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64479568
· 쪽수 : 467쪽
· 출판일 : 2023-10-25
책 소개
목차
개정판을 펴내며
머리말
여는 글
이 민족의 기도를 들으소서
1부 ׀ 한민족과 기독교
한국 민족과 기독교의 문제
I. 민족의 역사적 의미와 문제
II. 서양 자본주의 ․ 식민주의와 기독교 선교
III. 항일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의 의의와 문제
IV. 민족 분단과 분단을 넘어서는 길
한국 민족과 기독교 선교의 문제
I. 글머리에
II. 한국 민족과 기독교 선교의 문제
III. 한국 민족과 기독교 선교의 미래
한민족의 신학
I. 역사와 신학의 주체로서의 한민족
II. 서구 신학 전통과 한민족의 신학
III. 한민족의 신학의 성서적 근거
IV. 한민족의 민중 의식의 대두와 민족 분단
V. 민족 분단을 넘어서는 복음과 선교
한국 민족과 여성신학의 과제
I. 여성신학의 의의와 방법
II. 하나님론의 여성신학적 해석
III. 교회론의 여성신학적 해석
IV. 인간의 여성신학적 해석
V. 민족과 여성신학의 과제
한국에 있어서의 복음주의와 교회 성장
2부 ׀ 기독교와 세계
기독교와 타 종교
I. 그리스도교와 타 종교의 대화의 필요성과 신 문제
II. 하나님의 계시와 종교의 구별
III. 예수 그리스도의 통일성 문제
IV. 신학의 토착화와 상황화 문제
V. 역사와 인간성의 구원 문제
종교와 여성
I. 여성학의 과제와 방법
II. 종교와 여성해방
III. 기독교와 여성해방
제3세계 신학과 방법론에 대한 고찰
I. 제3세계 신학의 대두
II. 제3세계 신학의 방법론적 주제들
III. 성령과 제3세계 신학
교회 연합과 민족통일
I. 세계기독교교회협의회 신앙과직제위원회의 동향
II. 교회 연합과 민족통일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의 머리말에서 원초가 밝히고 있듯이 원초는 1940년대에 감리교신학교에서 신학 공부를 시작했을 때부터 한민족과 기독교의 관련성에 대한 해답을 추구하였는데, 특히 피억압 식민지 민족의 고난과 민족 분단 상황이 기독교의 관련성 문제를 생각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
원초가 한민족 혹은 조선 민족을 한국 신학의 주제로 생각하게 된 직접적인 역사적 배경은 우리의 근현대 민족사에서 전개된 항일 민족운동과 1945년 이래의 민족 분단 상황을 극복하려는 통일운동에 있다는 사실을 통일신학 관련 논문들에서 밝히고 있다.
_ 김애영, <개정판을 펴내며> 중에서
한국 기독교는 현재 민족이 당면한 문제 상황의 요인들, 민족과 교회의 우매함과 세계열강들의 지배 세력의 정체를 인식해야 한다. 복음의 능력은 분단된 세계의 어느 한 편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이 양편을 넘어서는 궁극적인 가능성을 증언할 수 있는 자유를 행사해야 하며, 이러한 복음 인식은 지금까지의 교회의 전통적인 적대감, 북한과 소련에 대한 적대감을 넘어서게 하는, 그래서 교회 자체의 과오를 승인하게 하는 새로운 길을 열어주는 첩경이다.
“1부_ 한국 민족과 기독교의 문제” 중에서
한국의 자주독립을 위해서 근대 교육이 필요하다는 말은 일본의 지배를 받아들임이 좋다는 말과 모순된다. 한국에 대한 일본의 지배와 근대화가 필요하다는 선교사들의 거의 전반적인 생각이 바로 서양 근대 문명의 지배 세력에 입각한 것이었다. 일본의 잔학성을 목격하게 된 헐버트는 한국의 자주독립을 역설했으나 아직도 일본의 잔학성과 결탁한 미국의 문제를 인식하지는 못했다. 그는 교육에 의해서만 일본의 경멸을 말살할 수 있으니, 교육을 위한 미국의 독지가는 없느냐고 호소하기도 했다. 그러한 호소에도 불구하고 역시 교육 선교의 문제점, 즉 처음부터 한국 민족의 자주독립에 위배되는 전제와 세계적 상황을 파악하지는 못했다.
“1부_ 한국 민족과 기독교 선교의 문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