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백제 아포칼립스 2

백제 아포칼립스 2

(주류성 및 탄현은 어디인가?)

서동인 (지은이)
주류성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0원
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백제 아포칼립스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백제 아포칼립스 2 (주류성 및 탄현은 어디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백제
· ISBN : 9788962465174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23-12-18

책 소개

저자는 향찰과 지명, 그리고 고대 기록을 바탕으로 주류성이 지금의 충남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과 전동면에 있는 운주산성임을 상세하게 밝혔다. 백제 침략 당시, 신라 군대의 진군로인 백제 탄현(炭峴)과 침현(沈峴) 및 3로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목차

Ⅰ부, 주류성은 어디인가?
1. 충남 지방 백제 지명(地名)에 숨겨진 비밀 코드
- 당군의 첫 도착지 ‘소정방섬’ 소야도(蘇爺島)
- 나당군이 7월 12일 중에 격파한 부여 파진산의 백제 수비군
- ‘승적(勝敵)’이란 지명에 스며 있는 백제인들의 항전 흔적들
- 당군의 첫 백제 상륙지, 당진 자래현(子來縣)

2. 탄현은 어디인가?
- 탄현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들
- 침현과 탄현 같은 지명인가, 다른 이름인가?
- 『고려사』·『삼국유사』가 전하는 탄현과 탄령
- 조선의 지리서들이 기록한 탄현은 실체가 없다!
- 조선의 기록대로면 진안 주천면 싸리재가 탄현일 수 있어
- 금산 남이면의 ‘백령치’는 탄현일 수 없어
- 운주 쑥고개 탄현 설의 또 다른 문제점들
- 쑥고개의 한자명은 애현(艾峴), 숯고개는 탄현
- 탄현은 진산 교촌리 숯고개, 침현은 진산 막현리 고개

3. 주류성의 실체와 의미 그리고 그 위치에 대하여
- ‘周留城’의 백제 향찰 및 한자 의미 서로 달라
- 周留城은 백제 향찰 ‘두루기’, 豆率城은 신라 향찰 두루성(두루기)

4. 전씨아미타불비상과 삼존천불비상
- 주류성의 백제 유민들 불상을 봉헌하다
1)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2) 계유명삼존천불비상(癸酉銘三尊千佛碑像)

5. 구마노리성과 여자진(余自進)의 부흥 운동
- 익산 금마면 동고도리의 성이 구마노리성일 것
- 대관사 괴변 기사는 김춘추의 죽음과 관련 있어

6. 두량윤성(豆良尹城)은 어디인가?
- 두량윤성에 대한 몇몇 연구자들의 견해
- 두량윤성은 어디에 있었나?
- 고사비성 및 두량윤성 전투에서 백제군의 승리
- 두릉이성의 ‘두릉이’는 백제어 ‘두렝이’의 향찰표기
- 두릉윤성과 두량윤성의 윤성(尹城)은 무엇인가?

7. 고사비성은 어디인가?
- 고사비성은 백제 소비포현의 현성(縣城)이었을 것
- 좌평 정무(正武)의 부흥 운동과 두시원악

8. 전의 주류성은 부흥 백제의 왕성, 북부의 중심은 목천
- 주류성에 대한 여러 기록
- 서부 임존성과 북부 주류성은 북방성 관할 지역
- 백제 온조왕의 십신과 천안 전 씨 설화
- 백제 멸망 후 천안 전 씨들 함경도 단천으로 사민된 듯

9. 주류성은 어디인가?
- 주류성에 관한 제설(諸說)의 문제점들
- 그렇다면 주류성은 어디인가?

10. 피성(避城)은 어디인가?

Ⅱ부. 백제 멸망기 인물 열전
1. 사비도성 함락과 함께 일어선 부흥 운동 지도자들
1) 부여풍(扶餘豊)
2) 부여용(扶餘勇)
3) 흑치상지(黑齒常之)
4) 사타상여(沙吒相如)
5) 복신(福信)
6) 도침(道琛)
7) 여자진(餘自進)
8) 규해(糺解)
9) 정무(正武)

2. 부여풍은 언제 부흥 백제국의 왕이 되었나?
- 소정방의 철군 직후~1차 사비성 공격 이전에 왕에 추대돼
- 백제 부흥군, 663년 7월에도 사비성 공격한 듯
- 백제 부흥군, 1차 사비성 공격 때 두 차례나 공성전 벌여
- 부여풍 국왕 추대 관련 『일본서기』 기록 믿을 수 없어

3. 천안 병천 전투에서 전사한 신라 화랑 기파랑(耆婆郞)과 은석사 설화
4. 웅진방령 예 씨 일가의 배신과 의자왕의 항복
- 웅진방령 예군, 웅진성 대장(방좌) 예식진의 배신
- 예군·예식진-예소사-예인수 묘지명 내용 대략 같아
- 수 왕조 말에 예군·예식진의 아비 예선이 백제로 망명
- 백제 멸망 후 예군은 ‘웅진도독부사마’, 예식진은 동명주자사 지내

5. 묘지명으로 보는 부여륭(扶餘隆)의 생애

6. 여러 기록으로 보는 흑치상지의 생애

7. 진법자 묘지명으로 본 백제의 관직

참고문헌

저자소개

서동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로 한국 고대사 관련 연구를 계속하고 있는 역사 연구가이자 작가인 저자는 “한국인은 과연 누구이며 그들의 역사는 어디서 시작되었는가?” 하는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고 한국과 중국의 고대사를 연구하고, 깊이 고민해 왔다. 저자는 특히 우리 민족의 형성 과정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친 흉노족과 선비족에 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는 가운데 지금까지 펴낸 연구서로서 아래와 같은 저서가 있다. 그는 역사뿐 아니라 우리의 고대 시가(詩歌)에도 주목해 왔다. 선조들의 시가 문학 또한 우리가 물려받은 위대한 유산이기에 ‘꽃을 주제로 한 선인들의 시’ 만을 선별, 시인들의 발자취와 생애・다양한 이야기를 모아 ‘위대한 시인들의 사랑과 꽃과 시’(4권)라는 이름으로 내놓게 되었다. 주요 저서 1. 『흉노인 김씨의 나라 가야』(2011) 2. 『신안 보물선의 마지막 대항해』(2014) 3. 『조선의 거짓말』-대마도, 그 진실은 무엇인가?(2015) 4. 『미완의 제국 가야』(2017) 5. 『영원한 제국 가야』(2017) 6. 『병자년 남한산성 항전일기』(번역서, 2018) 7. 한국 고대사의 비밀, 1360년 만에 풀었다-『百濟 APOCALYPSE 1』-백강과 기벌포는 어디인가?(2024) 8. 한국 고대사의 비밀, 1360년 만에 풀었다-『百濟 APOCALYPSE 2』-주류성, 탄현은 어디인가?(2024) 9. 위대한 시인들의 사랑과 꽃과 시(전 4권, 2025)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