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56221364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6-01-01
책 소개
목차
Medical-bio - 분야책임자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융합기술 분야 - 김도현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생명기술 분야 - 이재원 (KAIST 경영공학과 조교수)
사회의료 분야 - 장호종 (KAIST IT융합연구소 연구조교수)
Energy-environment - 분야책임자 임춘택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부교수)
자원관리 분야 - 이도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부교수)
미래원자력 분야 - 임만성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
Safety - 분야책임자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정보보안 분야 - 김광조 (KAIST 전산학부 교수)
사회안전 분야 - 윤완철 (KAIST 지식서비스공학과 교수)
소방방재 분야 - 전치형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조교수)
Intellectual Service - 분야책임자 김원준 (KAIST 기술경영학과 부교수)
공공 분야 - 김지희 (KAIST 기술경영학과 조교수)
금융/투자 분야 - 박선영 (KAIST 산업및시스템공학과 조교수)
문화기술 분야 - 우운택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모바일/SW 분야 - 이의진 (KAIST 지식서비스공학과 부교수)
Aerospace - 분야책임자 임춘택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부교수)
항공우주산업 분야 - 안재명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부교수)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한민국에 적용할 MESIA 산업전략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세계 시장에서는 아직 추격자 전략으로 개척할 수 있는 산업분야가 많다. 우리나라가 아직 세계적인 선두에 서 있지 못하는 산업이 많다. 이러한 분야는 선진국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이 많이 있다. 즉, 추격자 전략이 효과적인 분야다. 여기서 제안하는 MESIA는 우리가 잘하지 못하여, 아직 추격자 전략이 유효한 분야다.
둘째, 현재 선진국이 주도하고 있는 MESIA 산업을 우리나라가 따라잡을 수 있는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있을 수 있다. 우리는 추격자 전략에서는 성공스토리가 많다. 이러한 성공스토리를 바탕으로 자신감을 가지고 도전하면 선진국을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우리에게는 IT 기술 등의 인프라가 있기 때문에, 과거 추격자 시절보다 더 유리한 위치다.
셋째, 주력산업은 중국과 경쟁하고 있고, MESIA 산업은 선진국과 경쟁하는 상황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산업의 역사를 보면 중국과 싸우는 것보다 선진국과 싸우는 것이 더 유리하다. 우리의 주특기는 생산기술의 효율화를 통한 가격 경쟁력이다. 그런데 이제 중국이 이를 활용하고 있다. 우리의 “이빨”은 아직 선진국에게는 아픔이 될 수 있다.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미래전략연구센터는 대한민국 투트랙 산업전략 중에서 MESIA 육성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MESIA 미래전략연구를 기획하였다. ‘MESIA 미래전략’은 8년째 1인당 국민소득 2만불 대에 머물며 성장의 한계(limits to growth)에 도달한 우리나라 산업의 근본적인 대안으로서, 20년 이상 일관되고 꾸준하게 추진해야 할 5대 전략산업 육성방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