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8896406157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0-12-31
책 소개
목차
옮긴이 서문
1장 서론 | 콜레트 헨리
1부 창조적인 기업가 정신의 본질
2장 동남아시아의 창조산업과 기업가 정신 | 데즈먼드 후이
3장 스칸디나비아 음악산업의 예술-기업가 정신 | 마리아 아게스탐
4장 영국의 창조산업: 문화적 확산과 단절 | 데이비드 레이
5장 아일랜드 음악·무용산업의 특징과 기업가 정신 | 배라 오시네이드·콜레트 헨리
6장 뉴질랜드 영화산업의 발전: 기업가 정신의 연속성 | 앤 드 브루인
2부 창조산업 영역에 대한 지원
7장 영국 창조기업을 위한 투자와 재정 지원 | 톰 플레밍
8장 예술교육과 기업가 정신 | 랠프 브라운
9장 러시아의 창조산업 | 린다 모스
10장 언어공학과 창조산업의 기업가 정신 | 브라이언 케니·줄리아 미턴
11장 고등교육기관과 기업 간 관계 발전 그리고 창조산업의 혁신 | 캘빈 테일러
12장 결론 | 콜레트 헨리
책속에서
창조산업은 지적재산권의 창출과 활용에 초점을 맞춘 상호 의존적이고 지식 집약적인 일련의 산업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미술·공예, 패션, 연극·영화, 공연 예술, 광고, 건축·디자인, 출판, 방송 미디어와 음악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개발, 컴퓨터 서비스, 디지털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등이 이 영역에 속한다. 문화,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비영리 영역마저도 아우르는 창조산업의 영역은 매우 폭넓다.
창조산업은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만, 문화적 특수성이 반영되는 특성을 갖는다. 경제적·문화적 차원에서 창조산업이 갖는 폭넓은 의미 등을 고려한다면, 창조산업이 왜 국제적 차원에서 흥미로운 연구 주제인지를 보다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 <1장 서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