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민중신학, 세계신학과 대화하다

민중신학, 세계신학과 대화하다

레티 M.러셀, 로버트 맥카피 브라운, 하비 콕스, 송천성, 조지 오글, 디오티스 로버츠, 고수케 고야마, 안병무, 존 캅, 크웨시 딕슨, 호세 미구에즈 보니노, 헤르빅 바그너 (지은이), 이정용 (엮은이), 연규홍 (옮긴이)
동연출판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민중신학, 세계신학과 대화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민중신학, 세계신학과 대화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6447112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0-06-15

책 소개

민중신학은 세계화가 만들어 놓은 지구촌의 심각한 국가 분쟁, 종교 갈등, 계급 모순을 민중 해방적 관점에서 새롭게 비판하면서 이에 대안적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1부 ‘북미 신학계의 반응’은 여섯 명의 북미 신학자들의 글을 실었고 2부와 3부는 제3세계 신학자들의 글을 실었다.

목차

옮긴이의 글 _연규홍
추천의 글 _ 보명
엮은이의 글 _이정용

민중신학: 비판적 입문 _이정용

북미 신학계의 반응
· 북미인들은 민중신학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_로버트 맥카피 브라운
· 민중신학과 과정신학 _존 캅
· 한 미국 선교사가 본 민중신학 _조지 오글
· 여성의 관점에서 본 민중신학 _레티 러셀
· 흑인신학과 민중신학: 공통 주제의 탐구 _디오티스 로버츠
· 보통사람들의 종교: 북미의 민중신학을 향하여 _하비 콕스

아시아의 반응
· 민중의 신학적 문화 만들기 _C.S. Song
· “의(義)로 세운 집”: 민중신학의 에큐메니칼 지평 _고수케 고야마

라틴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의 반응
· 한 남미인이 본 민중신학 _호세 미구에즈 보니노
· 문화를 어떻게 할 것인가?: 민중신학에 대한 아프리카의 응답 _크웨시 딕슨

