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창의적사고/두뇌계발
· ISBN : 9788962603200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2-01-06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새로운 생각을 촉발시키는 책
추천사 창의력 독도법이다
머리말 창의력은 길러질 수 있다
Chapter 01 생각하는 틀의 변화
01 3차원으로 세상 보기
창의력, 타고나는 것일까? 만들어지는 것일까?
창의 팔지, 3차원으로 생각하라
뇌세포 회로가 만드는 창의성
20년 후를 보고 미래를 설계하라
시공을 벗어난 입체적 사고가 필요하다
Chapter 02 1차원 창의력
01 시간 여행, 과거-현재-미래의 벽을 허물어라
창의력, 당신의 사고에 새로운 길을 뚫어라
창의력 개발법이 존재하는가
꿈을 현실로, 넥슨의 창업 이야기
시간에 구속된 나를 해방시켜라
지금 현재에서 벗어나기, 명함을 버려라
02 공간 여행, 국경을 넘어서는 생각의 틀을 가져라
싸이월드와 페이스북, 승패의 원인을 분석하라
세계화된 생각으로 제품을 만들어라
새로운 지형, 새로운 문화, 새로운 아이디어
우물 안에서 벗어나야 창의성이 꽃핀다
국경을 낮춰 국가 경쟁력을 높여라
03 분야 여행, 분야를 융합하면 새로운 세계가 열린다
현대카드의 성공 비결, 분야의 장벽을 깨다
바이오및뇌공학과, 분야 융합의 지평을 열다
지식재산ㆍ과학저널리즘, 융합으로 연 새로운 지식의 장
통합이 이뤄낸 기적, 백전백승의 명장 이순신
개방, 포용, 융합, 통합으로 분야 축을 이동하라
Chapter 03 2차원 창의력
01 시간-공간 여행, 공간을 초월해 긴 안목으로 바라보라
인텔과 삼성의 선택, 시간-공간의 평면에서 미래를 보라
동양은 왜 서양에 뒤처졌는가
일본은 왜 먼저 선진국이 되었는가
시간-공간 평면, 공간을 초월해 미래를 바라보라
02 시간-분야 여행, 멀리 보고 넓게 생각하라
변화를 간과하는 1등의 함정 ‘자만’
IBM의 변신, 분야를 흡수해 시간에 대응하다
시간-분야 평면, ‘지금’ ‘이곳’을 떨쳐내라
투피스 음료수 캔, 분야의 융합이 일궈낸 승리
03 공간-분야 여행, 융합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다
공간과 분야를 초월한 스티브 잡스의 통합적 사고
K팝의 세계화, 세계를 분석하고 오감을 충족시켜라
편견이 만든 사회적 단절을 깨뜨려라
휴대폰에서 배우는 무선통신의 원리, 교육의 틀을 바꿔라
Chapter 04 3차원 창의력
01 시간-공간-분야 여행, 새로운 생각의 틀을 개척하라
새로운 생각의 틀로 보는 3차원 아이디어 세계
미래 스마트폰 상상하기, 문화ㆍ소재ㆍ기능을 다양화하라
미래 산업 상상하기,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라
미래 트렌드 읽기, 시간ㆍ공간ㆍ분야의 벽을 꿰뚫어라
Chapter 05 뇌 속에 창의력 습관 만들기
01 창의력은 습관이다
새로운 길을 닦듯 창의력을 만들어라
통합이 이뤄낸 나노의 기적, 반도체 칩 회로
묻고 또 묻고 답하라, 질문 속에 길러지는 창의력
02 뇌세포가 만드는 창의력
머릿속의 전기회로, 뇌 신경세포
반복적인 자극으로 잠자는 뇌를 깨워라
습관과 자질도 바꾸는 뇌 신경회로의 위력
나는 나를 바꿀 수 있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창의력은 타고난 것이라고 생각하고 포기하는 사람이 많다. 주어진 문제를 시간, 공간, 분야의 3차원 축으로 이동시키며 생각하면 창의적인 생각이 많이 떠올라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미래를 보며 다양한 지역을 살펴 여러 분야를 통합하면 새로운 것이 나온다. 분명히 말하지만, 창의력은 조금만 노력하면 충분히 기를 수 있다. 생각의 틀이 바뀌면 세상이 바뀐다. 창의력의 세계로 한 발 디뎌 보자.
주어진 문제를 내비게이션 따라가듯 시간, 공간, 분야의 축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질문을 해본다. 이 질문에 답을 하다 보면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질문은 새로운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자극제다.
“현대카드의 성공 비밀은 다른 ‘분야’에서 배우는 자세에 있습니다. 누구나 익숙한 것에서는 새로운 것이 잘 안 보입니다. 뭔가 바뀌면 그에 따라 새로운 것이 보이고, 새로운 생각을 하기 쉽습니다. 현대카드 임원들도 전혀 다른 회사를 보면서 배운 것입니다. 이 세상에 완전히 새로운 것은 없습니다. 기존의 것을 다양한 방식으로 융합하면 새로운 창조가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른 것을 자주 봐야 합니다. 나의 업무, 나의 전공, 나의 회사를 떠나서 다른 분야를 들여다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