 정격안(梃擊案): 태자 피습 사건
3. 홍환안(紅丸案): 광종의 급작스런 의문의 죽음

제15장 천계제(天啓帝) 희종(熹宗) 주유교(朱由校)
1. 성장 배경과 황위 계승 과정
2. 희대의 간신: 환관 위충현(魏忠賢)의 국정 농단
3. 희종(熹宗)의 두 여인: 유모 객씨(客氏)와 황후 장언(張嫣)

제16장 숭정제(崇禎帝) 사종(思宗) 주유검(朱由檢)
1. 성장 배경과 황위 계승 과정
2. 엄당(奄黨)의 몰락과 동림당(東林黨)의 부활
3. 끊이질 않는 자연 재해와 농민 반란
4. 청태종(淸太宗)의 중원 침략
5. 숭정제(崇禎帝)의 자살: 대명제국 최후의 날

저자소개

강정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6년 성균관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과 중국의 여러 대학에서 강의와 연구를 병행했다. 2018년 서남대학교에서 퇴직한 후 『중국 역대 황제 평전』 시리즈를 저술하고 있다. 1992년 한국과 중국이 수교한 이래 양국은 여러 분야에서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경제와 외교 분야에서 양국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은 참으로 크다. 하지만 근년에 이르러 한국인의 중국에 대한 호감도가 아주 낮다. 중국인의 한국에 대한 호감도도 마찬가지이다. 서로 싫어하면 관심을 가지지 않으며, 관심이 없으면 무지와 오해를 낳는다. 양국은 순망치 한의 관계임을 부정할 수 없으므로 서로를 이해하는 일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필자는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황제 중심의 중국 역사를 소개하는 일에 매진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