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왕은 어떻게 나라를 다스렸는가

왕은 어떻게 나라를 다스렸는가

(역사학자의 눈으로 본 제왕들의 국가 경영)

박종기, 김기흥, 신병주 (지은이)
휴머니스트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100원 -10% 800원 13,690원 >

책 이미지

왕은 어떻게 나라를 다스렸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왕은 어떻게 나라를 다스렸는가 (역사학자의 눈으로 본 제왕들의 국가 경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58624271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1-11-14

책 소개

전근대시기 최고의 권력자이자 통치자인 국왕, 왕조의 흥망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위치에 있던 이들은 나라를 어떻게 다스려왔을까? 또한 정국의 주요 국면에서 어떠한 리더십을 발휘했을까? 성공한 왕과 실패한 왕의 리더십에서 우리를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이 책은 전근대시기 역대 제왕 20인의 국가 통치 리더십을 다루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역사학자의 눈으로 본 제왕, 그 통치의 리더십

1부 고대의 제왕: 절대적이면서 상대적인 왕권의 탄생

도입글 다양한 통치 리더십, 고구려, 백제 신라의 왕들
신성한 존재, 국왕의 탄생 | 절대를 지향하나 상대적인 왕권 | 고대 국왕들의 다양한 리더십

고구려의 유리왕 고유리 국가의 기틀을 다진 제2의 건국시조
외톨이 왕 | 극기와 인내의 세월 | 비전과 결단의 국내성 천도 | 국가 정체성을 세운 통찰력 | 위기 속에 연맹장이 된 기회 포착능력 | 유리왕의 통치, 그 이후
・동맹제

고구려의 광개토대왕 고담덕 드넓은 영토를 개척한 영웅
웅대한 비전과 역사적 통찰력 | 뛰어난 전략가의 면모 | 고구려의 영광, 동아시아 평화의 초석
・광개토대왕릉비

백제의 무령왕 부여사마 총체적 위기를 해결한 경륜의 준비된 지도자
백제의 패배와 왕실의 위기 | 위기에 요청된 새로운 리더십 | 준비된 리더 | 세련된 국제감각 | 군사 문화 강국 백제
・무령왕릉 지석

신라의 진흥왕 김삼맥종 삼국통일의 기반을 다진 믿음의 인재 경영
사려 깊은 성품과 통찰력 | 인재 양성의 장, 화랑도를 세우다 | 통치의 목표와 삼국통일의 비전 제시 | 성공적인 인간 경영 | 이사부, 거칠부 그리고 김무력 | 삼국통일의 기반 마련
・한강 유역을 둘러싼 고구려와 신라의 밀약

신라의 선덕여왕 김덕만 너그럽고 현명하고 센스 있는 여왕의 리더십
여왕 즉위 전야 | 왕의 능력 과시 | 관인명민의 리더십 | 종교 중심적 사고와 현실 인식 부족 | 용춘과 김춘추 그리고 김유신 | 선덕여왕의 통치가 남긴 것
・첨성대


백제의 의자왕 부여의자 망국을 재촉한 성취욕과 자만심
훌륭한 제왕의 자질 | 성급한 성취욕과 자만 | 멸망을 재촉한 근시안적 국제감각
・서동설화

통일신라의 신문왕 김정명 통합을 위한 통찰력, 결단, 추진력
새 시대를 위한 과감한 구세력 청산 | 왕실의 정통성 확보 | 체계적인 제도 정비 | 중세적 지배체제의 원형 제시
・만파식적

2부 고려의 제왕: 천자, 왕실의 대표자, 정치집단의 수장

도입글 삼한 통일에 기초한 고려 황제국 체제의 왕들
고려 국왕의 정치적 위상 | 천자로서의 국왕 | 측근정치와 정국 운영 | 고려 국왕들의 다양한 리더십

태조 왕건 포용력과 균형감각을 지닌 통합군주
후삼국의 영웅군주들 | 태조 왕건의 스승, 궁예 | 민심을 중시한 포용력 | 다시 통합의 리더십으로
・견훤과 왕건이 주고받은 편지

성종 왕치 고려 왕조의 기초를 세운 군주
여론을 중시한 리더십 | 조화와 균형의 리더십 | 신하의 혹독한 비판 경청 | 성공적인 군주의 덕목
・화풍과 국풍

숙종 왕옹 난국 돌파를 위한 부국강병의 그림자
수도를 옮기자 | 쿠데타로 왕위에 오르다 | 난국 돌파의 또 다른 카드, 화폐 유통과 여진 정벌 | 부국강병의 리더십 | 관료들의 생각은 달랐다 | 개혁의 변증법
・숙종 개혁의 쌍두마차, 대각국사 의천과 윤관

의종 왕현 왕권의 신성성을 추구한 비운의 국왕
무신정변-무신의 횡포인가, 군주의 잘못인가? | 믿었던 도끼, 측근의 자중지란 | 즉위는 했으나, 불안한 정국 | 왕실 중흥의 표방과 왕권 신성의 강조 | 문신 관료집단이 외면한 리더십
・《편년통록》과 《왕대종록》

충선왕 왕장 내치에 어두운 실패한 이상군주
전쟁은 끝났으나, 더 큰 시련이 | 시행착오로 끝난 즉위 개혁 | ‘세계화’를 추구한 최초의 한국 국왕 | 제왕학의 교과서, 원나라 궁정생활 | 내치에 소홀한 이상군주
・충선왕과 성리학

