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63300993
· 쪽수 : 429쪽
· 출판일 : 2010-03-25
목차
제1부 이론 및 경험적 토대
01 기능적 수행과 역기능적 수행의 이해-인간수행의 통합모형
수행 전 단계 | 수행 단계 | 수행 후 반응 단계 |
수용기반 접근법의 기초 | 시사점 | 결 론
02 변화에서 수용으로-수행 향상을 위한 MAC 접근법
전통적 심리기술훈련 기법의 효능 | 새로운 개입법을 향해 |
마음챙김-수용-전념 접근법| MAC 절차에 대한 연구 | 결 론
03 MAC를 위한 기획
내담자 개념화 | 사례구성 | 수행문제의 분류 | 결 론
제2부 수행 향상을 위한 MAC 접근법의 전략과 기법
04 [MAC 모듈 1] 심리교육으로 내담자 준비시키기
소 개 | MAC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 제시 |
이론적 근거를 내담자의 개인적 수행경험과 연결시키기 |
엘리트 수행의 자동적 자기조절에 대한 설명 |
MAC 훈련 프로그램의 구체적 목표 정의 |
[짧은 집중연습] 소개 | 모듈 1에서 나타나는 공통 문제 |
모듈 1에서 수행장애 범주의 내담자와 작업할 때의 고려사항
05 [MAC 모듈 2] 마음챙김과 인지적 탈융합
[짧은 집중연습] | [학습내용기록지]에 대한 논의 |
이전 세션에 관한 불확실한 점 또는 질문을 점검하고 반응하기 |
마음챙김의 논리적 근거와 중요성 |
세션 사이의 연습에 대한 논의: [학습내용 기록지], [짧은 집중연습], [마음챙김 접시닦기 실습] |
세션 개관하기 | [짧은 집중연습] |
모듈 2에서 나타나는 공통 문제: 마음챙김과 인지적 탈융합 소개 |
모듈 2에서 수행장애 범주의 내담자와 작업할 때의 고려사항
06 [MAC 모듈 3] 가치 선정 및 가치 주도적 행동의 소개
[짧은 집중연습] | [학습내용기록지]에 대한 논의 |
이전 세션에 관한 불확실한 점 또는 질문을 점검하고 반응하기 |
가치 탐색 및 가치 주도적 대 정서 주도적 행동에 대한 논의 |
추가적인 마음챙김 실습: 수행장면 마음챙김 실습 |
세션 사이의 연습에 대한 논의: [학습내용기록지], [수행가치기록지], [정서굴복기록지] 및 마음챙김 실습 |
마음챙김 호흡 실습 소개 | 모듈 3에서 나타나는 공통 문제: 가치와 정서 |
모듈 3에서 수행장애 범주의 내담자와 작업할 때의 고려사항
07 [MAC 모듈 4] 수용의 도입
세션 내의 마음챙김 연습 |
[학습내용기록지]에 대한 논의, 이전 세션에 대한 의문과
불확실성의 점검, 수행장면 마음챙김 실습에 대한 반응 논의 |
[수행가치기록지]와 [정서굴복기록지] 검토 및 외현적?내현적 회피전략에 대한 토의 |
회피의 대안으로써 체험 수용과 가치 주도적 전념 행동 및 의지의 연관성 |
수행장면 마음챙김 실습의 확장 | [짧은 집중연습] |
모듈 4에서 나타나는 공통 문제 |
모듈 4에서 수행장애 범주의 내담자와 작업할 때의 고려사항
08 [MAC 모듈 5] 전념 향상
세션 내의 마음챙김 연습 | 이전 세션에 대한 검토 |
전념 향상: 가치, 목표, 행동의 연결 | 수행장면 마음챙김 과제 부여와 검토 |
세션 검토 및 [짧은 집중연습] | 모듈 5에서 나타나는 공통 문제 |
모듈 5에서 수행장애 범주의 내담자와 작업할 때의 고려사항
09 [MAC 모듈 6] 기술 굳히기와 평정심-마음챙김, 수용, 전념의 통합
세션 내의 마음챙김 연습 | 이전 세션에 대한 검토 |
종합: 노출기반 활동을 통한 평정심 향상 |
수행장면 마음챙김 실습과 과제 초점적 주의 실습의 검토 및 과제 부여 |
[짧은 집중연습]과 세션 사이의 기록지 검토 |
모듈 6에서 나타나는 공통 문제 |
모듈 6에서 수행장애 범주의 내담자와 작업할 때의 고려사항
10 [MAC 모듈 7] 마음챙김, 수용, 전념의 유지와 향상
이전 세션과 전반적 MAC 프로그램에 대한 개관 |
[짧은 집중연습] | 과제 초점적 주의 실습 |
현재의 체험 수용과 의지, 가치에 대한 전념 수준의 개관 |
향후 수련을 위한 계획: 자기반영과 자기교정 |
모듈 7에서 나타나는 공통 문제 |
모듈 7에서 수행장애 범주의 내담자와 작업할 때의 고려사항 |
MAC 프로그램 결론
제3부 사례연구
11 [사례연구 1] 수행장애-카일라 사례
어려움 제기 | 과거사와 행동관찰 | 심리평가를 위한 검사 실시 |
최초 사례구성 | 포괄적인 사례 묘사 | 개입계획과 처치과정 |
세션 1: 심리교육 | 세션 2: 마음챙김과 인지적 탈융합 |
세션 3: 가치 선정과 가치 주도적 행동의 소개 |
세션 4: 통제의 대안으로써 수용의 소개 |
세션 5: 통제의 대안으로써 수용의 소개(계속) |
세션 6: 전념 향상 | 세션 7: 기술 굳히기와 평정심 - 마음챙김, 수용, 전념의 통합 |
세션 8: 마음챙김, 수용, 전념의 유지와 향상
12 [사례연구 2] 수행발달>-다니엘 사례
어려움 제기 | 과거사와 행동관찰 | 심리평가를 위한 검사 실시 |
최초 사례구성 | 포괄적인 사례 묘사 | 개입계획과 처치과정 |
세션 1: 심리교육 | 세션 2: 마음챙김과 인지적 탈융합 |
세션 3: 가치 선정과 가치 주도적 행동 | 세션 4: 통제의 대안으로써 수용의 소개 |
세션 5: 전념 향상 | 세션 6: 기술 굳히기와 평정심 - 마음챙김, 수용, 전념의 통합 |
세션 7: 마음챙김, 수용, 전념의 유지와 향상
13 [사례연구 3] MAC의 집단 적용에서 고려할 점
집단 소개 | MAC 집단 작업의 공통적 문제 |
참가자의 주간 진행 상황과 연습에 대한 개관 |
모듈을 연장할 시기의 선택 |
세션 내에서 모든 참가자가 적절한 마음챙김 연습을 하도록 하기 |
집단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MAC 프로그램에 통합하기 |
팀 가치와 개인 가치의 충돌 | 빠진 세션 다루기 |
수행발달 및 수행장애 참가자가 모두 있는 집단 | 최종 집단 요약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