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북전통문화론

전북전통문화론

곽장근, 이태영, 송화섭, 김일권, 류장영 (지은이)
글누림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570원
18,4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북전통문화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북전통문화론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88963270333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9-06-30

목차

Chapter 1
한국의 고인돌문화와 고창 고인돌___19
1. 고인돌문화의 재인식··19
2. 한국 고인돌의 유형과 분포··20
3. 강해문화(江海文化)의 특성을 보여주는 고인돌··23
4. 고인돌의 구조··25
5. 고인돌 덮개돌의 상징··29
6. 고인돌의 기능··32
7. 고인돌 형태와 새로운 명칭 검토··34
8. 고인돌의 부장품과 그 연대··38
9. 고인돌은 언제부터 만들어졌는가··40
10. 고인돌과 암각화··41
11. 고인돌은 해양문화의 산물··43

Chapter 2
전주음식의 DNA와 진화___47
1. 전주음식의 역사적 흐름··47
2. 전주음식의 발상지는 교동과 남문 밖 시장··53
3. 음식의 외식화와 장시문화··57
4. 전주의 특산물은 콩과 콩나물··61
5. 전주음식문화의 형성 배경··66
6. 전주의 대표적인 브랜드음식··74
7. 전주음식문화의 진화··85

Chapter 3
순창의 성황신앙과 민속___89
1. 순창 성황대신사적기의 가치··89
2. 고려시대 성황신앙의 이해··90
3. 순창의 성황신앙··94
4. 순창의 성황신과 민속··105
5. 순창읍 석인상은 성황신상··113

Chapter 4
지리산의 노고단과 성모천왕___115
1. 왜 지리산인가··115
2. 통일신라시대 남원과 지리산··116
3. 지리산 산신, 노고와 성모··120
4. 지리산권에서 노고?성모 신앙의 역사와 유적··133
5. 지리산 노고단과 성모천왕의 원형적 모습··142
6. 한반도의 성산, 지리산··145

Chapter 5
<심청전> 인당수의 역사민속학적 고찰___147
1. <심청전>의 시대적 배경··147
2. <심청전> 인당수의 내용 분석··148
3. 역사 속의 인신공희와 인당수··152
4. 환황해권의 해상항로와 인당수··161
5. <심청전> 인당수와 인신공희의 해양문화적 성격··170
6. 변산반도의 해양민속과 심청의 관련성··174
7. 인당수는 부안 위도 해역에 위치··179

Chapter 6
마을숲의 역사와 상징___183
-수구막이숲을 중심으로
1. 마을숲의 역사··183
2. 마을숲의 연구사 검토··185
3. 마을숲 조성의 배경과 전개··188
4. 마을숲의 상징과 의미··195
5. 마을숲의 성격··201
6. 마을숲은 풍수비보문화··204

Chapter 7
김제 벽골제와 수리농경___207
1. 벽골제는 최대 규모의 간척사업··207
2. 마한 벽비리국과 벽골제··213
3. 김제 벽골제와 수리민속··217
4. 벽골제 단야설화와 쌍룡숭배··220
5. 줄다리기와 농경의례··226

Chapter 8
무주 지방의 디딜방아뱅이___235
1. 조선시대 최대의 적 전염병··235
2. 왜 디딜방아를 훔치는가··236
3. 부남면 유평리?대소리의 디딜방아뱅이··240
4. 산간지방의 액막이, 디딜방아뱅이··249
5. 디딜방아뱅이는 주술적인 치료행위··252

Chapter 9
전북 동부 산악지대의 가야와 가야문화___255
1. 전북 동부 산악지대의 가야고분··255
2. 남강 유역 가야의 발전과정과 그 성격··258
3. 금강 상류지역 가야의 발전과정과 그 성격··267
4. 섬진강 유역 백제와 가야의 역학관계··277
5. 운봉고원?진안고원의 가야고분에 관심을··287

Chapter 10
전라북도 완판본 한글고전소설___291
1. 완판본의 개념··291
2. 완판본 발달의 배경··292
3. 간기에 나오는 방위별 책(책방) 분포··303
4.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종류··306
5. 완판본 한글고전소설과 책방··312
6.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의 의의··316
7. 완판본은 한글 고대소설의 백미··322

Chapter 11
임실 소충사 28수 천문비 고찰___325
1. 구한말의 호남의병장 정재 이석용··325
2. 소충사 건립과 28수 천문비 검토··327
3. 28수와 천문사상··335
4. 28의사 조의단의 성립과 28수비 대응 문제··338
5. 소충사 28수 천문비의 역사적 의의··341

