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이야기
· ISBN : 9788964479865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4-06-15
책 소개
목차
머리 글
Part 1╻회사繪事에 속하는 일이면 모두 홍도에게
김홍도 <길쌈>, 빈센트 반 고흐 <실 잣는 사람>
김홍도 <우물가>, 유진 드 블라스 <연애/추파>
김홍도 <행상>, 아드리안 반 드 벤느 <두 행상>
김홍도 <활쏘기>, 프레더릭 레이턴 경 <명중>
한국의 풍속화 - 우리 역사의 사진첩
Part 2╻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
김홍도 <논갈이>, 레옹 오귀스탱 레르미트 <쟁기질>
김홍도 <벼타작>, 랄프 헤들리 <타작마당>
강희언 <석공공석도>, 존 브렛 <돌 깨는 사람>
작가 알기 - 강희언, 김홍도
장르와 장르 회화
Part 3╻주인공이 되지 못했던 사람을 그림의 주인공으로
윤두서 <채애도>, 카미유 피사로 <허브 줍기>
윤덕희 <공기놀이>, 장시메옹 샤르댕 <너클본 게임>
윤덕희 <독서하는 여인>, 프라고나르 <책 읽는 소녀>
윤용 <협롱채춘>, 쥘 브르통 <종달새의 노래>
작가 알기 - 윤두서, 윤덕희, 윤용
Part 4╻나 자신을 관조觀照하는 집
조영석 <말 징 박기>, 테오도르 제리코 <플랑드르 장제사>
조영석 <바느질>, 아돌프 아츠 <코트베익 고아원에서>
조영석 <이 잡는 노승>, 바톨로메 무리요 <거지 소년>
조영석 <우유 짜기>, 제라드 터 보르히 <헛간에서 우유 짜는 소녀>
작가 알기 - 조영석, 김득신
Part 5╻5대에 걸쳐 20여 명의 화가를 배출한 개성김씨
김득신 <귀시도>, 구스타프 쿠르베 <플라기의 농민들>
김득신 <대장간>, 프란시스코 고야 <대장간>
김득신 <밀희투전>, 폴 세잔 <카드게임 하는 사람들>
신한평 <자모육아>, 장바티스트 그뢰즈 <조용!>
작가 알기 - 신한평, 신윤복
Part 6╻광통교를 배회하던 방랑아
신윤복 <쌍검대무>, 장레옹 제롬 <전무戰舞>
신윤복 <월하정인>, 앙리 루소 <카니발 저녁>
신윤복 <유곽쟁웅>, 얀 스테인 <와인은 조롱거리다>
신윤복 <청금상련>, 제임스 티쏘 <파티 카레>
신윤복 <월야밀회>, 윌리엄 헨리 피스크 <비밀>
풍속화 인용 출처
저자소개
책속에서
“과거와 현재, 미래의 고리 속에서 읽는 그림의 이야기”
잊힌 옛이야기들, 한국전쟁 후까지도 남아 있던 우리 삶의 모습들을 소환했습니다. 눈으로 본 사람이 전하지 않으면 그 모습이 파묻힐 것 같은 안타까움이 큽니다. 물론 저는 조선 시대에는 살지 않았지요. 다만 조선의 풍습이 남아 있던 시대에 유년기를 보냈습니다. 할아버지가 나뭇개비를 황이 담긴 그릇에 콕콕 찍어내며 성냥을 만드실 때 옆에 앉아 황 냄새를 맡았습니다. 다섯 살 무렵에 할머니는 저 시집갈 때 가져가라고 길쌈한 실꾸리와 천을 남겨주셨습니다. 어릴 적 남자아이들은 소에게 꼴을 먹이려 소 끌고 풀밭을 옮겨 다녔습니다. 여자 친구들은 바구니 들고 나물 캐러 다녔습니다. 조선 풍속화의 여러 장면이 수백 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마치 나의 옛 사진처럼 다가왔습니다.
서양의 옛 풍속에는 깜깜합니다. ‘사람 사는 모습이 뭐 그리 다를까?’ 하는 생각으로 서양인들의 풍속화를 찾아봤습니다. 조선과 비슷한 그림이 많아서 ‘그렇지, 사람들은 다 이렇게 사는 거지’ 하며 고개를 끄덕이다가, ‘아니, 어떻게 이렇게 다를 수가 있나?’ 하며 고개를 가로저으며 조선과 서양의 풍속화를 살펴보는 재미에 푹 빠졌습니다.
유년의 기억을 징검다리 삼아 조선 시대로 건너가 봤습니다. 보폭을 넓혀 그 시대의 서양까지 돌아봤습니다. 과거는 과거 시대의 현재였고, 현재는 과거의 미래였습니다. 현재는 미래의 과거가 될 것입니다. 미래는 미래 시대의 현재가 될 것입니다. 그러한 연결고리 속에서 서로 다른 시대에 대한 낯섦과 익숙함을 살펴봤습니다
- <머리글> 중에서
우물가는 조선 여인들에게 일종의 해방구 역할을 했다. 여인들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곳, 어쩌다 남자 구경도 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우물가였다. 빨래터도 여인들에게 자유로운 장소였다. 부분이나마 몸을 드러내고 시원하게 씻을 수 있는 곳이 빨래터였다. 때문에 남자들은 오히려 여인들 가까이 다가가지 못하고 훔쳐보는 것으로 만족할 뿐이었다. 우물가에서는 가까이 접근하여 대화도 할 수 있었다. 남자들은 어느 쪽을 더 선호할지 궁금하다. 살짝 벗은 몸을 멀리 숨어서 훔쳐보는 빨래터? 또는 직접 대화를 할 수 있는 우물가?
서양의 우물가 그림과 비교해보자. 제목부터 조선과 서양의 다름을 드러낸다. 그림 제목을 ‘우물가’라고 하면 우리는 우물가가 상징하는 모든 정황을 상상한다. 서양 그림의 제목은 아주 구체적이다. 무대가 우물가일 뿐, 그림 제목으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우물가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그림에서도 확실히 묘사하고, 제목은 행동 자체를 묘사한다. ‘추파’라거나 ‘질투 없는 사랑은 없다’고 확실히 알려 준다. 조선과 서양 문화의 차이이다.
<Part 1_ 회사에 속하는 일이면 모두 홍도에게> 중에서
강희언이 그림의 구도에 배경과 인물을 잘 조화시킨 데 반해 김홍도는 인물에 집중했다. 꼭 필요한 배경 외에는 과감히 생략했다. 강희언의 <사인사예도>에서 빨래하는 여인들은 그림의 주체가 아니라 배경의 한 부분이다. 김홍도는 이 여인들 을 훔쳐보는 부채 든 남자를 추가하여 완전히 독립된 <빨래터>를 그렸다. 부채로 얼굴을 가린 남자, 김홍도 풍속화의 매력이다.
<Part 2_ 농자천하지대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