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62464535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21-11-01
책 소개
목차
서론 – 정보 비판의 전제
1장. 『삼국사기』 ‘정보’ 비판을 위한 제언
1. 논의의 발단과 전제
2. 사료 비판의 문제적 시각
3. 동사 ‘거느리다’의 표기 분포
4. 주요 표기의 빈도와 경향
5. 정보 가치 판별의 준거
2장. 『삼국유사』 ‘정보’ 비판을 위한 제언
1. 정보의 사료적 자질 문제
2. 오인(誤認·引)과 오각의 분별
3. 정보 서술의 유기적 맥락
4. 파편 정보의 역사성 회복
1편 – 고대사 정보의 이해 방식
1장. 고구려 멸망론의 설화적 파생
1. 고구려 멸망의 역사성
2. 羊皿의 개소문 환생담
3. 楸南의 김유신 환생담
4. 평양 만월성의 망국담
5. 普德의 이암과 망국담
6. 멸망론 설화의 일상성
2장, 백제 멸망론의 설화적 파생
1. 고대적 설명의 보편성
2. 반월과 만월의 상징 해석
3. 원혼의 환생과 설분의 논리
4. 권위의 이탈과 기억의 왜곡
5. 신성성의 파탄과 세속화
3장. 고대의 익산에 대한 후대의 인식
1. 익산의 역사적 경험
2. 마한과 정통의 맥락
3. 백제와 일통의 맥락
4. 기억과 설명의 파생
4장. 한국 고대 혼인의 사회사적 함의
1. 논의 범주와 전제
2. 고대 혼인의 속성
3. 혼인 규범의 양상
4. 사회 경제적 맥락
5장. 한국 고대사회 물의 문화적 맥락
1. 고대의 사유와 물
2. 물의 관리와 이용
3. 물의 상징과 의례
4. 치자의 권능과 물
2편 – 문헌 자료의 형성과 성격
1장. 『삼국유사』 ‘후백제견훤’조의 자료 분석
1. 문제의 소재
2. 자료의 계통과 범위
3. 「三國史本傳」과 「古記」
4. 찬자의 인식과 의도
2장. 『삼국유사』 기이편의 자료 수용 방식
1. 기이편의 설정 의의
2. 자료의 인용 방식
3. 자료의 활용 방식
4. 기이편의 서술 맥락
3장. 『삼국유사』의 사서적 성격
1. 本史와 遺事
2. 자료의 수용
3. 활용의 맥락
4. 편찬의 주체
5. 사서적 위상
4장. 『삼국유사』 편찬의 유기성 문제
1. 검토의 시각
2. 지시와 호응
3. 분재의 맥락
4. 논증의 기준
5. 오류의 적용
참고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