Chapter 12
전라북도의 소리문화___345
1. 전라북도의 자연환경과 문화권역 구분··345
2. 전라북도와 전통음악··347
3. 전라북도의 판소리··349
4. 전라북도의 산조··364
5. 전라북도의 농악··371
6. 전라북도의 민요··375
7. 전라북도의 무악··379

Chapter 13
전북지역의 통과의례와 관혼상제___383
1. 통과의례란 무엇인가··383
2. 전북지역의 관혼상제와 통과의례··386
3. 한국문화의 특질은 조상숭배··406

저자소개

곽장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나라 전통지리학의 지침서로 알려진 『산경표』에 담긴 문화권 및 생활권을 고고학 자료에 접목시켜 전북 고대문화의 역동성을 탐구하는데 몰두하고 있다. 전북 동부 산악지대에 지역적인 기반을 두고 가야 소국으로까지 번창했던 운봉 고원 기문국과 진안고원 반파국의 정체성, 후삼국 맹주 후백제의 탁월성, 새만금 해양문화의 국제성을 알리는데 온 힘을 다하고 있다. 군산대학교 역사철학부 역사전공 교수로 있으면서 가야문화연구소장, 전라북도 문화재위원회·세계유산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문화재청 문화재위원과 호남고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호남 동부지역 석곽묘 연구』 『장수군의 교통문화』 『호남의 문화유산 그 보존과 활용』(공저) 『대가야와 섬진강』(공저) 『전북전통문화론』(공저) 『백제와 섬진강』(공저) 『새만금도시 군산의 역사와 삶』(공저) 『전남지역 마한과 백제』(공저) 『진안 도통리 청자』(공저) 『후백제와 전주』(공저) 『고고학으로 본 임실』(공저) 『대외관계로 본 후백제』(공저) 『전북의 해양문화』 『백제 웅진기 영역과 지방통치』(공저) 『전북에서 만난 가야』(공저) 『봉수왕국 전북가야』 『동북아 문물교류 허브 전북』 『장수군 가야문화유산』 『전북 고대문화 역동성』 등이 있다.
펼치기
이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남.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라북도 문화재 위원. 전주완판본문화관 운영위원.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 자료수집관리위원회 위원. 전북대학교 박물관장 역임. 전주역사박물관 운영위원 역임. 전주시 기록물관리위원회 위원 역임.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위원 역임. 한국어지식대사전 편찬위원 역임. 국립한글박물관 개관준비위원 역임. 겨레말큰사전 편찬위원 역임. 국어문학회·한국언어문학회 회장 역임. 국어사학회 회장 역임.
펼치기
송화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주대학교 글로컬창의학과 교수. 본래는 대학에서 한국고대사를 전공하였다. 마한의 소도를 연구하면서 위로는 청동기시대 암각화 연구에 발을 들여놓았고, 아래로는 짐대 연구까지 섭렵하는 역사민속연구의 새로운 매력에 깊이 심취해 있다. 현재 전라북도 문화재 위원이며 한국역사민속학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한국문화와 역사민속>, <전라문화 바로보기>, <백제의 민속>, <한국전통문화론>(공저), <용. 그 신화와 문화>(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일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자연대학 생물학과 졸업하고 동 인문대학 종교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1999)를 받았으며, 고구려연구재단·동북아역사재단을 거쳐,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고, 한국도교문화학회장, 서울민속학회장을 역임하였다. 연구분야는 고구려 별자리 연구를 시작으로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을 융합한 역사천문학 분야를 개척하였고, 한국문화사·민속학, 종교·사상사, 역사천문·기상학, 전통식물·음식·생태학, 물산지리·살림·생활사 등에 관한 30여 편의 저역서와 1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면서, 천문·지문·인문의 삼문(三文) 통합적 관심 위에, 전통시대 “하늘과 자연과 삶의 자연학 연구실”을 학문의 줄기로 삼아, 우리 역사에서 전개된 ‘자연학’(naturology)의 갈래와 면모를 재구성하려는 목표로 매진 중이다.
펼치기
류장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도립국악관현악단장, 전북대학교 한국음악학과 겸임교수. 국악연구가.작곡가.지휘자로 활동 중이며, 도립국악원 학예연구실장 재직 시부터 많은 향토예술을 수집.정리.연구해왔다. 미래의 전통음악을 위해 지역 정체성을 살린 창작음악 발굴에 힘쓰고 있으며,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예술의 올바른 이론정립과 음악연구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한국의 농악-호남편>(공저), <전북의 민요마을>(공저), <전북의 판소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