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88963476124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4-11-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테글 1 고대 무기체계 및 군사조직의 연구 방법론
테글 2 한반도지역의 군사·지리적 환경의 이해
제1장 한반도 철기문화의 출현과 전개
테글 3 한반도지역 철기문화의 형성기를 둘러싼 제문제 그리고 한국식 철기문화의 이해
테글 4 한반도 북부지역의 초기철기문화(B.C. 4~2세기경)
테글 5 한반도 서남부지역의 초기철기문화(B.C. 3~2세기경)
테글 6 한반도 동남부지역의 초기철기문화(B.C. 2세기중후엽)
테글 7 한국식 세형동검 문화에서 한국식 철기문화(단조철기 중심)로 전환
테글 8 한반도 동남부지역의 철 생산과 유통
1. 머리말
2. 한반도 동남부지역 철기문화의 출현과 전개
테글 9 경산 양지리유적으로 본 한반도 동남부지역에서 철기의 출현과 전개
3. 한반도 동남부지역 철기문화의 특성과 계통
4. 소결
제2장 한반도 동남부지역 철제 무기·무구·마구의 변천
1. 머리말
2. 공격용 무기의 전개 양상
테글 10 화살촉과 갑옷의 상관 관계로 본 무기체계
3. 방어용 무기의 전개 양상
4. 기승용 무기의 전개 양상
제3장 한반도 신라 및 가야의 무기체계 그리고 고구려, 백제 무기의 특성
1. 머리말
2. 초기철기시대~원삼국시대 한반도 동남부지역 진·변한 小國의 무기체계
테글 11 원삼국시대 유력 수장묘의 등장(1세기후엽~2세기전엽, 경주 사라리130호)
테글 12 원삼국시대 후기이후 군사조직이 장창병 중심으로 운용
테글 13 원삼국시대 신라의 동해안 북쪽 주요 군사적 거점지역
3. 삼국시대 한반도 동남부지역 신라와 가야의 무기체계
테글 14 경주 황남대총남분 무기로 본 신라의 주요 무기
테글 15 경주 계림로14호분 무기로 본 신라의 주요 무기
4. 한반도 북부지역 고구려의 무기체계
테글 16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의 무기체계 및 군사조직
테글 17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의 전사
테글 18 유적으로 본 고구려의 방어체계
테글 19 고구려 우산하고분군(集安禹山下古墳群) 태왕릉 출토 무기류
5. 한반도 서남부지역 마한·백제의 무기체계
제4장 동아시아 한반도 주변 국가의 무기체계
1. 머리말
2. 중국 삼연(前燕)의 무기체계
테글 20 북방 기마민족 흉노의 화살
테글 21 중국 삼연(前燕) 문화의 특성
테글 22 중국 삼연(前燕) 무기체계의 특성
3. 일본열도 왜의 무기체계
테글 23 일본열도 왜(倭) 古墳時代前期(4세기후엽~5세기전엽)의 무기체계
테글 24 일본열도 왜(倭) 古墳時代中期(5세기)의 무기체계
4. 동아시아 무기체계의 특성
제5장 의장 무기로 본 신라와 가야
1. 머리말
2. 궐수형철기로 본 원삼국시대 정치체의 상호작용
테글 25 신라 초기의 의장무기 궐수형철모 다수부장
3. 삼국시대 장식대도의 특성과 지역성
테글 26 신라 장식대도의 출현과 변천
테글 27 신라 장식대도의 특성과 성행
테글 28 백제 장식대도의 특성과 성행
테글 29 가야(대가야) 장식대도의 특성과 성행
테글 30 백제권역 영산강유역 장식대도의 특성
4. 신라와 가야의 의장 무기의 특성
제6장 의장 무기로 본 신라와 가야의 세력 확산
1. 머리말
2. 신라의 의장 무기와 세력 확산
테글 31 신라 북서쪽 영남내륙의 군사적 방어 거점지역 의장 무기(경산지역)
테글 32 신라 북서쪽에 대가야와 백제의 경계지역에 위치한 군사지역의 의장 무기(성주지역)
테글 33 신라 북서쪽 영남내륙의 군사적 거점지역(의성지역)
테글 34 신라 남서쪽에 대가야의 경계지역에 위치한 군사적 거점지역의 의장 무기(창녕지역)
테글 35 신라 남쪽 남해안에 위치한 군사적 거점지역의 의장 무기(부산지역)
3. 의장 무기로 본 대가야의 세력 확산
4. 소결
제7장 맺음말
참고문헌
사진제공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