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6260118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09-06-10
책 소개
목차
| 1부 | 비즈니스 시스템
01 프로젝트 관리 로버트 버트릭 9
02 가상협업 스튜어트 클레그, 앙투안 헤르멘스, 살바도르 포라스 24
03 첨단기술과 업무 절차의 통합 던린 듀워, 멜라니 엘리스 37
04 개인의 목표에 따라 경영하기 리처드 핸스콤브 49
05 진정한 종합품질 이마이 마사키 61
06 좋은 경영, 일시적으로 유행하는 경영, 나쁜 경영 방식 루시 켈러웨이 72
07 성공을 위한 기업 시스템 설계하기 레슬리 코소프 83
08 설비관리 키스 알렉산더 93
09 근무 개념 뒤집기 빌 젠슨 101
10 린 생산방식 다니엘 존스 112
11 모든 직원들이 헌신적으로 변화에 임하도록 하는 법 존 스마이스 122
12 E-서비스에 도전하라 크리스 보스 138
| 2부 | 정보기술 경영
13 기업정보 시스템 토머스 데이븐포트 151
14 조직 전반에 걸쳐 인터넷 시대의 사고방식 함양하기 존 니렌버그 162
15 현실과 가상전략의 통합 데이비드 스토퍼 173
16 비즈니스 웹 돈 탭스코트 184
17 B2B를 새로운 사업 표준으로 만들기 마이클 커닝햄 195
18 가상시장 제프리 레이포트 206
19 진가를 발휘하는 회사 홈페이지 만들기 게리 맥거번 222
20 당신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 블로그와 비즈니스 앤디 위블스 233
21 지적자본 토머스 스튜어트 245
관점 고객만족과 고객충성 달성하는 법 제프리 레이포트 256
저자소개
책속에서
성공적 제휴란 여러 기업들이 협력해 개별 기업 혼자서는 성취하기 힘든 경쟁력을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휴를 통해 기업들은 경쟁력을 높이고,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으며, 업계 표준을 주도해 한발 앞서나갈 수 있다. 개별 기업 혼자 거액의 투자에 뛰어들어야 하는 위험도 줄일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제휴 e-컬래버레이션은 기업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제휴의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다. - 27~28쪽 중에서
MIO(Managing by Individual Objectives)는 '미래를 이해하고 대비하며 장래에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관리자가 개인의 목표를 적극적으로 세운 뒤 적절한 시기에 갱신하는 일'로 정의된다. MIO로 얻는 이익이 개인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o관리자가 속한 조직의 발전에 기여한다 o개인 능력의 활용과 개발 o경력개발, 인정, 보상 o개인 생활이 개선될 때, 근무할 때, 자원봉사할 때, 은퇴할 때 삶의 방식이 개선된다 o시간관리 개선 - 50쪽 중에서
피터 드러커의 명저 《경영의 실제》는 1954년에 처음 출간되었는데 그의 통찰력, 사상, 이상은 지금까지도 널리 인정받고 있다. 드러커는 현재 선진 사례에서 이용하는 MIO의 기본 지침을 규정했다. o현재와 미래, 내부와 외부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관심을 둔다. o통합된 단일 전략을 통해 방향과 초점 대상을 설정한다. 그리고 목표와 자기 통제력을 관리하여 전략을 달성한다. 핵심 성과 영역에 초점을 두어 평가한다. o기업 내에서 수직, 수평, 사선으로 맡는 특별팀의 업무 o성과에 따라 보상한다. 초기에 최소 비용으로 중요한 성과를 이룬다. - 51~52쪽 중에서
JIT(Just in time) 생산방식은 도요타자동차의 오노 다이이치가 개발한 방식으로 일괄처리 생산방식과 정반대 원리로 진행된다. JIT 생산방식은 칸반, 포카-요크(실수방지장치), 지도카(자동화)와 같은 여러 실용적인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주요 생산방식 3가지는 다음과 같다. o택타임 대 사이클 타임(제품 하나의 생산 과정에 드는 이론적 시간 대 실제적 시간) o풀 생산방식 대 푸시 생산방식(다음 과정의 필요량만큼만 생산하는 방식 대 생산 가능량만큼 생산하는 방식) o생산 흐름 설정(설비 배치와 작업 순서에 따른 과정의 재조정) - 67~68쪽 중에서
린 생산방식(Lean Production System)이란 TPS(Toyota Production System, 도요타 생산시스템)를 좀 더 일반화한 개념이다. 린 사고 방식의 바탕을 이루는 원칙 5가지는 다음과 같다. ①소비자의 입장에서 제품가치를 구체적으로 정의한다. ②제품군별로 가치 흐름을 정의한다. ③가치 창출 단계를 연결하여 업무의 흐름을 구성한다. ④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한다. ⑤가치 창출에 관한 모든 생산 활동과 자원을 관리해 완벽을 추구한다. - 115쪽 중에서
오늘날 치열한 경쟁 환경은 기업들이 가상 클릭(Click: 인터넷 접속을 위해 마우스를 '클릭'하는 것에서 유래. 가상의 인터넷 사업을 의미-옮긴이)과 현실 브릭(Brick: 건물을 짓기 위해 필요한 '벽돌'에서 유래. 실제 현실의 사업을 의미-옮긴이)을 주도적으로 통합하도록 점증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내부적으로 기업은 실제의 현실 사업 단위가 가상의 사업 경로를 활성화하도록 해야 하는 반면에, 가상 사업 단위는 현실의 실물 사업 설비를 이용해 많은 사업 기회를 창출해야 한다. 외부적으로 고객은 가상과 실제 사업 채널을 통해 기업과 교류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채널을 바꾸더라도 어느 채널에서든 동일한 제품, 동일한 서비스를 동일한 가격으로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 173쪽 중에서
인터넷은 지식 공유, 협동, 업무 프로세스를 능률화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인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기업들은 나머지 다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그들의 핵심 역량과 파트너에 집중하거나, 외부 업체를 통한 아웃소싱에 초점을 맞춘다. 모든 업계마다 기업들이 모두 합쳐 하나의 팀을 이루는, 이른바 '비즈니스 웹' 방식은 기존 경쟁사들보다 더욱 융통성 있고 혁신적이며, 비용 효율적이고 수익성이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 184쪽 중에서
코스 법칙이란, 기업 내부의 추가 업무에 드는 비용이 개방시장에서 똑같은 업무를 수행할 때 드는 비용과 같아질 때까지 기업은 성장한다는 것이다. 회사 내부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비용이 덜 드는 한, 그 업무는 계속 회사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만일 시장에서 찾는 것이 비용을 더 절감할 수 있다면, 굳이 기업이 내부적으로 그 업무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 188~189쪽 중에서
모든 기업과 기업조직은 모두 3가지 형태의 지적자본을 소유하고 있다. 첫째, 인적자본은 개인과 집단의기술, 능력, 역량으로 구성된다. 이것들은 특수한 전문기술부터 팀 내에서 효율적으로 일하는 역량 또는 판매술과 같이 더 유연한 능력까지 망라한다. (중략) 둘째, 구조적 자본은 진정한 회사 재산인 지식 자산으로 구성되며 이는 특허, 지적재산권, 상표, 절차나 방법론, 서류, 지식 가공물, 컴퓨터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경영 시스템 등의 지적 자산을 말한다. (중략) 마지막으로 고객자본은 공급자, 협력업체, 그리고 고객들과의 관계가치를 말한다. 이는 2가지 공통적 형태로서 브랜드 자산과 고객충성도를 들 수 있다. - 250~252쪽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