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64470114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24-06-28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머리말
제1장 라반/바르테니에프 동작분석
1. 루돌프 폰 라반
2. 엄가드 바르테니에프
3. 라반/바르테니에프 동작분석
제2장 바디(Body)
I. 제스처, 포스처, PGM
II. 전신연결패턴(PTBC)
1. 호흡 패턴
2. 중심 ― 말단 연결
3. 머리 ― 꼬리 연결
4. 상 ― 하체 연결
5. 신체 ― 좌우 연결
6. 교차 ― 측면 연결
III. 몸의 연결을 도와주는 터치
1. 두드리는 터치
2. 슬라이딩 터치(쓰다듬기)
3. 머무르는 터치
제3장 에포트(Effort)
1. 플로우(Flow)
2. 무게(Weight)
3. 시간(Time)
4. 공간(Spcae) 혹은 초점(Focus)
제4장 스페이스(Space)
1. 키네스피어(Kinesphere)
2. 심리적 키네스피어(Psychological Kinesphere)와 경계
3. 디멘션(Dimension): 3차원의 직선
4. 다이애그널(Diagonal): 대각선
제5장 쉐입(Shape)
1. 열기와 닫기
2. 쉐입 플로우 서포트
3. 쉐입 퀄리티
4. 쉐입의 변화 모드
5. 쉐입의 형태
제6장 몸의 지혜를 배우다
바디 커넥션에 관심이 있는 분들을 위한 자료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일상에서 주변 사람들과 의사소통이 주로 말(언어)로 이루어지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물론 상황이나 문화, 그리고 개인에 따라 다르기는 하겠지만 전체 의사소통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차지하는 비율이 70~93%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도 (몸의) 움직임은 상당히 중요하며, 의사소통의 효과와 감정 전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때 사용되는 움직임은 주로 몸짓, 표정, 자세를 말한다. 움직임은 단순히 의사소통의 보조적 요소가 아니라, 의사소통의 질과 효과에 깊이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상대의 비언어적 신호를 잘 해석하고 이에 적절히 반응하는 능력은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긍정적인 대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자기 몸매나 자기 옷에는 주의를 보내고 의식하며 신경을 쓰는 것 같은데, 정작 소통에 중요한 요소인 움직임에 대해 별로 의식하지 못하는 것 같다. 특히 자신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상황이 더 심각해 보인다. 우리는 언제나 나와 다른 사람의 몸을 바라보고 있지만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몸의 어느 부분이 움직이고 있는지, 움직임의 크기와 속도, 방향은 어떠한지, 그 움직임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몸과 움직임에 관한 지식을 배워야 한다. 우리가 나와 다른 사람의 움직임을 의식하고, 상황에 적절하게 움직임을 컨트롤할 수 있다면 좀 더 풍성하고 효과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1940년대에 인간의 움직임을 최대치로 향상시키기 위해 물리치료의 해부학적 동작을 라반의 공간 개념과 통합하여 소아마비 환자의 재활에 획기적인 접근법을 개발하였다. 그녀는 물리치료를 받는 환자의 참여 동기를 이끌어내는 것이 치유 과정의 핵심적인 부분이라고 했다. 소아마비 환자의 근육은 퇴행/수축하기 때문에 그 당시 물리치료사들은 근육을 당겨 억지로 펴지도록 하였다.
바르테니에프는 인간이 공간을 향해 움직이기 위해서는 ‘동기’가 필요하다고 말하면서, 소아마비 환자들의 근육을 활성화시키려면 근육을 억지로 당기거나 움직이게 하지 말고 그 사람이 근육을 움직일 수 있는 동기를 주어야 한다고 했다.
제1장 _ 라반/바르테니에프 동작분석 중에서
동물의 생명은 움직임으로 시작하고, 그 움직임이 멈출 때 생을 마감하게 된다. 인간의 움직임은 그저 근육과 뼈를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몸 전체로 뻗어있는 신경계가 주변과 자기 내면의 상태를 감각하여 척수를 통해 뇌로 보내고, 뇌의 운동 출력이 몸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대체로 모든 유아는 자연스럽게 몸의 각 부분이 연결되는 패턴으로 움직이는데, 이러한 연결패턴은 뇌의 발달과정을 체계화시키고 몸의 기능이 발달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각 단계의 기능과 표현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표현력도 늘어난다. 이 모든 것은 심리 신체적 발달이며, 인간의 삶이 풍성하게 피어나도록 도와주는 지지 기반이 된다.
제2장 _ 바디(Body)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