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64471296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0-11-05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 초기 불교의 수행 관점에서 본 生命과 相生 / 윤응열 교수(각성 스님)
I. 서론
II. 초기 불교의 생명 이해
1. 생명의 기원과 의미
2. 생명의 본질과 현상
1) 연기하는 생명
2) 생명의 발생 유지와 재생
III. 상생으로서의 수행
IV. 결론
● 근원적 동일성으로서 생명과 진리의 침노 사건으로서 생명 / 박일준 교수
‘사이’적 관점으로부터 고찰: 저항과 탈주로서 생명
서론: 저항과 탈주로서 생명 이해
1. ‘하나’(the One)의 우주적 의식으로서 생명: 최민자의 생명 이해와 통섭
1-1 ‘전일성’으로서의 생명 이해를 넘어서
2. 생명의 주제로서 “사이”: 이기상의 생명 이해
2-1 ‘우리’라는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생명의 ‘우리’식 이해에 대한 비판
3. 자기-타자화(self-othering)로서 생명: 코링턴의 자연 이해
4. 있는 자(ta onta)를 폐하기 위해 없는 자(ta me onta)를 선택하는 생명의 힘
● 기후 붕괴 시대의 소위 ‘녹색 성장’에 대한 신학적 소견 / 이정배 교수
‘생명과 화쟁’을 주제로 한 <불자, 기독자 교수들 모임>을 열면서 드는 생각
● 유학의 세 요소와 한국 유학의 상생철학 / 이기동 교수
I. 유학의 세 요소와 한중일 유학의 상생상극
1. 유학의 세 요소
2. 중국의 종합성과 공자의 사상
3. 한국의 향내성과 맹자의 상생사상
4. 일본의 향외성과 순자의 상극사상
II. 일본 유학의 상극적 전개와 서구 문화의 수용
1. 일본 유학의 출발
2. 일본 유학의 변용
3. 서구 문화 수용과 팽창주의
III. 역사의 전환기에서의 한국 유학과 상생
1. 한국 유학의 특징과 전개
2. 역사 전환의 원리와 새 시대의 도래
3. 맹자의 仁과 한국인의 한마음
● 불교적 생명 원리에서 본 화쟁과 그 실천윤리 / 김도공 교수
원효의 화쟁사상과 원불교의 삼동윤리를 중심으로
I. 이끄는 말
II. 생명 개념에 대하여
1. 생명 개념에 대한 기존 시각의 형성
2. 불교의 생명관
3. 생명의 원리
III. 화쟁, 공생과 진화의 길
1. 불교의 연기법
2. 원효의 화쟁사상
3. 일심과 원리와 경지
IV. 현대 사회에서 화쟁의 실천윤리
1. 동원도리(同源道理)
2. 동기연계(同氣連契)
3. 동척사업(同拓事業)
V. 마무리
● 가톨릭교회에서 보는 생명과 화쟁(和諍) / 이재돈 교수
토마스 베리의 생태사상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베리 생태사상의 생명관
3. 베리 생태사상의 화쟁론
1) 역사에 대한 역동적 이해
2) 떼이야르의 진화론적 통찰
3) 전통 종교의 생태 지혜
4) 과학과 종교가 통합된 우주론
4.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베리의 제안: 생태대
5. 맺는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