부록
· 한국의 민중신학자들에게 보내는 편지 _헤르빅 바그너
· 개신교 세계선교협회 신학위원회의 편지에 대한 회답 _안병무

참고 문헌
글쓴이 소개

저자소개

레티 M.러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는 20세기 전세계 여성해방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학자로서 1950년대에 하버드 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공부하고 뉴욕시 이스트 할렘 지역에서 주로 흑인들과 히스패닉이 중심이 된 장로교회에서 목회하였다. 레티는 피부색 때문에, 여성이기 때문에 이중으로 억압당하는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레티는 하나님의 정의로운 투쟁의 관점에서 성서와 신학을 해방과 자유를 위한 실천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1975년부터 예일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로서 100개 이상의 논문과 저작을 발표하였으며, WCC 신앙과 직제위원회에서 여성해방신학과 관련된 신학적 해석 작업을 발전시켰다. 레티는 Church in the Round: Feminist Interpretation of the Church를 포함하여, 여러 권의 영향력 있는 책들을 썼고, Hagar, Sarah, and Their Children; Dictionary of Feminist Theologies; and Inheriting Our Mothers’Garden: Feminist Theology in Third World Perspective의 공동 편집자였다.
펼치기
로버트 맥카피 브라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캘리포니아 버클리, 퍼시픽 스쿨 오브 릴리전(Pacific School of Religion in Berkeley, California) 신학과 윤리학 명예교수. 제3세계 해방신학들에 대한 저명한 해석자. 저서로는 Theology in a New Key: Responding to Liberation Themes (Westminster, 1978), Unexpected News: Reading the Bible with Third World Eyes (Westminster, 1984), Spirituality and Liberation: Overcoming the Great Fall (Westminster, 1988) 등이 있다. 세계교회협의회(WCC)의 활동을 통해, 남미,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을 방문하였다.
펼치기
하비 콕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9년에 태어났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와 예일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하버드대학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2년 1년간 독일 베를린에서 거주하면서 동독 교회와 하버드대학 간의 연락 책임을 맡기도 했다. 귀국 후에는 기독학생운동(SCM)과 흑인민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보스턴 흑인 거주 지역에서 흑인해방과 민권운동을 위해 노력했다. 1965년 이후 하버드신학대학교에서 종교학을 가르쳤다. 1965년 출간한 《세속도시》는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14개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에 100만 부 이상이 판매되었으며 독일 마부르크대학이 선정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개신교 신학 서적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하비 콕스는 또한 1988년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20세기 10대 신학자에 이름을 올리는 등 영향력 있는 신학자가 되었다. 《세속도시》 이후 콕스는 교회가 교회 체제보다 사람들의 신앙과 실천에 중심을 두어야 하며 사회 변화에 앞장서야 주장한다. 하비 콕스는 해방신학과 같은 제3세계 기독교 운동에 관심이 많으며, 종교 간 대화의 중요성을 꾸준히 강조해왔다. 2009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하비 콕스는 다양한 종교들을 함께 다루는 강의를 개설해 뜨거운 호응을 받았다. 이 책 《세속도시》(1965) 말고도 《신의 혁명과 인간의 책임 God's Revolution and Man's Responsibility》(1966), 《바보제 The Feast of Fools》(1966), 《영혼의 유혹 The Seduction of the Spirit》(1973), 《세속도시에서 종교 Religion in the Secular City》(1985),《하늘에서 내린 불 Fire from Heaven》(1994), 《예수, 하버드에 오다 When Jesus Came to Harvard》(2004), 《종교의 미래 The Future of Faith》(2009) 등 많은 책을 썼다.
펼치기
송천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캘리포니아 버클리 퍼시픽 스쿨 오브 릴리전(Pacific School of Religion in Berkeley, California) 신학과 아시아문화 교수이자, 사우스이스트 아시아 신학교(Southeast Asia Graduate School of Theology) 신학교 교수. 창조적인 사고를 통해 많은 영향을 준 저자는 Tell Us Our Names: Story Theology from an Asian Perspective (Orbis Books, 1984), Theology from the Womb of Asia (Orbis Books, 1986) 등의 저서가 있다. 1983년 한국교회협의회(NCCK)의 요청으로 서울 선교교육협의회(Mission Education Institute)에서 개최한 민중신학의 미래에 대한 회의에 참여하였다.
펼치기
조지 오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민주주의 발전과 노동자들의 인권을 위해 지울 수 없는 족적을 남긴 조지 오글 목사는 1923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광부들의 마을인 피트케린 출신이다. 메리빌 대학과 듀크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국제노동관계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54년 미연합감리교회 선교사로 한국에 들어와 20년간 한국 도시산업선교의 선구자로 노동자들의 권리와 노동법에 중점을 둔 교육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서강대학교와 고려대학교가 산업관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했으며, 서울대학교의 교수로 있을 때 군사재판에서 부당하게 사형선고를 받은 인혁당사건 8명의 ‘수호자 역할’을 하다가 1974년 12월 강제 추방을 당했다. 미국으로 돌아가 에모리 대학교 켄들러 신학대학원에서 가르치고 연합감리교회 사회경제정의 담당 총무와 일리노이 교회연합회의 총무직을 수행했다. 1984년 이후 여러 번 한국을 방문하였고 북한은 1995년에 한번 방문하였다. 자녀 4명은 모두 인천에서 성장했다. 아내 도로시 여사와 콜로라도 라파예트의 은퇴 커뮤니티에서 살다가 2020년 11월 15일 91세로 소천했다. 그의 죽음 직전인 2020년 6^10민주항쟁기념식 때, 국민훈장(민주주의발전유공포상)을 받았다.
펼치기
디오티스 로버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필라델피아 이스턴 밥티스트 신학대학원(Ea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in Philadelphia)의 철학적 신학 교수. 주요저서로는 Black Theology in dialogue (Westminster, 1987), Roots of a Black Future: Family and Church (1980, Westminster) 등이 있다. 그는 남한과 아시아를 방문했으며, 미국의 흑인신학과 관련하여 제3세계 신학들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펼치기