공민왕 왕전 현실에서 실패한 미완의 개혁가
공민왕을 위한 변명 | 대세를 읽을 줄 아는 리더십 | 치밀한 용인술 | 포위된 국왕
・신돈의 개혁

3부 조선의 제왕: 왕권과 신권, 그 갈등과 조화의 권력 시스템

도입글 조선 왕조 518년, 27명의 제왕들
조선 국왕의 정치적 위상 | 적장자 왕위 세습의 아이러니 | 조선 후기 국왕의 리더십 | 지금 그들을 돌아보는 이유

태종 이방원 권력의 일원화를 추구한 냉혹한 군주
격동기 킬러의 본능 | 왕권이냐, 신권이냐 | 왕이 주도하는 나라 만들기 | 한양 재천도와 청계천 공사의 혜안 | 미래를 보는 후계자 선택
・태종과 계모 신덕왕후 강씨의 악연

세종 이도 함께하는 소통정치의 표본
집현전 설치와 인재풀의 활용 | 세법의 확정, 10년에 걸친 여론조사 | 자본 민본ㆍ실용정신의 꽃,《훈민정음》 | 촌로들의 경험을 최대한 살린 《농사직설》 | 의학의 신토불이 《향약집성방》 | 실용정신이 녹아 있는 과학기기들 | 폐출된 형에 대한 배려
・세종에 관한 질병 보고서

광해군 이혼 명분보다 실리를 택한 현실정치가
광해군이냐, 영창대군이냐 | 왕통 강화를 위한 무리수, 계축옥사 | 전란의 상처 회복을 급무로 삼다 | 실리외교로 전쟁을 막다 | 광해군의 빛과 그림자
・광해군의 국방 강화 의지와 화기의 제작

효종 이호 북벌, 실현 불가능한 목표의 외길을 간 고독한 왕
심양으로 간 두 왕자, 소현세자와 봉림대군 | 심양에서 새롭게 눈을 뜬 소현세자 | 뜻하지 않던 왕의 자리, 그리고 북벌 | 북벌 추진의 허와 실 | 하멜의 표류와 나선 정벌
・현실의 패배와 소설 속 승리, 《박씨전》의 탄생

숙종 이순 붕당정치 국면을 돌파한 카리스마의 정치
숙종 카리스마의 원천 | 급박하게 바뀌는 정국의 연출자 | 서인을 정권의 파트너로 삼다 | 거대한 장벽, 송시열을 희생시키다 | 정국 돌파의 급처방, 환국 | 성리학 이념이 구현되는 나라 만들기 | 주전론의 등장과 상평통보의 유통 | 영조 정조시대의 서막을 연 리더십
・숙종시대 〈요계관방지도〉 제작의 의미

영조 이금 왕조의 중흥을 이끈 뚝심과 포용의 추진력
쓰라린 당쟁의 경험과 탕평책 | 서민군주 표방과 균역법 여론조사 | 홍수 방지와 도시 실업자를 위한 청계천 공사 | 아들을 죽인 비정한 아버지 | 정치 경제 문화의 중흥을 이끌다
・청계천 준설공사

정조 이산 개혁군주의 실천과 좌절
개혁정치의 산실 ‘규장각’ | 시전상인들의 특권을 뿌리뽑다 | ‘나는 죄인의 아들이 아니다!’, 화성 건설과 행차 | 문예 중흥과 편찬사업 | 미완의 개혁군주
・화성공사의 종합 보고서, 《화성성역의궤》

에필로그- 성공한 왕, 실패한 왕의 리더십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찾아보기

저자소개

박종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오랫동안 고려사를 연구하며 국민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고 《새로 쓴 오백년 고려사》 《조선이 본 고려》 등을 썼습니다.
펼치기
김기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9년 현재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 대학교의 박물관장 교무처장 문과대학장을 역임하였다. 한국 고대 사회경제사와 설화 및 문화사 연구에서 독창적인 성과를 내왔다. 문명사, 세계 고대사 전반에까지 관심을 확장하여, 자신의 신앙적 정체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한국사회에서도 그 비중이 크게 증대하였으나 노쇠 징후를 보이고 있는 그리스도교 종교사의 핵심 주제인 ‘역사적 예수’를 연구한 바 있다. 지은 책으로는 『삼국 및 통일신라 세제의 연구』, 『새롭게 쓴 한국고대사』, 『천년의 왕국 신라』, 『고구려 건국사』, 『왕은 어떻게 나라를 다스렸는가』(공저), 『역사적 예수』 등이 있다.
펼치기
신병주 (글)    정보 더보기
서울대 인문대학 국사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했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건국대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조선시대사학회 회장, 한국문화재재단 이사, 문화재청 궁·능 활용 심의위원 등을 지냈다. 현재 서울역사박물관 운영위원, 미래한강본부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를 전공하고 있으며, 역사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KBS <역사저널 그날>, KBS라디오 <글로벌 한국사, 그날 세계는>, <신병주의 역사여행>을 진행했으며, JTBC <차이나는 클라스> ‘연산군과 광해군’ 편 외 다수, EBS <클래스 e> ‘조선 왕을 만나는 시간’ 시리즈, CJ ENM, 사피엔스 스튜디오의 ‘역사 읽어드립니다’ 시리즈 등에 출연했다. 주요 저서로는 《책으로 읽는 조선의 역사》, 《왕으로 산다는 것》, 《참모로 산다는 것》, 《왕비로 산다는 것》, 《우리 역사 속 전염병》, 《56개 공간으로 읽는 조선사》, 《서울의 자서전》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8625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