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3571416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13-02-20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경제지리학의 새로운 전개/ 이 책을 읽기에 앞서
서장 오늘날의 세계는 세계화의 과정에 있는가?
1. 세계(global)의 이미지, 지역(local)의 이미지/ 2. 시애틀 WTO 각료회의/ 3. 세계화에 대한 대립축은 어디에
1장 경제학이 망각해버린 공간
1. 우리가 살아가는 무대, 공간/ 2. ‘공간’이란 무엇인가?/ 3. 경제와 사회에 공간을 적용하기/ 4. 경제지리학을 공부해야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2장 공간의 확대와 공간의 거리 및 위치의 경제와 사회로의 포섭
Ⅰ. 공간의 확대-절대공간
1. 무한히 연속되는 균질하고 등방적인 공간의 확대/ 2. 공간의 경계짓기 작용에 의하여, 내부가 균질화된 ‘영역’이 성립한다/
3. 경계적 속성의 조작, 영역의 중층성 및 이로 인해 유발되는 변동과 모순
Ⅱ. 공간의 위치와 거리-상대공간
4. 시장 및 위치의 특정성, 거리에 의한 시장주체의 격리/ 5. 공간을 소멸시켜 연관짓기/ 6. 공간통합에서 잔존하는 거리와 위치가 경제와 사회에 가져오는 변동과 모순
3장 글로벌 공간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1. 세계체제의 성립과 발전/ 2. 근대 국민국가 체제의 특징/ 3. 세계화와 국민국가 체제
4장 네트워크에 의한 공간의 통합
1. 결절공간에서 균질공간으로/ 2. 허브 앤 스포크 시스템/ 3. 인터넷이 창출한 공간의 이중성
5장 상관공간
1. 상관공간/ 2. 영역통합/ 3. 토지이용조정
6장 건조환경
1. 건조환경/ 2. 경제, 사회에 대한 건조환경의 포섭
7장 일본이라는 국토공간의 생산이 갖는 지리적 이데올로기
1. 메이지 시대에 국가는 국토 개발에 어떤 식으로 개입했었는가?/ 2. 하천, 철도, 항만사업에 대한 중점적 투자/
3. 지방이익론에서 2차대전기에 이루어진 계획까지/ 4. 전후부흥으로부터 포디즘적 공간편성으로/ 5. 장기계획과 공공투자
8장 산업집적의 형성을 통한 공간의 물리적 소멸의 시도
1. 분업과 인접성/ 2. 국제적 생산체계와 국지노동시장/ 3. 글로벌 시장경쟁과 집적이 가져오는 우위
9장 경제의 글로벌 영역통합과 ‘세계도시’를 둘러싼 경쟁
1. 제품주기 이론과 신 국제분업/ 2. 글로벌 경쟁에 편입된 도시의 ‘세계도시’ 지위를 노린 경쟁/ 3. 글로벌 경제에 뒤처진 최빈도상국
10장 세계도시의 빈곤, 차별, 도시사회운동
1. 세계도시의 공간편성에 각인된 역사/ 2. 19세기 산업자본주의와 도시의 빈곤지역 그리고 도시사회운동/ 3. 도시 공간에 대한 공간의 생산을 통한 공적 개입/ 4. 포디즘적 도시개발과 도시사회의 공간적 저항
11장 세계 스케일과 국지적 스케일의 문제를 아울러 생각해 보고, 행동에 옮겨 보자!
1. 세계 스케일에서 생각하고, 국지적 스케일에서 행동하자구요?/ 2. 연속성/ 3. 분단/ 4. 대안적인 공간의 편성을 위하여
용어해설/ 저자후기/ 역자후기/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