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신준형의 르네상스 미술사 세트 - 전3권

신준형의 르네상스 미술사 세트 - 전3권

(뒤러와 미켈란젤로 + 루터와 미켈란젤로 + 파노프스키와 뒤러)

신준형 (지은이)
사회평론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신준형의 르네상스 미술사 세트 - 전3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신준형의 르네상스 미술사 세트 - 전3권 (뒤러와 미켈란젤로 + 루터와 미켈란젤로 + 파노프스키와 뒤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88964356685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14-04-10

책 소개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신준형 교수가 20여 년간 르네상스 미술사를 연구하며 길어낸 결과물을 세 권의 책으로 묶었다.

목차

1권
프롤로그: 두 도시 이야기 6

제1부 이탈리아의 신과 독일의 신
1 우주의 중심 예수 17
2 죽은 예수 50
3 르네상스 마돈나 77
4 성부와 성모 103

제2부 인간, 자아, 이방인
5 인간의 몸 131
6 자아의 형상 159
7 이교도, 이방인 189
8 뉘른베르크와 로마 216

에필로그 228

도판목록 232
참고문헌 237
찾아보기 240

2권
프롤로그: 천상의 미술과 지상의 투쟁 4

제1부 종교개혁과 가톨릭개혁
1 루터는 왜 이미지를 공격했나 17
2 성상 정치 47
3 트렌토 공회, 이미지의 반격 91
4 예수회, 가톨릭개혁의 전위부대 117

제2부 시각 정치: 종교투쟁의 이미지들
5 미켈란젤로와 티치아노 141
6 일 제수 177
7 틴토레토와 엘 그레코 203
8 베르니니와 보로미니 234
9 카라바조와 가울리 271
10 리베라와 수르바란 305
11 루벤스와 가톨릭 플랜더스 342

에필로그 371

도판목록 376
참고문헌 381
찾아보기 383

3권
프롤로그: 파노프스키와 뒤러의 대화 8

제1부 어윈 파노프스키
1 아이코노그래피와 아이코놀로지 25
2 구조주의의 유행: 레비스트로스, 프로이트, 탐정 뒤팽 51

제2부 파노프스키가 읽은 뒤러
3 그림을 읽는 성모 마리아 73
4 만인의 순교자 109
5 그리스도의 기사 135
6 번민하는 헤라클레스 158
7 멜랑콜리아 181

제3부 르네상스: 인식에서 권력으로
8 세계를 보는 방법으로서의 그림 199
9 파노프스키와 뒤러, 그 이후 222

에필로그: 해석이라는 권력 244

도판목록 271
참고문헌 274
찾아보기 276

부록 아틀라스
르네상스 미술사의 지형
인물사전 2
저자와의 대화 44

저자소개

신준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Junhyoung Michael Shin is a professor of art history in the Dep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College of the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단독 저서] <신준형의 르네상스 미술사 세트>(전 3권)(2014년 책을 만드는 사람들 올해의 책 대상/2014년 한겨레 올해의 책 선정) <뒤러와 미켈란젤로: 주변과 중심>(한국출판문화사업진흥원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 <천상의 미술과 지상의 투쟁: 가톨릭개혁의 시각문화>(대한민국학술원 인문학 분야 우수학술도서 선정) <파노프스키와 뒤러: 르네상스 미술과 유럽중심주의>(문화관광부 학술부분 추천도서 선정) Et in picturam et in sanctitatem: Operating Albrecht Durer’s Marienleben (Berlin: Verlag fur Wissenschaft und Forschung, 2003) [논문](이 책 주제에 관한 것만 기재) “The Jesuits and the Portrait of God in late Ming China,” Harvard Theological Review 107:02 (2014), pp 194-221. “The Passion and Flagellation in Sixteenth-Century Japan,” Renaissance and Reformation 36.2 (2013), pp. 5-43. (Natalie Zemon Davis 상 수상) “Jesuit Mnemonics and Topographic Narrative: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e in late Ming China (Fuzhou, 1637),” Archiv fur Reformationsgeschichte 103 (2012), pp. 237-271. “The Supernatural in the Jesuit Adaptation to Confucianism: Giulio Aleni’s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ie (Fuzhou, 1637),” History of Religions 50.4 (2011), pp. 329-361. “Avalokitesvara’s Manifestation as the Virgin Mary: The Jesuit Adaptation and the Visual Conflation in Japanese Catholicism after 1614,” Church History 80.1 (2011), pp. 1-39. “The Reception of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in Late Ming China: Visualizing Holy Topography in Jesuit Spirituality and Pure Land Buddhism,” Sixteenth Century Journal 40 (2009), pp. 303-333.
펼치기

책속에서

르네상스의 지식인들, 스스로 지식인의 반열에 오른 르네상스 미술가들은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자리에 만족하며 충실을 다하는 데 그치려 하지 않았다. 아니, 그러기를 거부했다. 이 세계는 자신의 두뇌와 근육의 힘으로써 겨루는 무대이자 아레나이고, 축복은 그것을 위해 투쟁하는 이에게 주어진다고 보았던 것이다. 르네상스인의 이 오만함과 투지에 경의를 표한다.
- 1권 73~75쪽


뒤러의 삶과 예술에 끌려 나의 학문의 출발점으로 삼았던 핵심에는 그가 보여준 거의 강박적인 르네상스 이상의 추구, 교만에 가까운 자아의 선언, 명성을 향한 욕구가 있었다. 이는 그가 주변부 지역의 화가였고 일생 그 사실을 첨예하게 의식하고 살았음을 반증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점에서 뒤러에게 적지 않은 동질감을 느끼고 공감했다.
- 1권 216~217쪽


뒤러의 그림에 나타나는 신과 성인과 인간 군상은 대륙 한복판에 갇혀 있으면서도 지중해로, 더 나아가 세계로 뻗어가고 싶어 했던 화가의 야심과 열정을 극렬하게 보여준다. 정말 치열하다고밖에 할 수 없는 뒤러의 이 삶의 노정에 이끌려 이제 막 미술사 공부를 시작하던 나는 이탈리아가 아닌 게르만의 땅을 내 학문의 출발지로 삼았다. 그러나 그렇게 시작한 미술사 공부에 이십여 년을 보내고 난 지금, 뒤러의 열정에 감탄하기 이전에 그의 삶이 얼마나 고단하고 피로했을지를 헤아리게 된다.
- 1권 226~227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