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88968040726
· 쪽수 : 656쪽
· 출판일 : 2024-09-09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서문
1. 서론
잡지 광고에 대한 수사학적 분석
호머: 〈사절단이 아킬레스에게 호소하다〉
〈사절단이 아킬레스에게 호소하다〉에 대한 분석
고전 수사학에 대한 간략한 설명
수사학의 다섯 단계
세 종류의 설득용 담론
우리 시대에도 수사학은 적실하고 또 중요한가?
2. 논증의 발견 Discovery of Arguments
논지의 구성
설득의 세 가지 방식
이성에의 호소 | 윤리적 호소 | 감정적 호소
토픽
일반적인 토픽들 | 관계 | 환경 | 증언 | 특수한 토픽들
마누엘 빌스키, 맥크리어 해즐럿, 로버트 E. 스트리터, 그리고 리터드 M. 위버: 논증 찾기
속 | 결과 | 유사점과 차이점 | 증언과 권위
리처드 라슨: 수사학적 착상의 교육 계획
착상을 돕는 외부의 도우미들
읽을거리
레이첼 카슨: 〈인내할 의무〉
레이첼 카슨의 〈인내할 의무〉에 대한 토픽별 분석
소크라테스의 《변명》
소크라테스의 《변명》에 대한 토픽별 분석
캐서린 서전트 화이트의 사망 기사
캐서린 서전트 화이트의 사망 기사에 대한 토픽별 분석
제임스 매디슨: 〈연방주의자 논문 제 10호〉
마크 아신: 매디슨의 〈연방주의자 논문 제 10호〉의 논증
에드먼드 버크: 《각하에게 보내는 편지》
토마스 헨리 헉슬리: 〈과학과 문화〉
매튜 아놀드: 〈문학과 과학〉
3. 재료의 배열 Arrangement of Material
담론의 여러 부분
서론 | 사실의 진술 | 확증 | 논박 | 결론
배열에 대한 결론적인 진술
토마스 생턴: <올해의 행성>
토마스 생턴의 〈올해의 행성〉에 나타난 배열의 분석
마르틴 루터 킹: <버밍햄 감옥에서 보낸 편지>
<버밍햄 감옥에서 보낸 편지>의 배열에 대한 분석
헨리 데이비드 소로: 《시민 불복종》
4. 양식 Style
문법의 실력
어법의 선택
적합한 어휘
문장의 구성
양식 연구
어법의 종류 | 문장의 길이 | 문장의 종류 | 문장 패턴의 다양성 | 문장의 음조
문장의 표현 | 비유적 표현 | 단락짓기 | 양식 공부에 관한 어느 학생의 보고
비유적 표현
수법 478
단어의 수법 | 구성의 수법
전의
은유와 직유
비유적 표현에 대한 결론
수법들 | 전의
모방
모방의 가치에 관한 증언
롤로 월터 브라운 : 《프랑스 소년은 글 쓰는 법을 어떻게 배우는가》
모방 연습 | 문장 패턴의 모방
존 F. 케네디: 취임 연설
〈뉴요커〉의 편집진: 존 F. 케네디의 취임 연설
존 F. 케네디 취임 연설의 양식에 대한 분석
〈버밍햄 감옥에서 보낸 편지〉에 나타난 설득으로서의 양식에 대한 분석-리처드 펄커슨
5. 수사학 연습
과제의 순서
내러티브 | 논박 또는 확증 | 상투어 | 찬사 또는 비난 | 비교 | 묘사 | 논증 | 입법
6. 수사학 개관
고전 수사학
중세의 수사학
대륙의 수사학자들
16세기의 토착 영어 수사학
17세기 영국의 수사학
18세기 영국의 수사학
19세기와 20세기의 수사학
주요 개념 찾아보기
책속에서
수사학이란 한 사람이든 여럿이든 청중에게 정보를 주거나 청중을 설득하거나 동기유발을 위해 말 또는 글로 된 담론의 사용을 다루는 기술 내지는 학문이다. 이렇게 폭넓은 정의를 내리면 수사학은 사람들이 관여하는 온갖 언어 표현을 다 포괄하는 듯이 보일 것이다. 그러나 수사학자들은 관례상 그 영역에서 ‘가벼운 얘기’, 농담, 인사(“만나서 반가워”), 감탄사(“멋진 날일세!”), 뒷공론, 단순한 설명(“저 소형 계산기는 건전기로 움직이지”), 지시(“다음 교차로에서 왼쪽으로 돌아 세 블록쯤 가서 첫째 신호등을 만나면…”) 등은 배제해왔다. 물론 가다가 쉬곤 하는 대화와 주고받는 식의 대화에서도 정보제공, 지시, 또는 설득의 목적이 실현될 수 있지만, 수사학은 전통적으로 한 사람이 청중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공식적인, 미리 생각한, 지속적인 독백의 경우와 관련이 있었다. _서론 중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우리가 세 가지 수단으로 타인을 설득한다고 말했다. (1) 그들의 이성에 호소하는 것(로고스), (2) 그들의 감정에 호소하는 것(파토스), (3) 우리의 인격이나 성품에 호소하는 것(에토스) 등이다. 우리는 이 가운데 하나를 배타적으로 또는 현저하게 사용할 수 있거나, 셋 모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가운데 어느 것을 사용하는가는 부분적으로 우리가 주장하는 논지의 성격에 의해, 부분적으로 현재의 상황에 의해, 부분적으로(어쩌면 주로) 우리의 대상인 청중의 종류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_2장 논증의 발견 중에서
한 가지 주의사항을 강조할 필요가 있겠다. 흔히 서론을 지나치게 길게 쓰는 경향이 있다는 것. 학생들은 이런 고전적인 충고를 들은 적이 있을 것이다. “당신의 대략적인 초안의 첫 페이지를 내다버리고 최후의 초안을 둘째 페이지 윗부분에서 시작하라.” 물론 이 충고를 기계적으로 따를 수는 없지만, 이 원칙은 기본적으로 건전하다. 우리의 첫째 초안은 종종 너무 많아서 골치가 아프다. 긴 ‘워밍업’이 너무나 흔한 이유 중의 하나는, 우리가 시작하기 전에 극복해야 할 자연스런 타성이 있기 때문이다. 종종 주어진 주제에 관해 할 말이 적은 필자들이 과대한 서론을 쓰곤 한다. _3장 재료의 배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