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58621683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07-01-2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고대의 제왕
한국 고대 국왕의 정치적 위상과 리더십
.국가의 기틀을 다진 제2의 건국시조_ 유리왕
.드넓은 영토를 개척한 웅지의 영웅군주_ 광개토대왕
.백제의 총체적 위기를 해결한 경륜가_ 무령왕
.삼국통일의 기반을 마련한 믿음의 인재 경영_ 진흥왕
.여왕의 힘과 리더십_ 선덕여왕
.망국을 재촉한 자만심_ 의자왕
.통합을 위한 결단과 추진력_ 신문왕
고려의 제왕
고려 국왕의 정치적 위상과 리더십
.포용력과 균형감각을 지닌 통합군주_ 태조
.국가 개혁 프로그램의 완성자_ 성종
.난국돌파를 위한 부국강병책_ 숙종
.왕권의 신성성을 추구한 비운의 국왕_ 의종
.내치에 어두운 실패한 이상군주_ 총선왕
.현실에서 실패한 미완의 개혁가_ 공민왕
조선의 제왕
조선 국왕의 정치적 위상과 리더십
.권력 일원화를 추구한 냉혹한 군주_ 태종
.함께하는 정치의 표본_ 세종
.명분보다 실리를 택한 현실주의자_ 광해군
.실현 불가능한 목표, 북벌_ 효종
.붕당정치기를 돌파한 강한 카리스마_ 숙종
.왕조의 중흥을 이끈 뚝심의 추진력_ 영조
.개혁군주의 실천과 좌절_ 정조
에필로그
찾아보기
책속에서
다양한 정치집단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지 못한 채, 하나의 세력만 정치적으로 독주하는 위기의 시대에는 소외된 정치세력이 외부의 적보다 더 무서울 수 있다. 이 점은 민주사회인 지금이나 군주의 전제권이 용인된 전근대나 흔들리지 않는 진리이다. 성종이 발휘한 리더십의 본질은 이러한 평범한 진리를 받아들여 실천한 데 있다. 어느 시기이든 대내외 위기가 고조되는 시기에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이 더욱 중요하다는 사실을 성종의 개혁정치는 보여주고 있다. - 본문 171쪽에서
노무현 정권이 광해군 정권과 유사한 점이 많다는 견해가 제기되면서 광해군 정권이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소수로 권력을 잡은 점, 개혁을 궁정의 최대 과제로 삼은 점, 실리외교노선 추구, 수도의 천도 시도, 과거사 바로잡기 등 실제 노무현 정권에 광해군대의 정국과 비견되는 사안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특히 '코드 인사'로 대표되는, 지나친 자파세력 중심의 정치 운영은 광해군대 '북인의 비극'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 본문 293쪽에서
결국 그녀의 재위는 신라가 통일의 주역으로 성장하는 배경이 되어 한국사의 전개에 의미 있게 작용하였다. 무엇보다 그녀의 재위는 새 시대에 등장할 여성 리더들에게 역사적 실험으로 큰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으며, 이 변화를 지켜보게 될 남성들의 시각을 보다 너그럽게 확장시킬 역사 속 사례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여겨진다. - 본문 101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