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기계공학
· ISBN : 9788964953303
· 쪽수 : 395쪽
· 출판일 : 2025-06-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고속철도를 되돌아보며
1. 시계열로 본 한국철도 변천
2. 고속철도의 출발
3. 고속철도 기획 이야기
4. 고속철도 노선 및 역위치 선정
5. 시험선 건설과 영업 시운전
6. 고속철도와 벡텔(Bechtel)사의 인연
제2장 설계와 착공 후의 아쉬움
1. 고속철도 설계와 시공
2. 궤도 기술의 발전
3. 경부고속철도 2단계 콘크리트궤도 침목 균열조사
4. 경부고속철도 2단계 건설사업 종합점검
5. 철도안전 100대 과제 점검·평가결과
제3장 차량 협상 이야기들
1. 고속철도 차량도입의 파도타기
2. 협상의 끝자락
3. 고속철도 기술 자립은?
제4장 고속차량 개발 이야기
1. 고속전철 차량개발 사전준비
2. 고속전철 차량 선정
3. 동력 집중식 G7 열차(HSR-350x) 개발
4. 동력 분산식 HEMU-430X 개발
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설립
6. 고속전철 기술개발 연대기(年代記) : 기술개발 시작(1988년)부터 HEMU-430X 개발(2011년)까지
제5장 고속철도에 대한 학계의 지원
1. 경부고속철도 개통과 철도 학계((사)한국철도학회, 대학 / 대학원 및 연구기관)
2. (사)한국철도학회
3. 한국교통대학교
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5. 우송대학교
6. 동양대학교
7. 송원대학교
8. 경일대학교
9. 소고
10. 철도의 미래 혁신 방향
제6장 남기고 싶은 이야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 정부와 사회 및 과학기술계는 수많은 혁신과 시행착오를 경험하게 되고, 이는 관련 기관과 경험한 당사자들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기록되고 전언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또한 당시 한국 사회가 당면했던 국가 시스템이나 관리 방법, 관리 주체들에 따라 다양한 관점과 토론이 있었으며, 언론과 정치권 또한 이에 무관치 않은 목소리를 쏟아내곤 하였다.
KTX 1호기는 선 제작하여 프랑스 TGV 선로에서 시험 및 시운전을 거쳐 한국으로 반입하고 2, 3호기(99. 10.)는 시험선으로 바로 반입하여 시험 및 시운전 준비를 하였다. 시제차 1, 2호기는 각각 4만 km를 주행하면서 성능을 평가하고 이러한 시험 및 시운전 과정이 완료되면 순차적으로 도입되는 후속편성은 각각 1만 km의 시운전을 시행하여 계약에서 요구되는 성능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각 편성은 시속 60km부터 단계별 증속 시험을 거쳐 최종 시속 300km의 주행성능을 확인하여 46개 전 편성을 순차적으로 인수하였다.



