고수케 고야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존 록펠러 주니어(John D. Rockefeller, Jr.), 뉴욕 유니언신학교 에큐메니칼과 세계 기독교 교수 (Union Theological Seminary in New York City), UCC(United Church of Christ) 목사. 프린스턴대학교(Princeton University), 드류대학교(Drew University), 토쿄연합신학대학원(Tokyo Uni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학위 취득. 8년간 태국선교사로 활동. 아시아기독교협의회 아시아선교회의(Asian Missionary consultation of the Christian Conference of Asia)에 참여하고 있으며, 세계교회협의회(WCC)에서 지도자 역할을 하고 있다.
펼치기
안병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학자이자 서남동 박사와 더불어 민중신학을 창시. 1922년 평남 안주군 신안주면 운송리에서 태어났으며, 간도에서 청소년기를 보냈다.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을 전공했고, 하이델베르크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53년 평신도 교회(현 향진교회의 모체)를 설립하고, 중앙신학교,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워, 숭실대학교, 한신대학교에서 강의 했다. 한신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 두차례 강제 해직과 옥고를 치르기도 했으며 1987년 한신대학교에서 정년 퇴임한 후 명예 교수로 재직하다가 1996년 10월 향년 74세로 별세했다. 《역사와 해석》, 《갈릴래아의 예수》, 《우리와 함께 하는 예수》, 《공관복음서의 주제》등 많은 저서와 역서가 있다.
펼치기
존 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수는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탁월한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며, 예수의 복음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지닌 분이다. 그는 선교사의 아들로 일본에서 태어났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에 군복무를 마친 후, 시카고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알프레드 노쓰 화이트헤드의 철학을 배운 후, 과정신학의 개척자가 된 그는 클레어몬트 신학교에서 가르치던 32년 동안 30여 권의 매우 중요한 저술들을 발표했다.
펼치기
크웨시 딕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나대학교(University of Ghana) 구약학과 현대신학 교수. 신학연구소 서아프리카협의회(West African Association of Theological Institutions) 최초 의장이자 제3세계 신학자 에큐메니칼협의회(Ecumenical Association of Third World Theologians) 창립회원. Theology in Africa (Orbis Books, 1984), Biblical Revelation and African Beliefs (Lutterworth, 1969)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호세 미구에즈 보니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장 잘 알려진 남미 해방신학자.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고등신학교육 개신교협의회(Protestant Institute for Higher Theological Education, Buenos Aires, Argentina) 조직신학 명예교수, 세계교회협의회(WCC) 공동의장 역임. 저서로는 Doing Theology in a Revolutionary Situation (Fortress, 1975), Toward a Christian Political Ethics (Fortress, 1983) 등이 있으며, Faces of Jesus: Latin American Christologies (Orbis books, 1984)를 편집했다.
펼치기
헤르빅 바그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헤르빅 바그너(Herwig Wagner) 박사는 서독 함부르그에 위치한 개신교 세계선교협의회인 Evangelisches Missionswerk 신학위원회 위원장이다.
펼치기
이정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5년 평안남도 출생으로, 한국동란 직후 도미하여 오하이오 핀들레이대학에서 화학을 공부한 후 개럿신학교에서 신학석사를, 보스턴대학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3~1964년 흑인 대학인 하워드대학의 전문사서로 근무하면서 흑인민권운동에 참여했으며, ‘한국농촌목회자 평생교육을 위한 재단’(Fund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Korean Ministers)을 설립하여 농촌목회자들을 돕기 위해 헌신했다. 1968년부터 오토바인대학, 노스다코타주립대학에서 종교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기독교 및 세계종교를 가르쳤다. 1989년 드루신학교 및 대학원 교수로 취임하여 1996년 소천까지 제자 양성에 헌신하였다. 연합감리교회 목사로 오하이오와 노스다코타에서 목회하였으며, 풀브라이트 재단의 지원으로 이화여대 및 서울대 교환교수로 가르쳤고 감신대, 경희대에서 강의하였다. 미국 종교학회(AAR)에서도 한국신학의 발전과 정착을 위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미국 주요 신학교에서 교재로 사용했던 Marginality를 필두로 Theology of Change, Embracing Change 등 20여 권의 명저를 남겼다. 이정용은 ‘역’(易)의 원리를 통해 신학을 재구성함으로써 서구의 전통신학을 동양적 시각으로 재해석, 해체 및 재구성했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또한 민중, 이민자, 소수자 등의 억압을 하나님 고난의 신학으로 재해석하는 반면, ‘주변인(the marginals) 신학’을 통해 그들의 창조성을 드러냄으로써 흑인신학, 해방신학, 라틴아메리카신학, 여성신학 등과 비견되는 신학으로서 자리매김하였다. 20여 권의 저서 중 최근 출간된 『삼위일체의 동양적 사유』까지 7-8편이 국내에 번역·소개되었다.
펼치기
연규홍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교회사 전공)를 받았다. 전남 해남의 삼산서부교회 현장목회를 시작으로 육군 군목과 (주) 린나이 코리아 사목으로 일하였다. 호서대, 루터신대, 서울장신대, 나사렛대 등에서 강의하였다. 2007년 가을 미국 버클리 대학의 GTU(Graduate Theological Union) 초빙교수로 강의하였다. 2013년 현재 한신대학교 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신대학교 평화와 공공성 센터 소장을 역임하고 교목실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교회사의 해방전통』, 『새 역사 50년사』, 『생명나무에 이르는 길-한국 그리스도교 영성사』, 『역사를 살다』 등이 있다. 역서로는 『20세기의 사건들과 현대신학』,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역사와 신학』(공역), 『성서, 나를 읽는 책』, 『한국에 온 캐나다인들』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