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64361580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19-04-1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 『구약성경』 - 역사를 말하지만 기본적으로 신앙의 책
2. 이스라엘 민족은 야훼와 무관하게 형성되기 시작했다.
1) 『구약성경』의 출애굽 사건은 사실인가?
2) 출애굽 사건의 진실과 원이스라엘의 형성
3. 원이스라엘에 들어온 야훼, 민족신이 되어 가다.
1) 야훼 신의 등장과 그 실체
2) 야훼 신앙의 정착 과정 - 엘로힘의 단계
3) 실로 ‘야훼의 집’의 등장과 민족신으로의 정립
4. 다윗과 솔로몬왕, 예루살렘에서 야훼를 왕국의 신으로 모시다.
1) 야훼의 언약궤를 찾아온 다윗, 성전 건축은 미루다
2) 솔로몬왕의 예루살렘 성전 건축과 시온신학, 왕정신학의 성립
5. 남북 왕국 시대 야훼 신앙에 닥쳐온 도전들
1) 왕국 분열(BC 928)과 북이스라엘 여로보암왕의 황금송아지상 숭배
2) 북이스라엘 아합왕대(BC 871~852)에 벌어진 야훼와 바알의 대립
3) 사회 국가적 위기 도래와 예언자들이 선포한 정의의 신 야훼(BC 8세기 후반)
4) 남유다 아하스왕(BC 733~727)의 무능한 신 야훼에 대한 회의와 불신
6. 제국 침략에 대한 유다왕국의 자주 구국적 개혁과 야훼 유일신 신앙 정책
1) 히스기야왕(BC 727~698)의 자주적·보수적 종교 개혁
2) 므낫세왕(BC 698~642)의 타협적 종교 정책
3) 요시야왕대(BC 639~609)의 「신명기」적 개혁과 유일신 신앙의 대내적 확립
7. 바벨론 유수와 해방(BC 538)의 역사를 통해 도달한 우주적 유일신 신앙
1) 두려움과 절망, 분노의 대상 바벨론
2) 에스겔의 환상 속 공중에 펼쳐진 야훼의 영광
3) 야훼 위주의 민족 해방 역사 해석으로 발견된 우주적 창조주 유일신 개념
결론 : 고대 이스라엘의 유일신 야훼의 실체
보론 : 위기에 처한 현대 그리스도교와 신
1) 야훼 하나님에서 삼위일체의 하나님으로
2) 표류 중인 그리스도교와 신의 장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구약성경』은 유대교의 경전이며, 그리스도교에서는 이와 더불어 『신약성경』까지 경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