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88964470060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4-05-31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머리말
석천, 산돌에서 12년(설교)
첫사랑(계 2:1-7)
고향으로 돌아가는 날(눅 15:11-24)
멀찍이 떨어져서(마 26:57-75)
누룩을 넣지 말아라(레 2:11-13)
제 자식 이삭을 묶어서(창 22:1~18)
꿈이 낳은 아기(눅 1:26-33)
에바다5(막 7:31-37)
부끄럽게 하려고(고전 15:31-38)
거룩, 진주 그리고 개와 돼지(마 6:33-7:6)
물 없는 빈 구덩이(창 37:23-24)
배를 탄 그들, 그러나 내린 사람은 그분 하나(막 4:35-5:2)
어린이 하나를 그들 가운데 세우시고(마 18:1-10)
석천이 사랑한 세상(칼럼, 집회) 95
바라바냐 예수냐(「목포시민신문」 21.5.16)
광야의 소리(「목포시민신문」 22.2.18)
기득권자들의 운명(「목포시민신문」 22.4.15)
그 로고스 때문에(「목포시민신문」 22.6.9)
우러러봄에서 꿰뚫어 봄으로(「목포시민신문」 22.8.8)
나는 길이다(「목포시민신문」 22.10.14)
사유와 공유(「목포시민신문」 22.12.9)
아직도 라마, 팽목, 이태원에서 들려오는 슬픈 소리(「목포시민신문」 23.3.30)
소리지르는 靈巖을 기도합니다(「영암일보」 21.12.2)
덕담 대신, 겸허한 연대를 기도합니다(「영암일보」 21.12.31)
그대가 길이었듯이-이한열 25주기 추모 예배설교(12.7.5)
백남기 농민을 추모하며-교단 시국기도회 행진에서(16.11.11)
전남NCC 3차 총회를 열며(20.5.10)
정의당 차별금지법 발의 지지 발언(20.7.9)
세월호 추석 차례 기억사(22.9.9)
목포산돌교회 취임사(12.5.12)
말씀 가까이(「국민일보」 Q.T)
복음의 본질(22.12.1)
나를 따라오라(22.12.2)
야곱의 허리(22.12.3)
겨자씨를 심고 계시나요(22.12.5)
그러나 노아는(22.12.6)
아나니아와 삽비라(22.12.7)
표적(22.12.8)
부끄러움(22.12.9)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22.12.10)
죄의 점층법(22.12.12)
급히 먹으라(22.12.13)
당신이 잘 되시거든(22.12.14)
그 음성을 보기 위하여(22.12.15)
자비로 위장한 경쟁(22.12.16)
그의 입이 곧 열리고(22.12.17)
주인이신 하나님의 뜻을 찾는 것(22.12.19)
생명에 들어가려면(22.12.20)
광야의 소리(22.12.21)
어머니의 젖(22.12.22)
스스로 종 된 자유인(22.12.23)
성찰(22.12.24)
무엇을 원하느냐(22.12.26)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22.12.27)
너희 힘으로(22.12.28)
온전한 사람(22.12.29)
보냄받은 사람(22.12.30)
부정한 것도(22.12.31)
석천을 그리는 사람들(추모의 글)
우리와의 거리는 얼마나 됩니까_ 진해령 시인
김종수 목사를 기억하는 짧은 단상_ 이진 목사
가슴은 보수적, 머리는 진보적 신앙으로 목회 할 때_ 김경재 교수
그리움으로 김종수 목사를 생각하며_ 김원배 목사
기발한 상상력과 영감 넘치는 성서 해석자 김종수 목사님을 추모하며_ 김경호 목사
김종수 목사님, 이어 살겠습니다_ 김거성 목사
예수살기의 모범으로 기억하겠습니다_ 김동한 장로
김종수 목사님과 이두수 목사님_ 이석주 장로
종수 형이 말한 그리스도인_ 유채림 작가
김종수 목사님을 추모하며_ 나현승 집사
내 아들에게, 아빠가_ 이종환 집사
석천(錫川) 김종수 목사님을 마음에 심으며_ 최은기 집사
영원을 사모하는 마음과 영원한 치유_ 허호익 교수
철이 없는 순수하게 해맑은 사람_ 최형묵 목사
錫川, 말씀이 냇물 되어 흐르다_ 김경희 목사
고 김종수 목사의 발자취와 사진들
후기_ 석천을 그리는 사람들_ 김경희 목사
석천을 그리는 사람들(명단)
책속에서
제자들 모두, 그렇게 배신하지 않겠다고 맹세한 베드로도 예외 없이 예수님이 체포되자 예수님을 버리고 도망갔습니다. 왜 복음서는 ‘모두’라는 말을 쓰고 있는 것일까요? 제자들 모두가 예수님을 버리고 달아났기에 사실 그대로 쓴 것일까요? 혹 이 ‘모두’ 속에 우리 자신이 있는 것은 아닐까요? 저는 작은 목회만을 해와서인지 이 말씀에 많은 위로를 받습니다. ‘예수님은 열두 명 목회도 제대로 못 해 다 도망가게 했는데 나에게는 아직 이렇게 많이 남아 있지 않은가?’ 하며 스스로를 위로해 봅니다. 아닙니다.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저도 예수님처럼 목회하면 아마 제 주위에 아무도 없을지도 모릅니다. 저도 타협하고 있기 때문에 이렇듯 여러분 앞에서 목회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석천, 산돌에서 12년(설교) / “멀찍이 떨어져서” 중에서
종교의 ‘종’은 종속할 종이 아닙니다. 마루 종(宗)입니다. 근본을 찾는 것입니다. 근본은 사람됨입니다. 사람됨은 사람을 품는 것입니다. 기독교의 출발이 그러합니다. 찢어지게 가난하고 불온한 갈릴리 나사렛의 별 볼 일 없는, 헬 이스라엘의 예수를 주인으로 고백함으로 시작된 종교입니다. “여러분의 마음 속에 그리스도를 주님(주인)으로 모시고 거룩하게 대하십시오”(벧전 3:15). 길이 되어 가신 예수를 맞아 너도 길이 되라는 종교가 기독교입니다.
석천이 사랑한 세상(칼럼, 집회) / “나는 길이다(「목포시민신문」 22.10.14)” 중에서
김종수 목사의 성서 사랑과 열정은 성서 자체에 대한 이해와 사랑에 머물지 않고 성서 자체가 적용되는 오늘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과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필자는 세월호 희생자 추모 예배와 5.18 기념 예배 설교를 들으며 그의 설교가 성서 텍스트와 삶의 콘텍스트가 절묘하게 결합된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을 실감했다. 그의 설교야말로 성서 텍스트의 씨줄과 삶의 콘텍스트인 날줄이 절묘하게 결합된 설교의 모델을 보여 주었다. 그는 텍스트와 콘텍스트가 결합된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할 뿐만 아니라 그가 선포했던 말씀을 살기 위해 진력했던 목회자였다.
석천을 그리는 사람들 (추모의 글) / 김원배 목사(꿈동산교회, 빛고을평화포럼 원장) “그리움으로 김종수 목사를 생각하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