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신론과 무신론이 만나다

유신론과 무신론이 만나다

(21세기 새로운 무신론의 도전에 답하다)

필립 존슨, 존 마크 레이놀즈 (지은이), 홍병룡 (옮긴이)
복있는사람
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신론과 무신론이 만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신론과 무신론이 만나다 (21세기 새로운 무신론의 도전에 답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3600581
· 쪽수 : 156쪽
· 출판일 : 2011-10-04

책 소개

최근 도킨스를 비롯한 과학적 무신론자들의 거센 기독교 비판과 도전에 맞서 기독교의 진리로 답하며 대화를 시도하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과학으로 무장한 무신론자들의 주장에 대해 비판적인 논평을 가하지만, 무조건적인 반박으로 토론의 문을 닫아 버리기 보다는 오히려 그들의 주장을 검토해 과학적 무신론의 한계를 드러내며 기독교의 가치를 입증한다. 미국 복음주의의 대표적 지성인이자 ‘지적 설계론’의 주창자인 필립 존슨과 바이올라 대학교 철학교수 존 마크 레이놀즈가 신앙과 과학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하는 이 책은, ‘21세기의 강

목차

머리말

1장 새로운 무신론자란 누구인가
2장 하버드에서 무산된 필수과목, ‘이성과 신앙’
3장 특별한 행성으로서의 지구
4장 다윈주의 세계관
5장 물리학이 말하는 ‘하나님 가설’
6장 오래된 책의 걸림돌
7장 훌륭한 교육
8장 기독교와 아름다움

후기

저자소개

필립 존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카고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버클리의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법학 교수로 30년간 가르쳐왔다. 강연 활동을 활발히 하는 그는 『심판대의 다윈』(Darwin on Trial, 까치글방 역간), 『위기에 처한 이성』(Reason in the Balance, IVP 역간), 『다윈주의 허물기』(Defeating Darwinism by Opening Minds, IVP 역간), 『진리의 쐐기를 박다』(The Wedge of Truth, 좋은씨앗 역간), 『이의를 인정합니다』(Objections Sustained) 등의 책들과 두 권의 형법 교과서를 저술하기도 했다. 현재 미국 장로교회의 장로이기도 하다.
펼치기
존 마크 레이놀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로체스터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바이올라 대학교에서 철학과 부교수와 서양 고전 교육 프로그램인 Torrey Honors Institute의 소장으로 섬기고 있다. 고대 그리스 철학, 과학 철학 등을 강의하며 종교와 과학에 관한 주제로도 많은 글을 썼다. 저서로는 「창조와 진화에 대한 세 가지 견해」(공저, IVP), When Athens Met Jerusalem 등이 있다.
펼치기
홍병룡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와 캐나다 리젠트 칼리지, 기독교 학문연구소에서 공부했으며, IVP 대표 간사와 협동조합 아바서원의 대표를 역임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캐나다 리젠트 칼리지와 기독교학문연구소 및 호주 국립대학에서 수학했다. 대표적인 역서로는 『종교적 중립성의 신화』, 『G. K. 체스터턴의 정통』(아바서원), 『하나님의 말씀에 사로잡혀』(국제제자훈련원), 『완전한 진리』(복있는사람), 『소명』(IVP),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학들은 무신론을 옹호하는 입장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하고 앞으로 더욱 고려하게 될 것이다. 말하자면, 무신론자들이 기독교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만 견지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으로 자기 입장을 변호해야 할상황에 놓이게 될것이라는 뜻이다. 그렇게 되면 그리스도인들이 때로는 무신론을 회의하는 즐거움을 누리게 될 것이다. _‘1장 새로운 무신론자란 누구인가’ 중에서(33쪽)


“회의주의자들”은 과학적 유물론이라든가 초등학교에서 박사과정까지 불변의 진리로 배우는 오늘날의 과학 “신조”에 대해서는 회의를 품지 않는다. 사실상 오늘날 교육의 모든 단계에서 자연주의 세계관을 정통교리로 가르치는 것을 감안하면, 그리스도인들이야말로 회의론의 당연한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진정한 회의주의자라고 불러야 옳을 것이다. _‘4장 다윈주의 세계관’ 중에서(70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